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02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
등록번호 |
TRKO201300013852 |
과제고유번호 |
1395025981 |
사업명 |
작물시험연구 |
DB 구축일자 |
2013-07-29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3852 |
초록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잡곡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활용기술 개발, 둘째는 잡곡 재배 시 자연순환 이용기술 개발, 셋째는 잡곡 생산성향상을 위한 최적수분 관리기술 개발, 넷째는 잡곡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방제 기술 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질 자원으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토양의 질 향상과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효율적인 환원기술을 개발하고, 잡곡 재비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정 시용량 설정을 통한 자연 순환형 관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잡곡의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잡곡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활용기술 개발, 둘째는 잡곡 재배 시 자연순환 이용기술 개발, 셋째는 잡곡 생산성향상을 위한 최적수분 관리기술 개발, 넷째는 잡곡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방제 기술 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질 자원으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토양의 질 향상과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효율적인 환원기술을 개발하고, 잡곡 재비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정 시용량 설정을 통한 자연 순환형 관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잡곡의 논 재배시 물 관리 기술 및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적 방제 관리기술 개발을 통한 안정생산과 잡곡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잡곡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 활용기술 개발
1) 수수 부산물의 성분 및 부산물 발효퇴비 제조
2) 수수 부산물 발효퇴비의 토양환원 효과
가) 부산물 퇴비 토양환원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변화
나) 수수 부산물 퇴비의 분해율
다) 수수 부산물 유래 질소의 이용효율 분석
라) 안정 동위원소 15N을 활용한 수수 부산물 유래 질소 이용효율 검정
마) 수수 부산물의 토양 환원 방법에 따른 수수의 생육 반응 및 수량성
3) 수수 부산물 퇴비의 토양환원에 따른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
2. 잡곡 재배 시 자연순환 이용기술 개발
1) 잡곡 재배시 가축분뇨 액비의 적정 시용량 설정
2) 잡곡 재배 시 가축분뇨 액비와 화학비료/호밀의 적정 혼합시용 비율 설정
3. 잡곡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수분 관리기술 개발
1) 잡곡의 논 재배를 위한 내습성 평가
2) 잡곡의 논 재배 시 수분 스트레스 반응 해석
3) 잡곡의 논 재배 방법별 내습성 평가 및 관리 기술개발
4. 잡곡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방제 기술 개발
1) 잡곡 입모저해 해충의 피해경감 기술
2) 잡곡 줄기 가해 해충의 관리 기술
3) 잡곡 이삭가해 해충의 관리 기술
4) 주요 해충 방제용 친환경 자재의 활성검정
Abstract
▼
While the importance of large grained cereal crops such as wheat, corn and rice were well understood in the beginnings of agriculture, a small group of small-seeded crops such as sorghum and millets were often marginalized or ignored.
In Korea, traditionally, cereals crops such as proso millet (P
While the importance of large grained cereal crops such as wheat, corn and rice were well understood in the beginnings of agriculture, a small group of small-seeded crops such as sorghum and millets were often marginalized or ignored.
In Korea, traditionally, cereals crops such as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and sorghum (Sorghum bicolor L.) have been cultivated as alternative crops in case of unfavorable climate or as supplementary crops in marginal land. Cultivation area of sorghum and millets decreased from 157,991 ha in 1960s to 2,600 ha in 2010s. The low yield potential of cereals crops might markedly be due to lack of effort to breed high yielding varieties and develop cultural techniques like fertilization, plant density, optimal planting date, rapid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e, increased import of foreign products and change of agricultural polices. But after 2008, production of cereals crops increased by successful breeding of high yielding varieties and development of cultural techniques. Exploitation of new utilization methods of cereals crops such as millets and sorghum as sustainable crop, honey crop and sightseeing crop, and development of healthy special foods will promote their cultivation.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xpected profit are the major criteria to select crops to be cultivated in any region. Cereals crops such as proso millet, foxtail millet and sorghum are important components that maintain diversity among upland crops as well alternative crops in case of unfavorable climate. Recently, rice production has become regulated and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s and soybean stayed low at 26% and 7%, respectively while that of rice was maintained close to 100%. It is recommended that rice be cultivated in upland for the production of other field crops such as soybean, sorghum, proso millet and foxtail millet etc.
