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책임자 |
이종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1-02 |
과제시작연도 |
2010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300028532 |
과제고유번호 |
1355061738 |
사업명 |
임상의과학자양성[10년R&D전환] |
DB 구축일자 |
2013-08-31
|
키워드 |
B형 간염 바이러스.돌연변이.B형 간염 바이러스 X 유전자.Hepatitis B virus (HBV).mutation.HBV X gene.
|
초록
▼
간세포암의 주 원인은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알려져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X 단백질(HBx)은 다양한 조절을 수행하는 단백질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주기조절, 전사활성, 신호체계조절, 세포괴사, 혈관신생, DNA 복구 기전 등에 다양하게 관여 및 중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간세포암의 발생에 관한 B형 간염 바이러스 HBx 돌연변이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96명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들 즉, 42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들, 23명의 간경변 환자들, 31명의 간암환자들을
간세포암의 주 원인은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알려져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X 단백질(HBx)은 다양한 조절을 수행하는 단백질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주기조절, 전사활성, 신호체계조절, 세포괴사, 혈관신생, DNA 복구 기전 등에 다양하게 관여 및 중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간세포암의 발생에 관한 B형 간염 바이러스 HBx 돌연변이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96명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들 즉, 42명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들, 23명의 간경변 환자들, 31명의 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B형 간염 바이러스 X유전자의 염기순서분석과 그 결과 도출된 중요 돌연변이의 역할 규명을 위하여 체외 기능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전자형 분석 결과 모든환자의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유전자형 C2이었다. 간세포암환자에서는 HBx131, HBx130, HBx5, HBx94, HBx38 단백질의 변이가 순서대로 비교적 높게 도출되었다. 다양한 변이형태 중 HBx130+HBx131 중복변이와 HBx5+HBx130+HBx131 삼중변이가 간세포암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고연령층 간세포암 환자는 저연령층 간세포암 환자에 비하여 HBx130+HBx131 중복변이와 HBx5+HBx130+HBx131 삼중변이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Bx130+HBx131 중복변이와 HBx5+HBx130+HBx131삼중변이는 간세포암환자와 간경변 없는 단순 B형 간염환자를 비교 시 각각 3.75배, 5.34배 간세포암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적으로 야생형, HBx5 단일변이, HBx130+HBx131중복변이, HBx5+HBx130+HBx131삼중변이를 비교해 본 결과 감염 배양 상층액의 HBsAg, HBeAg의 발현 정도는 모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 세포 추출물의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수준 역시 전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HBx5 단일변이, HBx130+HBx131 중복변이의 경우 야생형이나 HBx5+HBx130+HBx131 삼중변이보다 NF-κB의 전사활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HBx5 단일변이, HBx130+HBx131 중복변이의 경우 NF-κB 신호체계의 전사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HBx5+HBx130+HBx131 삼중변이는 NF-κB 활성도를 증가시키지 않았기에 NF-κB 활성을 조절하는 다른 종류의 신호전달체계가 작용하리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B형 간염의 특정 HBx 돌연변이가 NF-κB 전사활성 과정을 통하여 간세포암의 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 C2형에서 HBx5 변이는 간세포암 발생의 위험 인자로서의 가능성이 있으며,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임상 결과를 예측하는 표지자로서의 기여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s known as a major etiology of hepatocellular carcinoma(HCC) pathogenesis. HBV X (HBx) protein was known as a multifunctional regulatory protein, which interact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a variety of targets and mediates many cellular functions, includin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s known as a major etiology of hepatocellular carcinoma(HCC) pathogenesis. HBV X (HBx) protein was known as a multifunctional regulatory protein, which interact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a variety of targets and mediates many cellular functions, including cell cycle regulation, transcriptional transactivation, regulation of signaling pathways, apoptosis, angiogenesis, and DNA repair mechanism.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HBx mutations on HCC development.
Chronically HBV infected 96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42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23 liver cirrhosis (LC) patients, and 31 HCC patients. Direct sequencing of the HBV X gene and in vitro functional study of significant HBx mutations were performed. Genotype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patients had genotype C2 HBV. Direct sequencing showed HBx131, HBx130, HBx5, HBx94, and HBx38 amino acid mutations were relatively frequent in HCC patients in that order. Of various mutations, HBx130+HBx131 double mutations and HBx5+HBx130+HBx131 triple mut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 in HCC patients. Older HCC patients showed a trend to have more HBx130+HBx131 double mutations and HBx5+HBx130+HBx131 triple mutations than younger HCC patients. HBx130+HBx131 double and HBx5+HBx130+HBx131 triple mutations increased the risk for HCC by 3.75 fold (95% CI = 1.101-12.768, P = 0.003), and 5.34 fold (95% CI = 1.65-17.309, P= 0.005), respectively, when HCC patients were compared with CHB patients without cirrhosis.
Functio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BsAg and HBeAg expression in transfected cell culture supernatants with HBV construct containing wild type, HBx5 mutant, HBx130+HBx131 double mutant, and HBx5+HBx130+HBx131 triple mutant. Also the level of HBV DNA was not different among each mutant transfected cell.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F-κB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activity in cells transfected with HBx5 mutant and HBx130+HBx131 double mutant than that of wild type and HBx5+HBx130+HBx131 triple mutant. HBx5 mutation and HBx130+HBx131 double mutations appear to modulate transcriptional transactivating function of the NF-κB signaling pathway.
However, HBx5+HBx130+HBx131 triple mutant did not increase NF-κB activity, there seems to be another pathway to regulate NF-κB activation.
In conclusion, specific HBx mutation may promote to HCC development by activating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HBx5 mutation in genotype C2 HBV seems to be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HCC and may be a useful marker for prediction of clinical progress of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목차 Contents
- I. 총괄현황 ... 1
- 1. 겉표지 (앞면) ... 2
- 2. 제출문 ... 5
- 3. 보고서 요약서 ... 6
- 4. 요약문 (한글) ... 7
- 5. 요약문 (영문) ... 8
- 6. 연구 성과 실적 및 향후 계획 ... 9
- 6.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실적 및 향후 계획 ... 9
- 6.2. 연구성과 유형별 세부 내역 ... 10
- 7. 참여연구원 현황표 ... 13
- II. 총괄연구과제 연구결과 ... 14
- 1. 연구개발과제의 배경 및 필요성 ... 15
-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5
- 3.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체계 ... 16
- 4.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7
- 5.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22
- 5.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22
- 5.2. 관련분야 기여도 ... 24
- 7.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 24
- 8.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5
- 9.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5
- 10. 참고문헌 ... 2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