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퍼 단열재의 개발
Development of Super Insulator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책임자 송태호
참여연구자 권재성 , 장효충 , 김기현 , 장하영 , 김종민 , 여인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2
과제시작연도 2010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록번호 TRKO201400000309
과제고유번호 1345136700
사업명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DB 구축일자 2014-06-07
키워드 진공.단열.에너지 소비 절감.진공단열재.Vacuum.Insulation.Energy saving.Vacuum insulation panel.

초록

연구개요 (정의, 중요성, 연구목표 및 성과, 독특성 및 발견사항)
인류가 소비하는 에너지 총량의 약 절반 가량이 건물의 냉난방에 소비가 되고 있다. 이러한 냉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지난 한세기 동안 30mW/m∙K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열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수퍼 단열재를 개발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첫째, 다층으로 이루어진 진공상태의 단열재를 2,3년 내로 개발하여 기존 단열재보다 단열성능이 10~100배

Abstract

Energy in the world is mostly consumed by the space heating and refrigeration.
Although insulation materials are used to reduce energy loss, their insulation performances have been stagnant at the level of 30mW/m·K thermal conductivity for one century. If there is an excellent insulation material

목차 Contents

  • EEWS Research 2010 Final Report ... 1
  • Summary (English) ... 2
  • 국문 요약문 ... 3
  • 1. Research Purpose ... 4
  • (1) Importance and originality ... 4
  • (2) Expected impact of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 5
  • 2. Research Target and Achievement ... 8
  • 3. Research Method ... 9
  • (1) Contents ... 9
  • (2) Scope ... 11
  • 4. Research Results ... 12
  • (1) Outcome results ... 12
  • (2) Further research required ... 12
  • (3) Findings deserve to press ... 12
  • 5. Research Outcomes ... 25
  • (1) Publication ... 25
  • (2) Conference presentation ... 26
  • (3) Patents ... 26
  • (4) Creation of New Big Project ... 26
  • 6. Reference ... 26
  • 1. 연구목적 ... 27
  • (1) 중요성 및 신규성 ... 27
  • (2) 기대효과 및 사업성 ... 29
  • 2. 연구목표와 성과 ... 31
  • 3. 연구방법 ... 32
  • (1) 연구내용 ... 32
  • (2) 연구범위 ... 35
  • 4. 연구결과 및 고찰 ... 35
  • (1) 연구결과 ... 35
  • (2) 수반되어야 할 (후행)연구내용 ... 35
  • (3) 보도할 만한 내용 ... 36
  • 5. 연구결과물 발표실적 ... 49
  • (1) 학회발표 ... 49
  • (2) 논문 ... 49
  • (3) 특허 ... 49
  • (4) 대형 신규과제 발굴의 기여 ... 50
  • 6. 참고문헌 ... 50
  • 끝페이지 ... 50

표/그림 (5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