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방지 기술개발
Development of a Vertical Fire Spread Prevention Technology on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민세홍
참여연구자 사재천 , 이재문 , 윤정은 , 김미숙 , 장영진 , 정상호 , 채창훈 , 배연준 , 선주석 , 김석준 , 김석원 , 허원일 , 안병권 , 최용묵 , 유용호 , 권오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6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사업 관리 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등록번호 TRKO201400001187
과제고유번호 1665005828
사업명 11년도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4-05-10
키워드 수직확산화재.외단열시스템.화재모델링.실물화재실험 등.화재물성예측툴.

초록

연구목적
○ 제한 규정이 없이 시판되고 있는 외장재에 대해 중·소형 및 실대형 화재실험을 통한 화재위험성평가로 외장재 기준을 설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외장재 시공 건축물에 대해 사전에 실건축물의 화재모델링으로 화재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사전에 위험을 차단하여, 수직확산화재 예측 모델, 외장재 화재 억제기술 및 외장재 건축물 관리기술의 개발을 통해 인명·재산피해의 최소화를 실현하도록 매뉴얼을 제시함.
연구내용
○ 화재 및 열물성 실험 결과를 이용한 외장재 내부 열전달 모델 개발
- 외부 화원 및 재료에 따른 외

Abstract

Ⅰ. Tittle
Development of a Vertical Fire Spread Prevention Technology on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Ⅱ. Study Purpose
1. This study aims to analyze risk factors through a classification of exterior materials, an analysis of fire cases on exterior materials, a survey of fire sites, etc. for

