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선융합 실무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Persons Concerned in the Radiation Fiel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동위원소협회(사)
연구책임자 염유선
참여연구자 이기순 , 이상경 , 안달선 , 이재헌 , 장솔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1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등록번호 TRKO201400006408
과제고유번호 1345194569
DB 구축일자 2014-05-31
키워드 방사선 이용,방사선 기술 분야,전문 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커리큘럼Radiation Utilization,Radiation Technique(RT) fields,Radiation Equipment Certification,Human Resources Management,Education Program,Curriculum

초록

1. 연구개발목표
방사선 이용기술(RT) 분야의 특징적 기술 또는 지식을 제공하여 RT분야 진출 동기 부여 등 방사선이용을 능동적, 실질적으로 적응 및 수행할 수 있는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2. 연구내용 및 결과
가. 원자력 및 방사선분야 인프라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조사
(1) 국내 각 대학 및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조사
(2) 국내외 기관의 인력 및 국내 교육시설 인프라 조사
(3) 자료 DB 방안
나. 신규 교육프로그램 개발
(1) 4개 분야 신규 교육 커리큘럼 개발

Abstract

Ⅳ. Conclusion
1. Existing domestic education & training program data acquisition & analysis
1) Survey of the present condition to radiation institution
2) Domestic & abroad education training program status investigation & analysis
- In case of abroad, nuclear power & radiation, etc fiel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문 ... 5
  • 요약문 ... 7
  • Summary ... 11
  • Contents ... 15
  • 목차 ... 17
  • 표 목차 ... 21
  • 그림 목차 ... 23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25
  • 2. 연구내용 ... 26
  • 3. 연구결과 활용 및 기대 효과 ... 26
  • 제2장 전문기관 인프라 및 교육 프로그램 조사 분석 ... 29
  • 제1절 방사선 이용기관 조사 ... 29
  • 1. 방사선의 이용 현황 ... 29
  • 2. 방사선 이용기관 ... 33
  • 가. RI-Biomics 기술 분야 시설 ... 33
  • 나. 방사선 연구/교육시설 현황 ... 39
  • 제2절 국내 방사선 관련기관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 현황 ... 43
  • 1. 국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및 인프라 현황 ... 43
  • 가. 국내 원자력 및 방사선 학과 ... 43
  • 나. 대학 기관 외 원자력 및 방사선 교육훈련기관 ... 58
  • 다. 국내에서 시행중인 국제교육 ... 62
  • 2. 자료의 DB(Data Base) 방안 ... 65
  • 가. 시스템별 장단점 분석 ... 65
  • 나. 자료의 DB(Data Base) 구축 ... 68
  • 제3장 원자력 및 방사선관련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77
  • 제1절 인력 수급 예측 ... 77
  • 1. 수급 현황 조사 ... 77
  • 가. 인력 수요 및 공급 현황 ... 77
  • 나. 인력 수요 및 공급 추정 ... 81
  • 2. 비전공 전문인력의 수요 추정 ... 83
  • 가.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 86
  • 나. 현장방문 설문조사 결과 ... 91
  • 다. 비전공 분야 설문조사 종합분석 결과 ... 96
  • 제2절 방사성동위원소 생명체학 분야 ... 99
  • 1. RI-생명체학 ... 99
  • 가. RI-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RI-ADME : 방사선융합기술 기반 신약평가 기술) ... 99
  • 나. RI-ADME 기술 및 연구시설 현황 ... 106
  • 다. 방사선융합기술을 이용한 신약 개발 현황 ... 108
  • 2. RI-생명체학 분야 Content ... 109
  • 가. RI-ADME 기술 개요 ... 109
  • 나. 과목의 필요성 ... 109
  • 다. 교육프로그램 및 Content ... 109
  • 라. 교육 대상자 ... 110
  • 3. RI-생명체학 분야 운영(안) ... 110
  • 가. 이론교육 ... 110
  • 나. 현장실습교육 ... 110
  • 다. 교육기간 ... 110
  • 라. 교육강좌 ... 110
  • 마. 교육 세부내용 ... 111
  • 제3절 방사선 영상공학 분야 ... 115
  • 1. 방사선 영상공학 ... 115
  • 2. 방사선 영상공학 Contents ... 118
  • 가. 방사선 영상공학 개요 ... 118
  • 나. 교육의 필요성 ... 118
  • 다. 필요한 기술 및 교육과정 ... 119
  • 라. 교육프로그램 및 Content ... 120
  • 마. 교육 대상자 ... 121
  • 3. 방사선 영상공학 운영(안) ... 121
  • 가. 기초 이론(기초과정) ... 121
  • 나. 응용 설계(심화과정) ... 121
  • 다. 방사선영상공학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구성 (안) ... 122
  • 라. 교육기간 ... 122
  • 제4절 핵화학 분야 ... 123
  • 1. 핵화학 분야 ... 123
  • 2. 핵화학 분야 Contents ... 124
  • 가. 핵화학 분야의 개요 ... 124
  • 나. 과목의 필요성 ... 125
  • 다. 교육프로그램 및 Content ... 125
  • 라. 교육 대상자 ... 126
  • 3. 핵화학분야 운영(안) ... 126
  • 가. 이론교육 ... 126
  • 나. 현장실습교육 ... 127
  • 다. 교육기간 ... 127
  • 라. 교육강좌 ... 127
  • 제5절 방사선 보건물리 분야 ... 129
  • 1. 방사선 보건물리 ... 129
  • 2. 방사선 보건물리 분야 Contents ... 130
  • 가. 관련 분야의 현황 ... 130
  • 나. 과목의 필요성 및 목표 ... 131
  • 다. 교육프로그램 및 Content ... 131
  • 라. 교육 대상자 ... 132
  • 3. 방사선 보건물리 분야 운영(안) ... 132
  • 가. 이론교육 ... 132
  • 나. 현장실습교육 ... 133
  • 다. 교육기간 ... 133
  • 라. 교육강좌 ... 133
  • 마. 방사선 보건물리 교과목의 운영(안) ... 133
  • 제6절 전문인력 양성체계 ... 135
  • 1. 전문강좌 운영 ... 135
  • 가. 방사선이용기술(RT)분야 예비 운영 ... 135
  • 나. 방사선영상분야 ... 138
  • 2.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 ... 139
  • 가. 전문강좌 개설 ... 139
  • 나. 전문강좌 홍보 전략 ... 141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45
  • 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 145
  •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46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47
  • 제6장 참고문헌 ... 149
  • 끝페이지 ... 151

표/그림 (71)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