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Ⅲ) - 위성을 통한 지구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전지구 강수관측위성(GPM) 활용기술 개발
Research for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Ⅲ) - Development of Satellite-based Monitoring Technology of Earth Environmental Change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the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립기상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400002013
과제고유번호 1365001266
사업명 관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DB 구축일자 2014-04-19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2013

초록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1. 위성을 통한 기후분야 적용기술 개발
가. 수증기채널 위성바람장 산출 알고리즘의 최적화
위성영상으로 관측된 구름의 이동을 추적하여 바람장을 산출하는 기술은 실시간 일기 감시 및 수치예보모델의 자료 동화 등에 활용되고 있다. 적외채널을 이용할 경우 구름역에 제한되어 바람장이 산출되는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구름역뿐 아니라 청천역에서도 바람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증기채널이 활용되고 있다. 국립기상연구소에서는 수증기채널을 이용한 위성바람장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의 주요 인자에 대한 민

Abstract

Ⅳ.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1. Development of the Climate Application Technology using Satellite Data
A. Optimization of the Atmospheric Motion Vector (AMV) Retrieval Algorithm
using Water Vapor Channel
The retrieval technology of AMVs through tracking the cloud movements observed 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보고서 ... 2
  • 목차 ... 4
  • CONTENTS ... 9
  • LIST OF TABLES ... 15
  • LIST OF FIGURES ... 16
  • 요약문 ... 22
  • Summary ... 35
  • 제 1 장 서론 ... 52
  • 제 2 장 위성 지구환경정보 산출 및 개선 ... 55
  • 제 1 절 수증기채널 위성바람장 산출 알고리즘의 최적화 ... 55
  • 1. 서론 ... 55
  • 2. 민감도 실험 및 개선 ... 56
  • 가. 개요 ... 56
  • 나. 수증기채널 바람장의 표적선정방법 최적화 ... 57
  • 다. 고도할당방법 개선 및 최적화 ... 62
  • 라. 벡터추적방법의 최적화 ... 66
  • 3. 소결론 ... 67
  • 제 2 절 중규모 위성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 68
  • 1. 서론 ... 68
  • 2. 중규모 위성바람장의 품질관리 방법 개선 ... 68
  • 가. 개요 ... 68
  • 나. 위성바람장의 품질관리 방법 ... 69
  • 다. 민감도 실험을 통한 품질관리 방법의 최적화 ... 70
  • 3. 천리안위성 기반 중규모 위성바람장 산출 ... 74
  • 가. 개요 ... 74
  • 나. 천리안위성 기반 위성바람장 산출 알고리즘 구성 ... 74
  • 다. UM N512 6시간 예보장 ... 75
  • 라. 천리안 위성 기반의 중규모 위성바람장 산출 결과 ... 75
  • 4. 소결론 ... 76
  • 제 3 절 위성 기반 동아시아 증발산량 산출기술 개발 ... 78
  • 1. 서론 ... 78
  • 2. 위성 기반 증발산량 산출 알고리즘 ... 79
  • 가. 개요 ... 79
  • 나. 에너지 수지식 ... 80
  • 다. 한반도 지역 Matchup Data Base (MDB) 구축 ... 81
  • 라. 현열 추정 및 증발산량 산출식의 간소화 ... 82
  • 3. 동아시아 지역 실제 증발산량 산출 및 검증 ... 84
  • 4. 소결론 ... 88
  • 제 4 절 마이크로파 자료를 이용한 극지 해빙 감시 ... 89
  • 1. 서론 ... 89
  • 2. 극지해빙의 월별 특성 ... 89
  • 3. 2011년 북극해빙의 양상 ... 95
  • 가. 겨울철 북극 해빙 변화경향 ... 95
