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터 보전/복원 기술
Technology for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of Floodplai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원
참여연구자 우효섭 , 이두한 , 윤병모 , 이찬주 , 김지성 , 김용전 , 김극수 , 권성일 , 김동구 , 김혜진 , 박문형 , 김은진 , 김한태 , 정상준 , 강수진 , 이창훈 , 여흥구 , 강준구 , 김성중 , 홍일 , 김창성 , 정필정 , 이강오 , 엄중현 , 나무영 , 나정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8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300027804
과제고유번호 1615001599
DB 구축일자 2013-10-05
키워드 조도계수.홍수터 수목.구하도 복원.생태천변저류지.식생 천이.roughness factor.vegetation on floodplain.abandoned meander restoration.ecological storage pond.vegetation succession.

초록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 개발
- 흐름저항 평가기술 검증 및 보완
- 수목식재 1차원 수치모형의 현장적용 및 평가
- 준2차원 수목저항 모형 개발
- 잠재자연하천 수종 선정 및 식재패턴 연구
◦ 폐천/구하도 복원 기술 개발
- 폐천/구하도 보전기법 개발
- 시범사업을 통한 보전/복원 지침 적용성 평가
- 복원하도 유지관리 기법 개발
- 시범사업 구간 모니터링
◦ 생태 천변저류지 조성 기술 개발
- 경제성을 고려한 수문-최적화 모형 개발

Abstract

Ⅲ. Contents and scopes of this study
◦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s of tree-planted floodplain
- Verification and supplement for the techniques for evaluating flow resistance
- Field application and assessment on 1D numerical flow resistance simulation model considering effect of tr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6
  • SUMMARY ... 11
  • 목 차 ... 17
  • 표 목 차 ... 23
  • 그 림 목 차 ... 30
  • 제 1 장 서 론 ... 44
  •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 44
  • 제 2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45
  • 제 3 절 연구 범위 ... 46
  • 1. 연구내용 ... 46
  • 2. 세부 연구내용 및 범위 ... 47
  • 2.1. 수목영향 평가 기법의 모형화 ... 47
  • 2.2. 폐천 및 구하도 보전/복원 기술 개발 ... 47
  • 2.3. 저류지 시설물 조성 기준 개발 ... 48
  • 2.4. 하천 식생 천이 예측 모델 개발 ... 4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50
  • 제 1 절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개발 현황 ... 50
  • 1. 관련 사업 동향 ... 51
  • 1.1 국내 ... 51
  • 1.2 국외 ... 53
  • 2. 요소기술 개발 동향 ... 55
  • 3. 동향 분석 ... 56
  • 3.1 국내 관련 사업 동향 분석 ... 56
  • 3.2 국외 관련 사업 동향 분석 ... 57
  • 3.3 요소기술 개발 동향 분석 ... 57
  • 제 2 절 폐천 및 구하도 보전/복원 기술개발 현황 ... 59
  • 1. 국내정책 ... 59
  • 1.1 하천환경정비사업 현황 ... 59
  • 1.2 하천 정책방향 ... 61
  • 2. 국내/외 사업사례 및 계획 ... 62
  • 2.1 국내사례 ... 62
  • 2.2 국외사례 ... 65
  • 3. 폐천 및 구하도 복원 요소기술 연구동향 ... 66
  • 3.1 현장자료 및 위성자료를 통한 하도평가 ... 66
  • 3.2 과거 및 현재하도 평가기법 ... 68
  • 3.3 복원구간 국지적 하상변동 해서 및 안정하도 설계기법 ... 70
  • 3.4 하도의 장기적 종단 변화 ... 71
  • 3.5 수치해석 ... 72
  • 3.6 생태평가기법 ... 75
  • 3.7 연구동향 결과 분석 ... 76
  • 제 3 절 강변저류지 조성 기술개발 현황 ... 78