Organic residue recycl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environmentally sound sustainable agriculture. Sorghum residues hold a great promise due to their local availability, as a source of multiple nutrients and for their ability to improve soil characteristics. Although sorghum residue production was estimated to be 8~10 Mg ha-1, most sorghum straw was used to be burnt or removed after harvest. Generally, incorporation of crop residue with high C/N ratio brought nitrogen starvation. Incorporation of sorghum residues into soil normally immobilizes inorganic N, as the microbial biomass which develops on the decomposing material needs more N than is provided by the substrate. But few information was on the decomposition of sorghum residue in soil. Declining soil fertility, largely, due to poor crop residue management is a basic agricultural problem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The harvested plant residue is the major avenue of nutrient removal, particularly in annual agricultural crops. On the average one hectare of the grain crop removes 100~150 kg of N, P, and K. Returning crop residue to the field is thu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nutrient cycling. Crop residues increased yield and sustained long-term productivity through the use of renewable resources easily and cheaply available on the farm. The decomposing crop residue maintains soil fertility directly by releasing the essential nutrients absorbed by the plant and indirectly, by improving soil properties.
Millet and sorghum are major dryland cereal crops. However, their growth and productivity is limited by soil water stress with varying intensity. Upland crops can be damaged by either excess soil water or capillary rise of the water table during rainy season in paddy fields. Excessive water stress in paddy field is the main problem to overcome because saturated condition are not suitable for growing ordinary upland crop.
The need for transformation of livestock excretions into resources increases due to prohibition on sea disposal of livestock excretions and law revision for higher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 of livestock excretions treatment facilities. The government policy for improving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 and public concern for cereal crop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cultivation area. Therefore, cereals crops are necessary to make an effort for develop application techniques of liquid pig manure for reducing production cost and expanding use of liquid pig manure.
The cultivating area of cereal crops, often considered as well-being crops in Korea, h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ultivation area, number of insect pests occurring on those crops is getting diverse and worse;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sect pests management is of prime importance. Basic information on the insect pests occurring on cereal crops, and their damage pattern and intensity is little known. Basic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friendly and economical control tactics/materials that would save input cost and environment is lacking.
Conclusive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 cultivation techniques of cereals crops for enhancing sustainable productivit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1
- 목차 ... 24
- 제 1 장 서 론 ... 25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9
- 제1절 잡곡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 활용기술 개발 ... 29
- 제2절 잡곡 재배 시 자연순환 이용기술 개발 ... 31
- 제3절 잡곡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수분 관리기술 개발 ... 32
- 제4절 잡곡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방제 기술 개발 ... 34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7
- 제1절 잡곡 부산물을 이용한 효율적 활용기술 개발 ... 37
- 1. 수수 부산물의 성분 및 부산물 발효퇴비 제조 ... 37
- 2. 수수 부산물 발효퇴비의 토양환원 효과 ... 40
- 3. 수수 부산물 퇴비 시용에 따른 물리성 개선 효과 ... 50
- 제2절 잡곡 재배 시 자연순환 이용기술 개발 ... 55
- 1. 잡곡 재배시 가축분뇨 액비의 적정시용량 설정 ... 55
- 2. 잡곡 재배시 가축분뇨 액비와 화학비료/호밀의 적정 혼합시용 비율 설정 ... 59
- 제3절 잡곡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수분 관리기술 개발 ... 65
- 1. 잡곡의 논 재배를 위한 내습성 평가 ... 65
- 2. 잡곡의 수분 스트레스 반응 해석 ... 76
- 3. 잡곡의 논 재배 방법별 내습성 평가 및 관리 기술개발 ... 83
- 제4절 잡곡 난방제 해충의 친환경방제 기술 개발 ... 88
- 1. 잡곡 입모저해 해충의 피해경감 기술 ... 88
- 2. 잡곡 줄기 및 이삭가해 해충의 관리 ... 90
- 3. 주요 해충 방제용 친환경 자재의 활성검정 ... 99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03
- 1절 목표대비 대외 달성도 ... 103
- 2절 정량적 성과 ... 105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08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9
- 제 7 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 ... 110
- 제 8 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장비현황 ... 111
- 제 9 장 참고문헌 ... 1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