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120℃)형 수전해 방법에의한 고압 수소 제조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water Electrolysis system running at low temperature for high pressure hydrogen produc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주)엘켐텍
보고서유형3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5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400001407
과제고유번호 1345194138
사업명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4-05-10
키워드 PEM형 수전해 시스템.고압수소발생기.막전극 접합체.전극 촉매.전해조.PEM Water Electrolysis.High Pressure Hydrogen Generator.Membrane Electrode Assembly.Electrocataylst.Stack.

초록

본 연구개발은 고압 수전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막전극 접합체 성능개선, 고압의 수소압력을 가질 수 있는 스택의 구성요서 개발, 수치적해석 및 시스템 요소 기술 개발을 단계별로 진행하였다.
○ 전해효율 성능 개선
√동공전극 및 나노사이즈의 촉매 입자를 M.E.A 및 담체의 최적화여 전해효율을 90% 이상 증대 시킴.
√기존 환원-함침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Hot press를 이용하여 M.E.A.의 제조방법의 최적화.
√Electro-spray를 Diffusion layer에 촉매를 코팅하는 CCD

Abstract

Ⅳ. Result and Recommendations
1.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Stack
Study for manufacturing ME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water electro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is research, continuousl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atalyst, nano-siz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초록 ... 3
  • 요 약 문 ... 4
  • SUMMARY(1/8) ... 12
  • CONTENTS ... 21
  • 목 차 ... 27
  • 표 목 차 ... 32
  • 그 림 목 차 ... 34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1
  •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41
  • 1. 사회 •경제적 중요성 ... 41
  • 2. 과학・'기술적 중요성 ... 42
  •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 46
  • 1. 1차년도(2009. 04 ~ 2010. 03) ... 46
  • 가. 막전극접합체 성능 개선 ... 46
  • 나. 50bar 수소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단위 전기분해셀 구성요소 개발 ... 46
  • 다. 50bar 수소 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스택의 수치적 해석(위탁연구) ... 46
  • 라. 고압 시스템요소 기술 개발 ... 46
  • 마. 탄화수소 계열의 전해막 내구성 증진 연구(위탁연구) ... 46
  • 2. 2차년도(2010. 04 ~ 2011. 03) ... 48
  • 가. 막전극접합체 성능 개선 ... 48
  • 나. 100bar 수소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단위 전기분해셀 구성요소 개발 ... 48
  • 다. 100bar 수소 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스택의 수치적 해석(위탁연구) ... 48
  • 라. 고압 시스템요소 기술 개발 ... 48
  • 마. 고압 수전해 스택의 내구성 평가 ... 48
  • 바. 탄화수소 계열의 전해막 내구성 증진 연구(위탁연구) ... 48
  • 3. 3차년도(2011. 04 ~ 2012. 03) ... 49
  • 가. 막전극접합체 성능 개선 ... 49
  • 나. 100bar 수소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단위 전기분해셀 구성요소 개발 ... 49
  • 다. 100bar 고압 수전해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및 분석 ... 49
  • 라. 공인인증기관에서의 수전해 시스템 평가 ... 49
  • 마. 탄화수소 계열의 전해막 내구성 증진 연구(위탁연구) ... 49
  • 4. 4차년도(2012. 04 ~ 2013. 03) ... 50
  • 가. 막전극접합체 성능 개선 ... 50
  • 나. 150 bar 수소발생 압력을 가질 수 있는 단위 전기분해셀 구성요소 개발 ... 50
  • 다. 고압 시스템요소 기술 개발 ... 50
  • 라. 150 bar 고압 스택 및 시스템의 내구성 평가 ... 50
  • 마. 탄화수소 계열의 전해막 내구성 증진 연구(위탁연구) ... 50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51
  • 제 1 절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 51
  • 1. 국외 동향 ... 51
  • 2. 국내 타 연구기관 연구 ... 52