목차 Contents

  • 제출문 ... 1
  • 요약서(초록) ... 2
  • 요약문 ... 4
  • SUMMARY ... 9
  • 차례 ... 16
  • 그림차례 ... 27
  • 표차례 ... 51
  • 제 1 장 서 론 ... 61
  • 1.1 연구의 목적 ... 61
  • 1.2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64
  • 1.2.1 1차년도 (2010.07.01 ~ 2010.12.31) ... 64
  • 1.2.2 2차년도 (2011.01.01 ~ 2012.06.30) ... 65
  • 1.3 연구개발 추진체계 ... 68
  • 1.4 연구 기대효과 ... 71
  • 제 2 장 화재통계 분석 및 외장재 화재 사례 ... 73
  • 2.1 건축물 용도별 외벽화재 통계 ... 73
  • 2.1.1 2007년 외벽화재 통계 ... 73
  • 2.1.2 2008년 외벽화재 통계 ... 74
  • 2.1.3 2009년 외벽화재 통계 ... 75
  • 2.1.4 2010년 외벽화재 통계 ... 76
  • 2.1.5 2011년 외벽화재 통계 ... 77
  • 2.2 화재통계 분석 ... 78
  • 2.2.1 최근 5년간 화재발생현황 분석 ... 78
  • 2.2.2 발화장소별 화재발생현황 분석 ... 79
  • 2.2.3 외벽화재 발생현황 분석 ... 80
  • 2.2.4 건축용도별 외벽화재 발생현황 분석 ... 81
  • 2.3 외장재 화재 사례 ... 84
  • 2.3.1 외국사례 ... 84
  • 2.3.2 국내사례 ... 97
  • 제 3 장 외장재 분류 및 현장조사 ... 110
  • 3.1 외장재 분류 ... 110
  • 3.1.1 유리 커튼월 ... 110
  • 3.1.2 금속패널 ... 111
  • 3.1.3 석재류 ... 117
  • 3.1.4 타일류 ... 118
  • 3.1.5 도장 ... 118
  • 3.1.6 목재류 ... 119
  • 3.1.7 콘크리트(Concrete) ... 120
  • 3.1.8 드라이비트 ... 120
  • 3.1.9 압출성형 시멘트 (Autoclaved cement extrusion) ... 121
  • 3.2 외장재의 현장조사 ... 123
  • 3.2.1 Sampling 기법을 이용한 현장조사 ... 123
  • 3.2.2 외장재 현장조사 중 위험요소 ... 127
  • 3.3 부산 해운대 우신 골든스위트 현장조사 ... 130
  • 3.3.1 건축물 개요 ... 130
  • 3.3.2 화재개요 및 일반사항 ... 130
  • 3.3.3 현장조사일정 ... 132
  • 제 4 장 관련이론 ... 133
  • 4.1 국내·외 외장재 법적기준 ... 133
  • 4.1.1 국내 외장재 법적기준 ... 134
  • 4.1.2 국외 외장재 법적기준 ... 138
  • 4.2 화재의 성상 ... 141
  • 4.2.1 화염전파이론 ... 141
  • 4.2.2 복사열전달 이론 ... 142
  • 4.3 외장재 화염 수직확산 이론 ... 144
  • 4.3.1 화염의 수직확산 개요 ... 144
  • 4.3.2 개구부를 통한 화염의 분출 ... 150
  • 4.3.3 방화성능 측면에서 본 외벽 개구부의 특성 ... 163
  • 4.4 화재모델링 이론(Ver. FDS5.3.3) ... 165
  • 4.4.1 화재모델링의 분류 ... 165
  • 4.4.2 FDS 개요 ... 166
  • 4.4.3 FDS 특성 ... 166
  • 4.4.4 입력데이터 및 물성데이터 ... 168
  • 제 5 장 위험인자 위험성 평가 실험 ... 169
  • 5.1 칼라부직포 연소실험 ... 169
  • 5.1.1 칼라부직포의 화재위험성 ... 169
  • 5.1.2 칼라부직포의 분류 및 제조공정 ... 170
  • 5.1.3 칼라부직포의 연소실험 ... 173
  • 5.1.4 실험결과 ... 186
  • 5.2 에어컨디셔너 실외기 연소실험 ... 187
  • 5.2.1 에어컨디셔너 실외기의 구조 및 역할 ... 187
  • 5.2.2 화재 위험성 및 화재사례 ... 188
  • 5.2.3 가정용 소형 에어컨디셔너 실외기 연소실험 ... 190
  • 5.2.4 멀티형 에어컨디셔너 실외기 연소실험 ... 203
  • 5.2.5 실험결과 ... 218
  • 5.3 난연소재와 일반소재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연소특성 ... 219
  • 5.3.1 연소실험의 개요 ... 219
  • 5.3.2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연소실험 ... 219
  • 5.3.3 결론 ... 231
  • 5.4 외단열시스템 방염 성능실험 ... 233
  • 5.4.1 개요 ... 233
  • 5.4.2 외벽 마감재의 건축법 규정 ... 235
  • 5.4.3 방염 ... 235
  • 5.4.4 방염처리한 외단열시스템의 화재안전 성능평가 실험 ... 237
  • 5.4.5 시험결과 및 분석 ... 242
  • 제 6 장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제시 ... 247
  • 6.1 외장재 설치부분의 화재확산 ... 247
  • 6.1.1 연돌효과 ... 247
  • 6.1.2 부력 ... 250
  • 6.1.3 바람의 영향(Wind Effect) ... 251
  • 6.2 창호부분 관통부로의 화재확산 ... 256
  • 6.2.1 연소확대 경로 ... 256
  • 6.2.2 틈새의 구획 규정 ... 259
  • 6.3 화재확산의 차단방법 개발 ... 261
  • 6.3.1 외장재 설치 부분의 풍속측정 ... 261
  • 6.3.2 외장재 설치부분의 연돌효과에 대한 모델링 ... 266
  • 6.3.3 화재확산 차단을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의 제안 ... 269
  • 제 7 장 외장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 개발 ... 271
  • 7.1 헤드개발 ... 271
  • 7.1.1 실험개요 ... 272
  • 7.1.2 실험장치의 구성 ... 272
  • 7.1.3 헤드실험과정 ... 275
  • 7.1.4 실험 결과 ... 284
  • 7.2 실제건축물의 헤드성능평가 실험 ... 288
  • 7.2.1 실험 개요 ... 288
  • 7.2.2 실험장치의 구성 ... 290
  • 7.2.3 헤드성능평가 실험과정 ... 291
  • 7.2.4 실험결과 ... 292
  • 7.3 결 론 ... 297
  • 제 8 장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제안 ... 298
  • 8.1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의 개요 ... 298
  • 8.1.1 시스템의 개요도 ... 298
  • 8.1.2 설계기준 ... 300
