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풍 및 태양전파 영향 분석·예측모델 설계 최종 연구개발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에스이티시스템
연구책임자 김정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1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사업 관리 기관 국립전파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400001214
과제고유번호 1575000758
사업명 우주전파교란상시감시체계구축
DB 구축일자 2014-05-10

초록

I. 개요
본 보고서는 "태양전파 영향 분석 예측 모델 설계"의 최종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본 설계의 내용에는 1) 광대역 태양전파 노이즈 관측기의 활용을 위한 태양전파 노이즈 영향분석 모델에 대한 설계, 2) NOAA SPWC 에서 태양풍 예보를 위해 운영 중인 수치모델인 ENLIL 모형의 우주전파센터 도입에 관한 내용, 3) 태양풍 지상 관측기(IPS)의 국제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관측 데이터 공유 및 모델 도입, 개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분야별 주요 설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I. 개요 ... 7
  • II. 태양전파 노이즈 영향분석 모델 ... 8
  • 1. 개요 ... 8
  • 2. 태양 전파 노이즈 주파수 별 특성 분석 ... 9
  • 2.1. Quiet Sun 성분 ... 10
  • 2.2. SVC (Slowly varying component) 성분 ... 13
  • 2.3. 태양전파 폭발 성분 ... 15
  • 2.4. 태양 전파 폭발 성분의 합 ... 16
  • 2.5. 태양전파 폭발의 빈도 분석 ... 18
  • 2.6. 요약 ... 27
  • 2.7. 참고문헌 ... 28
  • 3. 태양 전파 노이즈 영향을 받는 기기 조사 및 분석 ... 30
  • 3.1. 개요 ... 30
  • 3.2. 지상 무선 통신 장비의 관측 주파수 조사 ... 31
  • 3.2.1. 20 개 주파수 선정 ... 31
  • 3.2.2. 이동통신 주파수 ... 32
  • 3.2.3. 레이더 장비 주파수 분석 ... 34
  • 3.2.4. 위성 통신 주파수 ... 35
  • 3.2.5. RSTN 및 태양활동 지수 감시 ... 36
  • 3.2.6. 항법 주파수 ... 37
  • 3.2.7. RFID 주파수 ... 37
  • 3.3. 항법장치에의 영향 분석 ... 38
  • 4. 시험모형(prototype) 구축 ... 39
  • 4.1. 태양전파 노이즈의 변화량 ... 40
  • 4.2. CDMA 통신에의 영향도 ... 42
  • 4.3. 단계별 도식화 ... 43
  • 5. 표출 서비스 ... 44
  • 5.1. 서비스의 주기 ... 44
  • 5.2. 표출 화면 ... 46
  • 5.3. 제공 방법론 ... 48
  • 6. 결론 및 향후 진행 방향 ... 49
  • III. 태양풍 수치적 분석모델 ... 50
  • 1. 개요 ... 50
  • 2. 시스템 도입 과정 ... 52
  • 2.1. 도입논의 및 SWPC 참석 ... 52
  • 2.2. 도입 준비 및 NOAA 엔지니어 초청 설치 ... 53
  • 3. 시스템 하드웨어 ... 54
  • 4. 시스템 소프트웨어 ... 55
  • 4.1. 소프트웨어 설치 ... 57
  • 4.1.1. g95 Fortran 컴파일러 설치 ... 57
  • 4.1.2. NetCDF 라이브러리 설치 ... 58
  • 4.1.3. CFITSIO 라이브러리 설치 ... 60
  • 4.1.4. MPICH 설치 ... 61
  • 4.1.5. RSH 설정 ... 63
  • 4.1.6. 기타 소프트웨어 설치 ... 65
  • 4.2. ENLIL 코드 설치 ... 66
  • 4.2.1. ENLIL 소스 코드 구조 ... 66
  • 4.2.2. ENLIL 소스 코드 컴파일 ... 71
  • 4.2.3. ENLIL 프로그램 상세 ... 77
  • 4.3. 파일 공유 환경 설정 ... 85
  • 4.3.1. NFS4 서버 설정 ... 85
  • 4.3.2. NFS4 마운트 ... 93
  • 5. WSA-ENLIL-CONE 모델 실행 ... 94
  • 5.1. 수동 실행 ... 94
  • 5.1.1. 초기 데이터 수집 ... 94
  • 5.1.2. 실행환경 설정 ... 95
  • 5.1.3. 환경 데이터 파일 생성 ... 95