  • 제 2 절 연구결과가 국 •내외 기술 개발 현황에서의 위치 ... 54
  • 1.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54
  • 가. 막전극접합체 성능 개선 ... 54
  • 나. 단위 전기분해셀 구성요소 개발 ... 54
  • 다. 스택요소 개발 ... 54
  • 라. 시스템요소 기술 개발 ... 54
  • 마. 1.0 Nm3H2/hr 시스템 제작 및 내구성 테스트 ... 55
  • 바. 150 bar 고압 수전해 시스템의 안정성 해석 ... 55
  • 사. 막개발(위탁연구: 명지대) ... 55
  • 아. Pt 대체 촉매 개발(위탁연구: 명지대) ... 55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56
  • 제 1 절 수소발생용 전극촉매의 개발 ... 56
  • 1. 연구배경 및 목적 ... 56
  • 가. 연구배경 ... 56
  • 나. 연구목적 ... 56
  • 2. 연구방법 ... 56
  • 가. 전극의 성능 향상을 위한 TEST ... 56
  • 나. 수소발생용 MEA 적용을 위한 동공 전극의 제작 ... 65
  • 3. 연구결과 ... 69
  • 가. 전극의 성능향상을 위한 TEST ... 69
  • 나. 수소발생용 MEA 적용을 위한 동공전극의 코팅 ... 76
  • 4. 결론 ... 89
  • 가. 전극 성능 향상 ... 89
  • 나. 수소발생용 MEA 적용을 위한 동공전극의 코팅 ... 89
  • 다. 결과 고찰 ... 89
  • 제 2 절 막전극 접합체 제조 방식 연구 ... 91
  • 1. 서론 ... 91
  • 2. 수전해용 촉매 연구 ... 95
  • 가. 수전해용 촉매 제조 조성 ... 95
  • 나. 수전해용 나노 입자 촉매 제조 ... 97
  • 3. M EA 제조 방법 연구 ... 107
  • 가. CCD법 연구 ... 107
  • 나. CCM법 연구 ... 121
  • 4. M EA 제조 방식 연구 결과 ... 124
  • 가. M EA 성능 평가 ... 124
  • 나. CCD법 제조 M EA 성능 결과 ... 129
  • 다. CCM법 제조 M EA 성능 결과 ... 148
  • 5. M EA 장기 내구성 연구 ... 159
  • 가. 장기 내구성 평가 장치 ... 159
  • 나. 장기 내구성 평가 결과 ... 161
  • 6. SPEEK막 적용 및 URFC적용 연구 ... 163
  • 가. SPEEK막 적용 MEA 연구 ... 163
  • 나. URFC적용 연구 ... 169
  • 7. 결론 ... 172
  • 제 3 절 고효율 수전해 스택의 구성 요소 개발 및 연구 ... 173
  • 1. 연구방법 ... 173
  • 가. 단위셀의 구성요소 ... 175
  • 나. 스택 체결력 ... 178
  • 다. 스택 Test ... 178
  • 2 연구 결과 ... 178
  • 가. 단위 셀 평가 ... 178
  • 나. 스택 체결력 개선 ... 207
  • 3. 결 론 ... 218
  • 제 4 절 고압 수전해 스택의 구성 요소 개발 및 연구 ... 219
  • 1. 고압 스택의 연구 방법 ... 219
  • 가. 고압형 스택 구성요소 ... 219
  • 2. 고압 스택의 연구결과 ... 222
  • 가. 0.2Nm3/hr 수소압력 50 bar 고압 스택 개발 ... 222
  • 나. 수소압력 100 bar 고압 스택 평가 ... 232
  • 다. 150 bar 고압 스택 개발 ... 267
  • 3. 결 론 ... 273
  • 제 5 절 수전해 평가 실증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274
  • 1. 수전해 평가 System의 구성 ... 274
  • 2. 운전조건 및 운전방법 ... 277
  • 가. 운전 조건 ... 277
  • 나. 운전 방법 ... 277
  • 3. 실험결과 ... 279
  • 가. 전해성능 평가 ... 279
  • 나. 장기간 내구성 평가 ... 281
  • 4. 공인(시험)기관 시험실적 현황 및 결과 ... 284
  • 가. 수소 발생용 수전해 장치의 평가 기준 및 결과 ... 284
  • 나. 이엠코리아 운전 현황 ... 288
  • 제 6 절 시스템 안정성 및 경제성 분석 ... 297
  • 1. Safety 분석 ... 297
  • 가. 예측 불가능한 위험 요소 ... 297
  • 나. 예측 가능한 안전 위험 ... 297
  • 다. 수전해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Design A pproach ... 299
  • 라. Hazard & Operability Study ... 299
  • 마. 안전용 계기 ... 299
  • 2. Code and Standard ... 301
  • 3. Economic/ Business Plan Analysis ... 301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03
  • 제 1 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303
  • 1. 1차년도(2009.04 ~ 2010.03) ... 304
  • 2. 2차년도(2010.04 ~ 2011.03) ... 304
  • 3. 3차년도(2011.04 ~ 2012.03) ... 304
  • 4. 4차년도(2012.04 ~ 2013.03) ... 305
  • 제 2 절 관련분야의 기술 발전에의 기여도 ... 307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08
  • 제 1 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 308
  • 제 2 절 타 연구에의 응용 ... 308
  • 제 3 절 기업화 추진방안 ... 309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 311
  • 제 7 장 참고문헌 ... 312
  • 끝페이지 ... 314

표/그림 (18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