  • 8.1.3 화재안전기준(NFSC)의 적용 제안 ... 301
  • 8.2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 318
  • 8.2.1 시스템의 구성 ... 318
  • 8.2.2 시스템 설계 ... 320
  • 8.2.3 외벽방호용 시스템 공사비 산정 ... 326
  • 8.3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의 소화성능 검증 ... 329
  • 8.3.1 화재실험 장치 및 실험방법 ... 329
  • 8.3.2 건물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의 소화 성능검증을 위한 실험 ... 336
  • 8.3.3 헤드의 외벽설치에 따른 미관의 고려 ... 363
  • 8.4 실대형 외장재 소화설비 모델링 ... 366
  • 8.4.1 개요 ... 366
  • 8.4.2 모델링 결과 ... 368
  • 제 9 장 외장재 화재 진압 매뉴얼 제시 ... 373
  • 9.1 서 론 ... 373
  • 9.2 초고층건축물의 정의·현황 및 화재사례 ... 375
  • 9.2.1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 ... 375
  • 9.2.2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 ... 376
  • 9.2.3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사례 ... 380
  • 9.3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진압에 대한 문제점 ... 395
  • 9.4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진압 방법 ... 400
  • 9.4.1 초고층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 ... 400
  • 9.4.2 국내·외의 화재진압 방법 ... 401
  • 9.5 초고층 외장재 화재 시 진압대책 제안 ... 417
  • 9.5.1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 방법 개선 ... 417
  • 9.5.2 특수 소방시설 설치 방안 ... 428
  • 9.5.3 소방대 화재진압 장비의 개선 방안 ... 438
  • 9.5.4 옥상광장 등에 대한 화재 위험성 개선 방안 ... 451
  • 9.5.5 진압활동의 지원방안 개선 ... 471
  • 제 10 장 화재시나리오에 의한 모델링 분석 ... 484
  • 10.1 외장재 물성 DB(Database) 및 화재시나리오 ... 484
  • 10.1.1 외장재 물성 DB 적용 개요 ... 484
  • 10.1.2 화재시나리오 ... 493
  • 10.2 건물의 형태별 외장재 화재 패턴 모델링 ... 495
  • 10.2.1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 ... 495
  • 10.2.2 건물 형태에 따른 화재 성상 분석 ... 497
  • 10.2.3 결과 및 고찰 ... 509
  • 10.3 해운대 우신 골든스위트 화재 모델링 ... 511
  • 10.3.1 모델링 개요 ... 511
  • 10.3.2 화재시나리오 ... 512
  • 10.3.3 시간대별 화재 성상 ... 512
  • 10.3.4 결과 및 고찰 ... 519
  • 10.4 개구부를 통한 외장재의 동시다발적 화재 모델링 ... 520
  • 10.4.1 개구부를 통한 외장재화재의 위험성 ... 520
  • 10.4.2 모델링 입력데이터 추출 실험 ... 520
  • 10.4.3 화재모델링 ... 523
  • 10.4.4 시뮬레이션 결과 ... 526
  • 10.5 외장재에 의한 동시다발적인 화재의 피난 모델링 ... 533
  • 10.5.1 시뮬레이션 개요 ... 533
  • 10.5.2 피난 모델링 ... 533
  • 10.5.3 피난 시나리오 ... 536
  • 10.5.4 결과 및 고찰 ... 537
  • 10.5.5 소결 ... 545
  • 제 11 장 건축물 외장재의 실대형 수직화재 확산 성능 평가 기술 개발 ... 546
  • 11.1 연구의 필요성 ... 546
  • 11.2 연구의 목적 ... 547
  • 11.3 연구범위 ... 549
  • 제 12 장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 안전 ... 551
  • 12.1 건축물 화재 특성 연구 ... 551
  • 12.2 국내·외 건축물 외장재 관련 기준 ... 559
  • 제 13 장 건축 재료의 화재 성능 평가 ... 575
  • 13.1 국외 건축 재료 성능 평가 ... 575
  • 13.2 국내 건축 재료 성능 평가 ... 584
  • 13.2.1 소규모 화재 시험 성능 평가 ... 584
  • 13.2.2 중규모 화재 시험 성능 평가 ... 586
  • 제 14 장 건축물 외장재의 실대형 화재 실험 ... 591
  • 14.1 건축물 외장재 실대형 수직 화재 시험 방법 ... 591
  • 14.1.1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 ... 591
  • 14.1.2 건축물 외장재의 실대형 화재 시험 방법 ... 597
  • 4.2 건축물 외장재 실대형 수직 화재 시험 결과 ... 601
  • 14.3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시뮬레이션 ... 625
  • 14.3.1 Fire Dynamics Simulation ... 625
  • 14.3.2 수치해석 지배방정식 ... 627
  • 14.3.3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시험 시뮬레이션 ... 630
  • 14.4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성능 ... 633
  • 제 15 장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 법적 기준 ... 640
  • 15.1 외벽 마감재료 사용제한 대상 건축물 확대 ... 640
  • 15.1.1 국내 초고층 건축물 현황 ... 640
  • 15.1.2 우신골든스위트 화재 개요 ... 641
  • 15.1.3 건축법상의 법적 요건을 중심으로 한 화재사고 분석 ... 645
  • 15.1.4 초고층 건축물 화재안전 대책 ... 647
  • 15.2 건축법 시행령 ... 647
  • 15.3 건축물 마감재료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 구조 기준 ... 650
  • 15.4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의 화재확산등급 제안 ... 656
  • 끝페이지 ... 657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