  • 5.1.4. ENLIL 연산 ... 96
  • 5.1.5. Postprocessing ... 97
  • 5.1.6. 이미지 생성 ... 98
  • 5.2. 자동 실행 ... 99
  • 5.2.1. 자동화 스크립트 상세 ... 99
  • 5.2.2. 자동화 스크립트 실행 환경 ... 107
  • 5.2.3. CAT tool 이미지용 데몬 ... 108
  • 5.3. CONE 모델 데이터 생성 ... 109
  • 5.3.1. CAT tool ... 109
  • 5.3.2. WinSCP 사용법 ... 111
  • 5.3.3. CAT tool 사용법 ... 118
  • 5.3.4. CONE 입력파일 적용 ... 130
  • 6. 생성 데이터 ... 132
  • IV. 태양풍 이동경로 실시간 분석모델 설계 ... 133
  • 1. 개요 ... 133
  • 2. 태양풍 관측 국제 교류 ... 135
  • 2.1. IPS 관측기 국제 현황 ... 135
  • 2.2. 일본 STELab IPS 관측기 ... 137
  • 2.3. 인도 ooty IPS 관측기 ... 139
  • 2.4. 멕시코 MEXART IPS 관측기 ... 140
  • 2.5. 태양풍 전문가 초청 워크샵 개최 ... 141
  • 2.5.1. 개요 ... 141
  • 2.5.2. 세미나 일정 ... 142
  • 2.6. 국가간 교류 현황 (해외) ... 143
  • 2.7. 국제 교류 현황 (우주전파센터-해외) ... 144
  • 2.7.1. 협력 합의서 체결 ... 144
  • 2.7.2. 미국 UCSD CASS 협력 합의서 세부 내용 ... 145
  • 2.7.3. 일본 나고야 대학 STELab 협력 합의서 세부 내용 ... 147
  • 3. 관측자료 교류 방안 ... 148
  • 3.1. 관측자료의 표준화 방안 ... 148
  • 3.1.1. 예보 모델 구동을 위한 관측 자료의 표준화 ... 148
  • 3.1.2. 태양풍 연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 151
  • 3.2. 관측 자료 교류 주기 ... 153
  • 4. 태양풍 예측 모델 비교 분석 ... 154
  • 4.1. Co-rotating model vs. Time-dependent model ... 154
  • 4.1.1. 개요 ... 154
  • 4.1.2. IPS Maps (Remote View) ... 156
  • 4.1.3. Sky Sweep & Ecliptic Cut ... 158
  • 4.1.4. Time series & Correlation ... 159
  • 4.2. 모델 도입 방안 ... 160
  • 5. UCSD IPS Tomography 모델 ... 161
  • 5.1. UCSD IPS Tomography 모델의 시험 운영 ... 161
  • 5.2. UCSD IPS Tomography 모델 운영환경 ... 162
  • 5.3. UCSD IPS Tomography 모델 운영 구조 ... 163
  • 5.4. UCSD IPS Tomography 모델 입력 데이터 ... 164
  • 5.4.1. 입력 데이터 디렉터리 구조 ... 164
  • 5.4.2. ACE Level-0 Data ... 165
  • 5.4.3. IPS 관측 데이터 ... 167
  • 5.4.4. NSO 자기장 데이터 ... 170
  • 5.4.5. 모델 입력 데이터 획득 방법 ... 171
  • 5.5. UCSD IPS Tomography 모델의 실행 ... 172
  • 5.5.1. 소스코드 및 실행환경 ... 172
  • 5.5.2. 모델 구동 (수동) ... 173
  • 5.5.3. 모델 구동 (스크립트 모드) ... 178
  • 5.6. 모델 실행 결과 ... 181
  • 5.6.1. 모델 실행 결과 파일 ... 181
  • 5.6.2. 모델 결과 이미지 ... 182
  • 6. 모델 시험 구동 ... 184
  • 6.1. 시험 구동 환경 ... 184
  • 6.2. 물리량 – Ecliptic Cut ... 185
  • 6.2.1. 물리량 데이터의 이미지 변환 ... 185
  • 6.2.2. 속도 데이터 ... 186
  • 6.2.3. 밀도 데이터 ... 188
  • 6.2.4. ACE 데이터와의 비교 ... 190
  • 6.2.5. 속도 데이터의 비교 ... 190
  • 6.2.6. 밀도 데이터의 비교 ... 191
  • 6.2.7. 모델 유효성 분석(속도) ... 192
  • 6.2.8. 모델 유효성 분석(밀도) ... 193
  • 7. 결과물의 운영 및 표출 서비스 ... 194
  • 7.1. 이미지 별 운영 방안 ... 194
  • 7.2. 웹 표출 방안 ... 195
  • 별첨 ... 196
  • 끝페이지 ... 196

표/그림 (1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