  • 1. 강변저류지 위치 및 규모선정 기법의 개발 분야 ... 78
  • 1.1 국외 기술개발 현황 ... 78
  • 1.2 국내 기술개발 현황 ... 78
  • 2. 강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 분야 ... 79
  • 3. 강변저류지 수질관리 분야 ... 80
  • 4. 생태평가기준 및 모니터링 기법 개발 분야 ... 81
  • 5. 생태하천에서의 유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방안의 개발 ... 82
  • 제 4 절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술개발 현황 ... 84
  • 1.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법기술 개발 현황 ... 84
  • 1.1 댐에 의한 식생 변화 연구 ... 84
  • 1.2 식생 천이 예측 모델 연구 ... 84
  • 2. 식생 천이 예측을 위한 수치모델링 기술 개발 현황 ... 88
  • 2.1 평면 이차원 흐름모형 ... 88
  • 2.2 조도계수 접근방법 ... 92
  • 2.3 항력계수 접근방법 연구 ... 98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04
  • 제 1 절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 ... 104
  • 1. 시험하천 운영을 통한 흐름저항 평가 ... 104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04
  • 1.2 조도계수 산정을 위한 시험하천 운영 ... 106
  • 1.3 등가조고를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 기법 ... 175
  • 1.4 조도계수 산정시스템 ... 186
  • 2. 수목 영향 평가 방법 개발 ... 218
  • 2.1 수목에 의한 흐름영향 ... 218
  • 2.2 수목 조도계수 산정 ... 219
  • 2.3 항력에 의한 수목저항 산정 ... 223
  • 2.4 수목 항력계수 추정 ... 224
  • 2.5 수관부 투영면적 반영 ... 227
  • 2.6 실내 수리실험(flume-test) 결과를 활용한 모형 검증 ... 230
  • 2.7 수목 영향평가 방법 ... 240
  • 2.8 적절한 수리해석 방법의 적용 ... 269
  • 3. 하천 수목 유지관리 기술 ... 273
  • 3.1 하천 내 수목의 현장 인발시험 ... 273
  • 3.2 수목의 전도 ... 273
  • 3.3 현장 인발시험 ... 275
  • 4. 하천변 수목조사 및 잠재 수목 선정 ... 284
  • 4.1 연구 목적 ... 284
  • 4.2 문헌 연구 ... 284
  • 4.3 연구방법 ... 285
  • 4.4 결 과 ... 287
  • 4.5 결론 및 고찰 ... 311
  • 제 2 절 폐천 및 구하도 보전/복원 기술 ... 314
  • 1. 폐천 및 구하도 일반 ... 314
  •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314
  • 1.2 형성 과정 및 국내 폐천 유형 ... 315
  • 1.3 국내 폐천부지 현황 ... 325
  • 2. 폐천 및 구하도 복원설계 계획 ... 329
  • 2.1 복원 유형 ... 329
  • 2.2 구하도 복원 설계 절차 ... 336
  • 3. 사전 모니터링 및 기초자료 조사 ... 338
  • 3.1 하천지형변화 조사 ... 338
  • 3.2 유사량 측정 ... 339
  • 3.3 생태 모니터링 ... 363
  • 4. 하천 평가 ... 375
  • 4.1 영상분석을 통한 과거/현재 하도 평가 ... 375
  • 4.2 하천 평형이론 방법을 이용한 하도 평가 ... 389
  • 4.3 생태 평가 ... 404
  • 5. 복원하도 설계 ... 420
  • 5.1 하도 설계 절차 ... 420
  • 5.2 모래하천 하도설계 ... 421
  • 5.3 자갈하천 하도설계 ... 461
  • 6. 수리 검토 ... 490
  • 6.1 수리모형 실험 ... 490
  • 6.2 수치 모델링 ... 501
  • 7. 폐천 및 구하도 보전 방안 ... 510
  • 7.1 국외 보전 및 관리 현황 ... 510
  • 7.2 국내 습지형 폐천/구하도 현황 조사 ... 515
  • 7.3 습지형 폐천/구하도 평가 ... 518
  • 제 3 절 강변저류지 조성 기술 ... 539
  • 1. 강변저류지 위치 및 규모선정 기법의 개발 분야 ... 539
  • 1.1 수문-최적화 모형 ... 539
  • 1.2 수문-최적화 모형의 보완 ... 543
  • 1.3 경제성분석 기반의 강변저류지 최적위치 선정모형 ... 543
