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물리 시뮬레이션 코드 연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다차원 노심 열수력 해석 검증
Development of software package for the coupling of multi-physics simulation codes and validation of multi-dimensional core TH simul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책임자 정법동
참여연구자 김경두 , 윤한영 , 허재석 , 최기용 , 강경호 , 배병언 , 김종록 , 박유선 , 송철화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연구재단
등록번호 TRKO201400006677
과제고유번호 1345194770
DB 구축일자 2014-05-31
키워드 코드연계,다차원 해석,다유동장,열수력실험 DB,혼합,대항류,환류응축,국제협력Code coupling,Multi-dimensional analysis,Multi-field,TH Experiment DB,Mixing,CCFL,Condensation,International Cooperation

초록

원자로의 다물리 복합현상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통합 연계기술의 기반기술 확보하였다. 한국과 프랑스 CEA가 서로 실험 시설을 공동 활용하고 보완실험을 공동 기획하여 실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비용절감에도 기여하였으며 PSI의 실험 시설과의 대응/보완실험으로 안전해석코드 검증에 활용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실험데이터를 확보에 기여하였다.
아틀라스 계측 성능 보완으로 다차원 계측을 위한 장치 업그레이드 방향 정립으로 OECD/CSNI ATLAS 국제공동연구의 추진 기반 확대하였다.
향후 대용량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상

Abstract

The basic technology for code coupling for the simulation of multi-physics phenomena has been obtained with the successful installation of SNL's LIME and Trilinos library. The bilateral cooperation with CEA can contribute the enhancement and cost-reduction of experiment program with data exchange f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5
  • Summary ... 9
  • Contents ... 13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18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0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2
  •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25
  • 제 1 절 연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다물리 현상 시뮬레이션 가능성 시현 ... 25
  • 1. 전산운영체계의 선정 ... 25
  • 가. Linux 운영체계 ... 25
  • 나. 선정 운영체계 ... 25
  • 2. SNL Trilinos의 설치 ... 26
  • 가. Trilinos Library의 구조분석 ... 26
  • 나. 소프트웨어 설치 ... 27
  • 3. SNL 연계소프트웨어 LIME의 설치 ... 30
  • 가. LIME의 구조분석 ... 30
  • 나. LIME의 설치 ... 30
  • 4. 간단한 코드간의 연계 해석 시연 ... 31
  • 가. 간단한 코드에 대한 연계 ... 31
  • 나. 연계계산 결과 검증 ... 34
  • 5. CEA SALOME 플랫폼 설치 ... 34
  • 제 2 절 다차원 상관식 개발을 위한 주요측정인자 도출 및 국제협력방향 도출 ... 36
  • 1. 기존 계통해석코드 상관식 불확실도 평가 ... 36
  • 가. Data Assimilation 방법에 의한 불확실도 평가 ... 36
  • 나. Data Assimilation과 CIRCE 방법 비교 ... 42
  • 2. 개선 상관식도출 및 실험계획 수립 ... 43
  • 3. 데이터 공유 기반확립 및 국제협력 ... 45
  • 가. 모델 개발 및 검증용 실험데이터 공유 기반 확립 ... 45
  • 나. 원전안전해석코드 개발기관 네트워크 ... 47
  • 다. 열수력 실험분야의 전문기관들의 네트워크 ... 49
  • 라. NURESAFE 사용자그룹 참여 ... 50
  • 제 3 절 증기/가스혼합/대항류/환류응축 현상에 대한 지배인자 도출 및 국제협력방안 도출 ... 56
  • 1. 기존 연구현황 분석 ... 56
  • 가. 증기발생기 다차원 열수력 현상 현황 분석 ... 56
  • 나. 증기/가스혼합/대항류/환류응축현상 지배인자 도출 ... 75
  • 2. PSI 실험 매트릭스 분석 ... 80
  • 가. 설계기준사고와 중대사고 조건에서 증기발생기의 환류응축 (RFLX) ... 80
  • 나. 가압경수로 SBO 조건에서 증기발생기의 기체 혼합 및 재순환(SG Mixing Facility) ... 86
  • 3. 양자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모델 정립 ... 90
  • 가. 양자협력 공동연구 추진 현황 ... 90
  • 나. 국내 콘소시움 결성 추진 현황 ... 91
  • 다. 향후 공동연구 추진 모델 ... 91
  • 4. 아틀라스 실험장치의 다차원현상 측정방법론 도출 ... 92
  • 가. 아틀라스 다차원현상 유사 실험 DB 분석 ... 92
  • 나. 아틀라스 증기발생기 다차원현상 측정방법론 도출 ... 96
  •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 ... 100
  • 제 5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103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4
  • 제 7 장 참고문헌 ... 105
  • 서지정보양식 ... 108
  •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 109
  • 끝페이지 ... 110

표/그림 (4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