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Ⅲ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현장적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연구책임자 이창호
참여연구자 강석영 , 이동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400002132
과제고유번호 1105007265
DB 구축일자 2014-04-19
키워드 현장적용 프로그램.정신건강증진.긍정적 요인.부정적 요인.모듈식 구성.field application program.mental health promotion.positive factors.negative factors.modular configur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의 정신건강연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개인정신건강요인 중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현행 국내․외의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학교현장의 아동 및 청소년대상 상담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상담현장 및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mental health study 's actual state of「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Ⅱ」in 2012. To this end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3
  • 국 문 초 록 ... 5
  • 연 구 요 약 ... 7
  • 목 차 ... 13
  • 표 목 차 ... 17
  • 그 림 목 차 ... 19
  • 제 I 장 서 론 ... 2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2. 연구 내용 ... 27
  • 3. 연구 방법 ... 28
  • 1) 문헌연구 ... 28
  • 2) 전문가 자문 및 의견조사 ... 28
  • 3) 기타 연구추진 방법 ... 29
  • 제 II 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 아동․청소년 대상 주요 위기문제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 요인 분석 ... 31
  • 1. 개인정신건강영역요소 실태분석 ... 34
  • 1) 긍정적 요인 및 부정적 요인별 분석 ... 36
  • 제 III 장 국내·외 아동 정신건강 프로그램 및 시사점 ... 49
  • 1. 국내의 학교장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 51
  • 1) 특별(적응)교육 프로그램 ... 51
  • 2) 반올림 프로그램 ... 53
  • 3) 맞춤형 집단상담/특화프로그램 ... 54
  • 4) Winning-All 프로그램 ... 56
  • 5) New-Start 프로그램 ... 58
  • 6) 심신타파 ... 59
  • 7) 학교폭력 피해학생 프로그램 “러브힐링” ... 60
  • 8) 희망나래 프로그램 ... 61
  • 9) 희망플러스 프로그램 ... 62
  • 10) 차오름교실 프로그램 ... 63
  • 11) 보물찾기 프로그램 ... 64
  • 12) 해밀 프로그램 ... 65
  • 2. 국외의 학교장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 66
  • 1) 캐나다의 University of Toronto 연계 Center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CAMH)의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SMHP) ... 67
  • 2) 미국 뉴욕주 교육부와 건강 및 정신위생보건부에서 공동운영하는 학교기반 건강센터(SCHOOL BASED HEALTH CENTERS IN NEW YORK STATE)의 학교정신건강 프로그램 ... 69
  • 3) 미국 보건부 산하 SAMHSA(Sustance Abuse and Mea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의 정신건강 프로그램과 우울증 개입프로그램(Coping with Depression, CWD-A) ... 70
  • 4) 미국 정신건강 전문가 네트워크 집단(Kaiser Permanent Center for Health Research)의 청소년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Adolescent Coping With Stress Class) ... 72
  • 5) Oord, Bögels, & Peijnenburg의 학령기 이전 ADHD 아동에 대한 부모의 훈련병합 프로그램 ... 73
  • 6) Daley, Hutchings, Bywater, & Eames의 품행장애와 ADHD 아동에 대한 초기 부모개입 프로그램 ... 74
  • 7) 미국 UCLA대학의 정신건강센터의 초·중·고등학교 정신건강 프로그램 (A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Center for Mental Health in Schools at UCLA) ... 76
  • 8) 미국 Intervention Central의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정신건강 프로그램(The Good Behavior Game) ... 78
  • 3. 국내․외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고찰 및 시사점 ... 80
  • 제 IV 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 85
  • 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개요 ... 87
  •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 89
  • 2) 프로그램 대상 ... 89
  • 3) 프로그램 개발과정 ... 89
  •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절차 ... 95
  • 1) 요구조사 결과 정리 ... 95
  • 3. 전문가 면접조사 결과 : 청소년 정신건강에 관한 인식과 경험양상 ... 96
  • 1) 연구방법 ... 96
  • 2) 연구대상 ... 97
  • 3) 자료수집 ... 98
  • 4) 자료 분석 및 감수 ... 99
  • 5) 면접자료 분석 결과 ... 100
  • 6) 연구 결과 ... 107
  • 제 V 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구성 체계 ... 111
  • 1.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 ... 113
  • 2.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구성체계안 ... 117
  • 1)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구성체계안 ... 117
  • 2) 개별인터뷰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아래와 같이 증진 및 개입프로그램의 요소 구성 ... 118
  • 제 VI 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 증진 및 개입 프로그램 ... 119
  • 1.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 121
  • 1) 스트레스 ... 122
  • 2) 자존감 증진 ... 130
  • 2. 정신건강 개입 프로그램 ... 143
  • 1) 우울 ... 145
  • 2) 불안 ... 152
  • 3) 인터넷 중독 ... 159
  • 4) 자살 ... 167
  • 3.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함의 ... 174
  • 제 VII 장 요약 및 제언 ... 177
  • 참 고 문 헌 ... 185
  • 부 록 ... 199
  • Abstract ... 247
  •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 249
  • 끝페이지 ... 255

표/그림 (34)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