  • 나. 여름철 북극 해빙 변화경향 ... 97
  • 4. 소결론 ... 99
  • 제 5 절 마이크로파 자료를 이용한 위성 토양수분 분석 ... 100
  • 1. 서론 ... 100
  • 2. 토양수분 알고리즘에서 식생지수의 효과 ... 100
  • 3. 소결론 ... 103
  • 제 3 장 원격관측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정보 산출기술 개발 ... 104
  • 제 1 절 관측개요 ... 104
  • 제 2 절 FT-IR을 이용한 온습도 프로파일 산출기술 개발 ... 106
  • 1. 서론 ... 106
  • 2. 온습도 프로파일 산출 알고리즘 개선 ... 106
  • 가. 안면도지역의 FT-IR 바이어스 스펙트럼 산출 ... 106
  • 나. 주성분 회귀계수 산출 ... 108
  • 다. FT-IR 온습도 프로파일 산출 알고리즘 개선 전후의 결과비교 ... 111
  • 라. FT-IR, 위성, KLAPS 온습도 프로파일 비교 ... 113
  • 마. 사례분석 ... 115
  • 3. 소결론 ... 119
  • 제 3 절 지상 온실가스 산출 기반 구축 ... 120
  • 1. 서론 ... 120
  • 2. 지상 FT-IR을 이용한 메탄 산출 및 검증 ... 121
  • 가. 메탄 산출 알고리즘 개요 ... 121
  • 나. FT-IR 메탄 비교 검증 ... 122
  • 3. 온실가스 항공관측을 통한 온실가스 연직 분포 특성 분석 ... 124
  • 가. 관측 및 분석 방법 ... 124
  • 나. 기류 방향별 농도 특성 분석 ... 125
  • 4. 소결론 ... 127
  • 제 4 절 위성 온실가스 전지구 변화경향 분석 ... 129
  • 1. 서론 ... 129
  • 2. GOSAT 자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시.공간 특성 분석 ... 129
  • 가. 계절별 전구 이산화탄소 분포 ... 130
  • 나. 지역별 이산화탄소 시계열 ... 131
  • 다. 위도별 이산화탄소 변화 ... 132
  • 라. 지상관측자료와의 검증 ... 134
  • 마. 탄소추적시스템과의 비교 ... 135
  • 3. IASI 자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시.공간 특성 분석 ... 136
  • 가. 계절별 전구 이산화탄소 분포 ... 137
  • 나. 위도별 이산화탄소 변화 ... 138
  • 다. 지상관측자료와의 검증 ... 139
  • 제 4 장 전지구강수관측위성(GPM) 활용기술 개발 ... 140
  • 제 1 절 GPM 지상검증 및 국제공동연구 수행 ... 140
  • 가. 반사도 비교 ... 140
  • 나. 강우강도 비교 ... 146
  • 제 2 절 한반도 위성강수의 물리적 특성분석 ... 150
  • 1. 서론 ... 150
  • 2. 지상 광학관측자료 특성 ... 151
  • 가. MRR, Parsivel 강우강도 자료의 신뢰성 ... 152
  • 나. VertiX 자료의 활용가능성 제고 ... 156
  • 3. TRMM/PR 및 Parsivel 자료로부터 DSD parameter 추정 ... 159
  • 4. 소결론 ... 162
  • 제 5 장 위성자료 분석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163
  • 제 1 절 NIMR 1-DVAR 알고리즘 기반 구축 ... 163
  • 1. 서론 ... 163
  • 2. 1-DVAR 알고리즘 개요 ... 164
  • 3. NIMR 1-DVAR 기반 구축에 적용된 주요 이론 및 방법 ... 165
  • 가. Levenberg-Marquardt Method 개요 ... 165
  • 나. RTTOV10의 개요 ... 166
  • 4. NIMR 1-DVAR 알고리즘 설계 및 특징 ... 167
  • 가. 주요 입력자료 ... 167
  • 나. NIMR 1-DVAR의 특징 ... 169
  • 5. 소결론 ... 171
  • 제 2 절 산란위상함수 근사법의 통계적 개선 ... 172
  • 1. 서론 ... 172
  • 2. 비등방성 위상함수를 위한 르장드르 다항식 전개법 ... 173
  • 가. delta-M 방법과 delta-fit 방법의 비교 분석 ... 173
  • 나. 변수선택법과 판정기준 ... 176
  • 3. 사례분석(근사위상함수와 대응하는 복사휘도 비교 분석) ... 179
  • 가. 복사전달계산 ... 179
  • 나. Henyey-Greenstein 위상함수 사례 ... 179
  • 다. Double H-G 위상함수 사례 ... 180
  • 4. 소결론 ... 183
  • 제 6 장 결론 ... 184
  • 참고문헌 ... 188
  • 부록 1. 약어 ... 199
  • 부록 2-4. 학술용역 최종보고서 ... 202
  • 부록 3. 고해상도 해수면온도 산출 특성 연구(Ⅲ) ... 308
  • 부록 4. 위성을 이용한 지표 및 대기 변화 감시기술 개발(Ⅱ) ... 395
  • 끝페이지 ... 62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