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한지 지반 안정화 기술 개발(III)
Development of Extreme Cold Region Ground Stabilization Techn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300035769
DB 구축일자 2013-12-21
키워드 극한지.열역학적 특성.급속안정화 공법.온도제어형 구조체.Cold Region.Thermosyphon.Thermal Characteristics.Rapid Ground Stabilization Technology.

초록

II. 연구목적
본 보고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주관하는 기관고유사업 “극한지 하부구조 급속시공 플랫폼 기술개발”의 세세부과제로서 극한지 지반 안정화 기술의 국제적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극한지 지반 안정화 기술의 현 위치를 재조명하여 앞으로 국내 건설이 나아갈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과학기지 건설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남/북극과 에너지 개발로 각광받고 있는 러시아/중국에 위치한 극동지역을 대상으로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약지반의 급속 처리와 동토지반 교란으로 발생하는 지반 열불균형을 해소하는 기술

Abstract

II. OBJECTIVES
This research is performed in part of "Extreme Cold Region Construction and Technology Projec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international construction technology in cold regions, and then figured ou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level in c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문 ... 2
  • Summary ... 12
  • 목 차 ... 15
  • 표 목 차 ... 18
  • 그림목차 ... 19
  • Contents ... 22
  • List of Table ... 24
  • List of Figures ... 25
  • 제 1 장 서 론 ... 28
  • 1. 연구의 배경 ... 28
  • 1.1 개요 ... 28
  • 1.2 연구의 필요성 ... 29
  • 1.3 연구의 비전 및 목표 ... 30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1
  • 제 2 장 지반의 열적 특성 분석 ... 33
  • 1. 서 론 ... 33
  • 2. 시험 대상 시료 ... 35
  • 3. 시험 장치 및 방법 ... 36
  • 4. 포화된 혼합세립토의 유효 열전도계수 산정 ... 39
  • 5. 시험 결과 분석 ... 41
  • 6. 소 결 ... 45
  • 제 3 장 열 사이펀의 성능평가 방안 ... 46
  • 1. 개 요 ... 46
  • 2. 열 사이펀(Thermosyphon) 현황조사 ... 48
  • 2.1 열 사이펀의 정의 및 메커니즘 ... 48
  • 2.2 적용성 및 특징 ... 49
  • 2.3 열 사이펀의 기술 현황 ... 50
  • 2.4 열 사이펀 적용 사례 조사 ... 53
  • 2.4.1 Chena Hot Spring Road Test ... 54
  • 2.4.2 Qinghai-Xiang Railroad(China) ... 55
  • 3. 열 사이펀의 설계 및 시공 ... 58
  • 3.1 열 사이펀 작동유체의 종류 및 특성 파악 ... 58
  • 3.1.1 열 사이펀 작동유체 R-134a ... 59
  • 3.2 열 사이펀 설계 및 시공 매뉴얼 ... 61
  • 4. 열 사이펀의 성능평가 ... 64
  • 4.1 열 사이펀 성능 평가를 위한 실내실험장치 ... 64
  • 4.2 열 사이펀 성능 평가 실험 ... 65
  • 5. 소 결 ... 73
  • 제 4 장 열 사이펀 현장 적용성 평가 ... 74
  • 1. 개요 ... 74
  • 2. 온도제어형 구조체 개발 ... 76
  • 2.1 남극 세종기지 현장 성능 평가 ... 77
  • 2.1.1 남극 세종기지 현황 ... 77
  • 2.1.2 온도제어형 구조체의 현장 적용성 평가 ... 78
  • 2.1.3 온도제어형 구조체의 현장 적용성 데이터 분석 ... 81
  • 3. 열 사이펀 현장 적용을 위한 실대형 모형토조 실험 ... 85
  • 3.1 실험방법 및 결과 ... 85
  • 4. 소 결 ... 91
  • 제 5 장 비포장 급속 복구 공법 개발 ... 92
  • 1. 서 론 ... 92
  • 2. 국외 비포장 급속 복구공법 현황 조사 ... 93
  • 2.1 연약지반 표층처리공법의 종류 및 특징 ... 93
  • 2.2 표층처리공법의 선정 ... 96
  • 2.3 극한지 비포장 운송로 긴급복구 공법 선정 ... 97
  • 2.4 시트공법의 설계 ... 98
  • 3. 구조안정 해석 ... 101
  • 3.1 이동식 포장층 제원 ... 102
  • 3.1.1 차륜 접지압 ... 102
  • 3.1.2 재료물성치 ... 104
  • 3.1.3 이동식 포장층의 제원 ... 105
  • 3.2 해석모델 개요 ... 106
  • 3.3 포장층의 자유물체도 및 개별 해 ... 107
  • 3.3.1 탄성지지보 A의 해 ... 107
  • 3.3.2 탄성지지보 B의 해 ... 109
  • 3.3.3 보 C의 해 ... 110
  • 3.4 포장층 전체의 거동 ... 112
  • 3.4.1 포장층 전체의 해 ... 112
  • 3.4.2 최종 해의 계산 ... 112
  • 3.5 해석 결과 ... 115
  • 3.5.1 결과의 검증 ... 120
  • 3.6 되메움을 가정한 이동식 포장공의 제원 ... 123
  • 3.6.1 되메움을 가정한 이동식 포장공의 적용 가능성 검토 ... 123
  • 4. 급속 복구공법 최적형상 도출 ... 126
  • 5. 소 결 ... 131
  • 제 6 장 결 론 ... 132
  • 참고문헌 ... 134
  • 부록 1 실내실험 결과 정리 ... 138
  • 부록 2 열 사이펀 성능평가 데이터 ... 143
  • 서지자료 ... 158
  • Bibliographic Data ... 159

표/그림 (8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