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한국형유인우주프로그램개발
Development of Korean Manned Space Progra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지식경제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300029238
과제고유번호 1345161571
DB 구축일자 2013-09-14

초록

III. 연구개발의 내용
○ 우주실험 추진을 위한 지상연구
○ 한국형 유인우주 프로그램(훈련) 개발
○ 한국 우주인 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저변확대

Abstract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ummary ... 5
  • CONTENTS ... 7
  • 목 차 ... 9
  • 표 차례 ... 15
  • 그림 차례 ... 16
  • 제 1 장 서 론 ... 20
  • 1.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20
  •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20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21
  • 가.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 21
  • 3.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23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5
  • 제 1 절 국내외의 우주실험 현황 ... 25
  • 1. 우주실험의 개요 ... 25
  • 2. 우주실험환경 조성을 위한 주요설비 ... 26
  • 가. 자유낙하탑 (Drop-tower, Drop-shaft, Drop-tube) ... 27
  • 나. 포물선(무중력)비행 (Parabolic Flight) ... 28
  • 다. 과학로켓 (Sounding Rocket) ... 29
  • 라. 소규모 인공위성 (Small Satellite) ... 30
  • 마. 우주정거장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 31
  • 3. 우주선진국의 유인우주실험 현황 ... 32
  • 가. 미국(NASA)의 유인 우주실험 ... 34
  • 나. 러시아(FSA)의 유인 우주실험 ... 35
  • 다. 유럽연합(ESA)의 유인 우주실험 ... 36
  • 라. 일본(JAXA)의 유인 우주실험 ... 37
  • 마. 중국(CNSA)의 유인 우주실험 ... 38
  • 4. 국내 우주실험협력현황 ... 39
  • 가. 한-NASA 우주실험 ... 39
  • 나. 한-JAXA 우주실험 ... 39
  • 다. 기타 국가와의 우주실험 ... 39
  •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40
  • 제 1 절 항우(연) 기초연구 및 ISS활용 국제공동 우주실험추진 ... 40
  • 1. C. Elegans 지상 기초연구 ... 40
  • 가. 기 수행 실험 ... 40
  • (1) 우주방사선에 의한 C. elegans 의 유전자 변형 여부 예측 실험 ... 41
  • (2) 중력가속도에 의한 C. elegans 반응 실험 ... 42
  • (3) Microarray 분석 ... 43
  • (4) 정보 획득 및 분석 ... 43
  • 나. 분석 결과 ... 45
  • (1) 우주방사선이 C. elegans에 미치는 영향 ... 45
  • (2) 중력가속도가 C. elegans에 미치는 영향 ... 49
  • 다. 결론 ... 52
  • 2. 국제우주정거장 화재(연기)거동 시뮬레이션 ... 53
  • 가. 수치 해석모델 ... 53
  • (1) 수치(시뮬레이션) 계산방법 ... 53
  • (2) 모델링 및 경계조건 ... 54
  • 나. 수치(시뮬레이션) 해석결과 ... 56
  • 다. 결 론 ... 62
  • 3. 우주저울 성능개선 연구 및 기타 지상기반 연구진행 현황 ... 63
  • 가. 우주저울 성능개선 연구 ... 63
  • (1) 우주저울 개념 설계 및 구성 ... 64
  • (2) 우주저울 성능테스트 및 향후 국제협력 추진현황 ... 65
  • 나. 교육용 Droptower의 제작 및 자유낙하 실험 ... 71
  • (1) 소형 낙하탑 제작 ... 72
  • (2) 교육용 Drotptower의 자유낙하 실험결과 ... 74
  • 4. JEM활용 국제공동우주실험 추진을 위한 타당성연구 ... 78
  • 가. 2011년도 우주실험 타당성 조사 추진 현황 ... 80
  • 나. 2011년도 우주실험 타당성 조사결과 ... 81
  • 5. 항우(연)-JAXA 공동 우주실험 추진을 위한 학·연협력 마이크로중력환경 활용 기반 연구 ... 83
  • 가. 생명과학분야 우주실험 상세설계 ... 83
  • (1) 연구개발의 내용 ... 83
  • (2) 연구개발결과 ... 87
  • (3)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88
  • 나. 재료과학분야 우주실험 상세설계 ... 88
  • (1) 연구개발 내용 ... 88
  • (2) 연구개발결과 ... 91
  • (3)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91
  • 다. 연소과학분야 우주실험 상세설계 ... 91
  • (1) 연구개발의 내용 ... 92
  • (2) 연구개발결과 ... 95
  • (3)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95
  • 라. 연소/신소재분야 우주실험 상세설계 ... 96
  • (1) 연구개발의 내용 ... 96
  • (2) 연구개발결과 ... 100
  • (3)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00
  • 마. 마이크로로중력 지상 모방장비 상세설계 ... 101
