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젠더관점에서 본 복지패러다임 발전방안 연구
Welfare Paradigm Shift and its Development from a Gender Perspectiv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홍승아
참여연구자 마경희 , 최인희 , 배지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400003151
과제고유번호 1105007957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6-07

초록

제1부. 젠더관점에서의 복지패러다임 재구성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지난 30여년간 복지국가 재편논의의 흐름에서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는 사회 복지정책에 양성평등 시각을 통합하는 문제제기와 이에 따른 복지논의의 지 평확대였다. 특히 그동안 진행되어온 가족과 노동시장의 변화, 저출산, 지구화 등의 변화는 이인소득자가족의 증가, 노동시장내 일하는 부모(working parents)의 증가, 평생고용시대의 종말 등 새로운 복지지형을 결과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변화와 맞물려 전통적인 복지의 변화가

Abstract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in the last 30 years seen in the discussion trend to redraw the welfare state was on how to integrate gender equality perspectives in the social welfare policy paradigm and the ensuing expansion of the welfare discourse. The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and labor marke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28
  • 표목차 ... 34
  • 그림목차 ... 39
  • 제1부 : 젠더관점에서의 복지패러다임 재구성 ... 42
  • I. 서 론 ... 44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46
  •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50
  • 가. 연구내용 ... 50
  • 나. 연구방법 ... 51
  • 3. 연구의 구성 ... 56
  • 4.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58
  • II. 이론적 배경 ... 60
  • 1. 복지국가 재편과 젠더 ... 62
  • 2. 젠더레짐(Gender Regimes) ... 65
  • 3. 성인노동자 모델 ... 69
  • 가. 성인노동자 모델(Adult Worker Model) ... 69
  • 나. 복지국가의 4가지 전략: 복지국가, 고용, 돌봄 ... 72
  • 4. 선행연구 검토 ... 74
  • 가. 젠더관점에서의 복지연구 ... 74
  • 나. 복지의식 및 복지태도 조사와 관련된 연구 ... 76
  • 다. 사회보험에 대한 젠더분석 관련 연구 ... 80
  • 제2부 : 젠더관점에서의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평가 ... 88
  • III. 유자녀가족의 정책인식과 평가 : 저출산정책.일가정양립정책.돌봄정책 ... 92
  • 1. 조사 개요 ... 94
  • 가. 설문조사 ... 94
  • 나.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 99
  • 2. 주요 조사결과 ... 101
  • 가. 응답자 특성 ... 101
  • 나. 복지의식과 태도 ... 106
  • 다. 저출산정책.일가정양립정책.돌봄정책 인지도 및 이용경험 ... 129
  • 라. 저출산정책.일가정양립정책.돌봄정책의 젠더효과 ... 142
  • 마. 미래에 대한 인식 ... 165
  • 3. 소결 ... 172
  • 가. 의식 및 태도 ... 172
  • 나. 저출산정책.일가정양립정책.돌봄정책 인지도 및 이용경험 ... 175
  • 다. 저출산정책.일가정양립정책.돌봄정책의 젠더효과 ... 176
  • 라. 미래에 대한 인식 ... 177
  • 마. 정책적 함의 ... 178
  • IV. 전문가의 정책평가 : 저출산.일가정양립.돌봄정책 ... 184
  • 1. 조사개요 ... 186
  • 가. 조사목적 및 조사대상 ... 186
  • 나.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 187
  • 2. 주요 조사결과 ... 187