  • 1.4 제원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및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 ... 547
  • 1.5 강변저류지 홍수저감효과분석 및 최적위치선정 모형(WPS) GUI개발 ... 554
  • 1.6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강변저류지 설치 우선순위 선정 ... 557
  • 1.7 수문 및 월류제에 의한 강변저류지 홍수저감효과 개략분석 ... 561
  • 2. 강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 ... 565
  • 2.1 강변저류지 시설물 설계/운영/유지관리 기법 분석 ... 565
  • 2.2 강변저류지 홍수저감능력평가모형의 적용성 검토 ... 585
  • 2.3 강변저류지 홍수저감능력평가모형의 GUI 개발 ... 594
  • 3. 생태 평가 기준 및 모니터링 기법 개발 ... 606
  • 3.1 강변 저류지 생태특성의 조사 분석 ... 606
  • 3.2 생태학적 모니터링 평가 및 평가지표 개발 ... 624
  • 3.3 강변저류지 생태학적 계획의 모형 및 조성 지침의 개발 ... 629
  • 3.4 강변저류지 예정지의 수질조사 및 수질특성 분석 ... 653
  • 3.5 강변저류지 수질관리 ... 655
  • 4. 생태하천에서의 유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방안의 개발 ... 696
  • 4.1 유역네트워크 구축 및 구성요소별 중요도 산정기법의 개발 ... 696
  • 4.2 홍수피해영향 최소화 기법의 제안 ... 700
  • 4.3 유역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 706
  • 4.4 유역의 홍수안전도를 최대화하는 유역구성요소 설치우선순위의 결정 ... 707
  • 4.5 모형의 적용 및 민감도 분석 ... 708
  • 4.6 유역네트워크 최적화 프로그램 ... 713
  • 4.7 홍수저감효과 분석사례 ... 714
  • 제 4 절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술 ... 722
  • 1. 댐 하류 하천 식생 변화 분석 ... 723
  • 1.1 과거 항공사진 분석 ... 723
  • 1.2 현장 조사 ... 726
  • 1.3 식생 변화 분석 ... 727
  • 2. 식생 천이 단계 유형화 및 식생 특성 분석 ... 729
  • 2.1 하천 식생 천이 단계 유형화 ... 729
  • 2.2 천이 단계별 우점식생 특성 분석 ... 731
  • 3. 자갈하천과 모래하천의 식생 유입 분석 ... 732
  • 3.1 자갈하천의 식생 유입 ... 732
  • 3.2 모래하천의 식생 유입 ... 735
  • 4. 식생저항을 고려한 흐름모형 ... 744
  • 4.1 식생저항 수리모형실험 ... 744
  • 4.2 KU-RLMS 모형 ... 748
  • 4.3 KU-RLMS 모형의 식생저항모듈 ... 765
  • 4.4 KU-RLMS 모형의 검증 ... 770
  • 4.5 KU-RLMS 모형의 적용 ... 779
  • 4.6 HVSM-ER21 모형 ... 785
  • 5. 식생 천이 예측 모델 ... 789
  • 5.1 이론적 배경 ... 789
  • 5.2 구성 및 특징 ... 789
  • 5.3 모델의 시범적용 ... 791
  • 5.4 모델의 검증 ... 797
  •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00
  • 제 1 절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 ... 800
  • 1. 시험하천 운영을 통한 흐름저항 평가 분야 ... 800
  • 2. 수목영향 평가 모형의 개발 및 검증 분야 ... 801
  • 3. 하천 수목유지관리 기술 분야 ... 802
  • 4. 하천변 수목조사 및 잠재 수목 선정 분야 ... 803
  • 제 2 절 폐천 및 구하도 보전/복원 기술 개발 ... 805
  • 1. 국내 하천의 수리 및 생태 특성을 고려한 폐천/구하도 보전 및 복원 설계 기술 개발 ... 805
  • 1.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05
  • 1.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05
  • 2. 폐천 및 구하도 관리지침 개발 ... 806
  • 2.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06
  • 2.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07
  • 3. 폐천 및 구하도 유형평가 및 시범사업 적용 ... 807