  • (1) 연구개발의 내용 ... 101
  • (2) 연구개발결과 ... 105
  • (3)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05
  • 제 2 절 한국형 우주인 훈련프로그램 ... 107
  • 1. 기본소양교육 ... 107
  • 가. 우주개발 역사 및 현황 ... 107
  • (1) 해외우주개발 역사 ... 107
  • (2) 국내우주개발 역사 ... 107
  • (3) 유인우주개발 프로그램 역사 ... 108
  • 나. 우주기술분야교육 ... 108
  • 다. 우주 및 기초과학분야 기본 교육 ... 109
  • (1) 우주환경 ... 109
  • (2) 궤도역학 ... 109
  • (3) 물리학 ... 109
  • (4) 천문학 ... 109
  • (5) 재료공학 ... 110
  • (6) 생명공학 ... 110
  • (7) 연소공학 ... 110
  • 2. 임무수행교육 ... 110
  • 가. 마이크로 중력에 대한 이해 ... 110
  • (1) 세계 우주실험 역사 및 현황 교육 ... 110
  • (2) 국내 우주실험 프로그램 역사 및 현황 ... 111
  • (3) 마이크로중력 우주환경 교육 ... 111
  • 나. 우주실험 수행준비 ... 111
  • 3. 우주인 활동 준비 ... 111
  • 가. 카메라 및 방송교육 ... 111
  • 나. 아마추어 HAM ... 112
  • 다. 이미지 메이킹 ... 112
  • 4. 우주적응훈련분야 ... 113
  • 가. 목표 ... 113
  • (1) 우주인으로서 항공우주생리 기본지식 배양 ... 113
  • (2) 우주 임무 및 고등훈련기 탑승 관련 임무수행능력 배양 ... 113
  • 나. 훈련내용 및 훈련시간 ... 113
  • (1) 중력가속도 ... 113
  • (2) 고공저압환경 ... 114
  • (3) 여압복훈련 ... 115
  • (4) 공간정위상실 ... 115
  • (5) 비상탈출 ... 115
  • 5. 생환교육훈련 ... 116
  • 가. 해양조난에 대비한 생환훈련 ... 116
  • (1) 목표 ... 116
  • (2) 내용 ... 116
  • (3) 헬리곱터 구출 훈련 ... 117
  • 나. 산악조난에 대비한 생환훈련 ... 118
  • (1) 목표 ... 118
  • (2) 내용 ... 118
  • 다. 생환훈련 요약 ... 120
  • 6.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 분야 ... 121
  • 가. 교육훈련 목표 ... 121
  • 나. 세부 교육훈련 내용 ... 121
  • (1) 건강관리 ... 121
  • (2) 체력증진 ... 122
  • 7. 비행적응 훈련 ... 122
  • 가. 해외 고공훈련기 Northrop T-38 Talon ... 122
  • 나. 국내 고공훈련기 T-50 골든이글 ... 123
  • 8. 해외 우주인 훈련프로그램 ... 124
  • 가. 러시아 ... 124
  • (1) 소유즈TMA 구조 이론 및 실습 훈련 ... 124
  • (2) ISS 모듈 대비 교육훈련(생명유지장치, 통신, 조정장치) ... 126
  • (3) 무중력 훈련 ... 128
  • (4) 의생리학 훈련 ... 128
  • (5) 「Vestibular」훈련 ... 129
  • (6) 하이드로 랩 훈련 ... 129
  • (7) 「Edge of space」훈련 ... 130
  • 나. 미국(ETC) ... 130
  • (1) 기초훈련 ... 130
  • (2) 우주적응 훈련 ... 131
  • (3) 생존훈련 ... 133
  • 다. 일본 ... 133
  • (1) 훈련프로그램 이론분야 ... 134
  • (2) 기초과학 ... 134
  • (3) ISS와 Kibo 시스템 ... 134
  • (4) 기초능력 훈련 ... 134
  • 라. 유럽 ... 136
  • (1)유럽우주인센터 훈련시설 현황 ... 136
  • (2)유럽우주인센터 훈련과정 ... 136
  • 제 3 절 국내과학문화 확산활동 전개 ... 139
  • 1. 한국우주인(이소연) 활동 사항 ... 139
  • 가. 유인우주프로그램 성과 과학문화확산 활동 ... 140
  • (1) 한국우주인 배출 3주년 특별전시회 ... 140
  • (2) ISU SHS-SP 교원 참여 및 현지 학생 대상 특별강연 ... 141
  • 나. 과학문화확산 활동 분야 ... 143
  • (1) 교육·강연 등 과학문화확산 활동 분야 ... 143
  • (2) 대중매체를 활용한 과학문화확산 활동 분야 ... 148
  • 다. 환경관련 활동을 통한 국민들의 지구사랑 관심 제고 ... 151
  • (1) SBS 스페셜 ‘몽골에서 지구를 지키다 (’11.5.10) ... 151
  • (2) 물 환경 대상 특집 ‘3인의 에코프로포즈 (’11.11.22) ... 152
  • 라. 대외협력분야 주요 활동 내용 ... 153
  • (1) ISMS 2011 참석 및 Stanford University 한인 학생 대상 강연 ... 153
  • (2) UN COPUOS 50주년 우주인 패널 토론 참석 ... 154
  • (3) ISU SSP 2011 교원 참여 ... 155
  • (4) ASE 2011 참석 및 지역 주민 대상 특별 강연 ... 157
  • (5) IAC 2011 논문 발표 및 학회 참석 ... 159
  • (6) UN/Malaysia Expert Meeting 참석 ... 161
  • 마. 한국우주인배출사업 3주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162
  • (1) 사회적 효과 ... 162
  • (2) 경제적 효과 ... 163
  •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대여기여도 ... 165
  • 1. 기대성과 ... 165
  • 가. 기술적 측면 ... 165
  • 나. 경제·산업적 측면 ... 166
  •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167
  • 제 6 장 참고문헌 ... 16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