  • 가.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정책의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효과 ... 187
  • 나. 자녀출산 및 양육지원정책의 남성의 가족생활 지원효과 ... 195
  • 다. 연금제도와 기초노령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지원효과 ... 200
  • 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돌봄서비스의 가족돌봄 부담완화 효과 ... 203
  • 3. 소결 ... 206
  • 제3부 : 복지정책의 젠더이슈와 정책과제: 제도적 접근 ... 208
  • V. 국민연금 ... 212
  • 1. 연금과 젠더 ... 214
  • 가. 공적 연금체계의 성불평등 기제 ... 214
  • 나. 탈산업사회 연금개혁과 여성수급권 ... 216
  • 2. 국민연금 제도변화 ... 218
  • 가. 적용범위 확대 ... 218
  • 나. 소득대체율 하향 조정 ... 220
  • 다. 기초노령연금의 도입 ... 220
  • 라. 가족연계급여의 도입과 강화 ... 221
  • 마. 파생수급권의 성 중립화 ... 222
  • 3. 국민연금제도의 젠더분석 ... 225
  • 가. 적용 범위 ... 225
  • 나. 수급권 ... 234
  • 4. 소결 ... 247
  • 가. 요약 ... 247
  • 나. 정책제언 ... 249
  • VI. 고용보험 ... 252
  • 1. 고용보험과 젠더 ... 254
  • 가. 전형적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제도 설계 ... 254
  • 나. 근로자의 가족내 지위와 책임을 고려하지 않는 급여자격 ... 256
  • 다. 급여의 비개인화(non-individualization) ... 256
  • 2. 고용보험제도의 변화 ... 257
  • 가. 적용 범위 확대 ... 257
  • 나. 실업급여 ... 260
  • 3. 고용보험제도의 젠더분석 ... 263
  • 가. 고용보험 적용범위 ... 263
  • 나. 실업급여 수급권 ... 270
  • 4. 소결 ... 285
  • 가. 요약 ... 285
  • 나. 정책제언 ... 286
  • VII. 건강보험 ... 290
  • 1. 건강보험과 젠더 ... 292
  • 가. 건강보험 가입 지위와 젠더 ... 292
  • 나. 건강 및 의료이용에서의 젠더 불평등 ... 293
  • 2. 건강보험 제도의 변화 ... 294
  • 가. 적용범위 ... 294
  • 나. 보험료 부과체계 ... 296
  • 다. 건강보험 급여 보장성 ... 298
  • 3. 건강보험제도의 젠더분석 ... 299
  • 가. 수급자격에서의 성별 차이 ... 299
  • 나. 급여수급에서의 성별 차이 ... 306
  • 4. 소결 ... 313
  • 가. 요약 ... 313
  • 나. 정책제언 ... 315
  • VIII. 산재보험 ... 318
  • 1. 산재보험과 젠더 ... 320
  • 가. 산업구조의 변화와 여성근로자의 산재 ... 320
  • 나. 산업재해의 인정과 젠더 ... 321
  • 다. 산재보상과 젠더 ... 322
  • 2. 산재보험 제도의 변화 ... 323
  • 가. 적용범위 ... 323
  • 나. 특례제도를 통한 대상자 범위 확대 ... 325
  • 다. 산재보험 급여내용 ... 326
  • 3. 산재보험제도의 젠더분석 ... 326
  • 가. 수급자격에서의 성별 차이 ... 326
  • 나. 급여수혜에서의 성별 차이 ... 330
  • 4. 소결 ... 343
  • 가. 요약 ... 343
  • 나. 정책제언 ... 345
  • 제4부 : 젠더통합적 복지패러다임의 정책과제 ... 348
  • IX. 결론 및 정책제언 ... 352
  • 1. 요약 및 논의 ... 354
  • 가. 복지국가 재편과 젠더 ... 354
  • 나. 젠더관점에서의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평가: 설문조사/ FGI ... 355
  • 다. 복지정책의 젠더이슈와 정책과제: 제도적 접근 ... 363
  • 2. 젠더통합적인 복지패러다임 발전방향 ... 373
  • 3. 영역별 정책과제 ... 375
  • 가. 신사회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의 구축 ... 375
  • 나. 여성의 독립적인 사회보험 수급권의 확보 ... 377
  • 다. 돌봄노동의 사회적 인정 ... 378
  • 라. 사회보험 적용의 사각지대 해소 ... 379
  • 4. 정책제언 ... 384
  • 참고문헌 ... 396
  • 부록 ... 406
  • Abstract ... 424
  • 끝페이지 ... 428

표/그림 (6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