  • 3.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07
  • 3.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08
  • 제 3 절 강변저류지 조성 기술 ... 809
  • 1. 강변저류지 위치 및 규모선정 기법의 개발 분야 ... 809
  • 1.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09
  • 1.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09
  • 2. 강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 분야 ... 810
  • 3. 강변저류지 수질관리 분야 ... 812
  • 4. 생태평가기준 및 모니터링 기법 개발 ... 813
  • 5. 생태하천에서의 유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방안의 개발 ... 814
  • 제 4 절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술 ... 815
  • 1.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본 모델 기술 분야 ... 815
  • 1.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15
  • 1.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15
  • 2. 식생천이 예측을 위한 흐름 수치모델링 기술 분야 ... 816
  • 2.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816
  • 2.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16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818
  • 제 1 절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 ... 818
  • 1. 시험하천 운영을 통한 흐름저항 평가 기술 ... 818
  • 2. 수목영향 평가 모형 개발 및 검증 ... 818
  • 3. 잠재자연하천 수목조사에 의한 수종 선정 및 유지관리 ... 819
  • 제 2 절 폐천 및 구하도 보전/복원 기술 ... 821
  • 1. 국내 하천의 수리 및 생태 특성을 고려한 폐천/구하도 보전 및 복원 설계 기술 개발 ... 821
  • 2. 폐천 및 구하도 관리지침 개발 ... 822
  • 3. 폐천 및 구하도 유형평가 및 시범사업 적용 ... 822
  • 제 3 절 강변저류지 조성 기술 ... 823
  • 1. 강변저류지 위치 및 규모선정 기법의 개발 분야 ... 823
  • 2. 강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 분야 ... 824
  • 3. 강변저류지 수질관리 분야 ... 825
  • 3.1 강변저류지 수질관리인자 및 방안 ... 825
  • 3.2 저류지 수질관리 ... 825
  • 3.3 저류지 조성 가이드라인 ... 825
  • 4. 생태평가기준 및 모니터링 기법 개발 ... 827
  • 5. 생태하천에서의 유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방안의 개발 ... 828
  • 제 4 절 하천 식생천이 예측 기술 ... 829
  • 1. 하천 식생천이 예측 모델 개발 분야 ... 829
  • 2. 식생천이 예측을 위한 흐름 수치모델링 개발 분야 ... 830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832
  • 1. 강변저류지 설치 및 운영기법 개발 분야 ... 832
  • 1.1 강변저류지의 경제성 평가 - 해외사례 ... 832
  • 2. 강변저류지 수질관리 분야 ... 834
  • 2.1 습지 수질개선 국외 과학기술자료 분석 ... 834
  • 2.2 저류지 활용 ... 834
  • 2.3 저류지 수질관리 ... 834
  • 3. 생태평가기준 및 모니터링 기법 개발 ... 836
  • 3.1 Wetlands Engineering Handbook(2000, 미국 공병단) ... 836
  • 4. 생태하천에서의 유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수저감효과 극대화 방안의 개발 ... 838
  • 4.1 HEC-EFM(Ecosystem Function Model) ... 838
  • 4.2 Spatial Planning Key Decision 'Room for the River' ... 839
  • 제7장 참고문헌 ... 84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