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
프리지아 기내 무병종구 생산기술 개발 |
주관연구기관 |
서천군농업기술센터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02
|
과제시작년도 |
2013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등록번호 |
TRKO201400011193
|
과제고유번호 |
1395031364
|
사업명 |
강소농수익모델현장접목연구 |
DB 구축일자 |
2014-07-26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1193 |
초록
▼
프리지아는 재배가 용이하고 겨울철 저온성 화훼라는 장점을 기반으로, 최근 충남을 중심으로 일본 수출이 활발히 증가하고 있는 작물이다. 그러나 구근식물로 토양전염성 해충(뿌리응애)과 바이러스 등의 피해로 종구 퇴화율이 높으며, 지속적 ...
프리지아는 재배가 용이하고 겨울철 저온성 화훼라는 장점을 기반으로, 최근 충남을 중심으로 일본 수출이 활발히 증가하고 있는 작물이다. 그러나 구근식물로 토양전염성 해충(뿌리응애)과 바이러스 등의 피해로 종구 퇴화율이 높으며, 지속적 관리가 어려워 해마다 정식한 구근의 30%정도를 제거하게 되어 생산량 및 농가 소득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프리지아 조직배양묘의 순화과정 중 관리 소홀 시 치사율 및 정식 시 도태율이 높아 안전생산 생력화 기술정립 미흡한 단점을 보완하여 프리지아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무병묘를 만드는데 그치지 않고, 기내에서 무병종구까지 생산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정된 방법으로 우량 무병종구를 생산하고자 수행되었다.본 연구에는 2003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진황색 대형 겹꽃의 Shiny Gold품종이 사용되었다.연구방법으로는 2012년 3월에 MS배지에 생장점배양을 하여 25℃, 3000Lux로 16시간 조명, 습도 50%를 유지한 기내 프리지아 무병묘를, sucrose 농도 9%, 15%, 20%로 다르게한 구근증식배지로 이식하고, 온도와 구근생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위해 배양 온도를 25℃와 17℃로 달리하여 배양하였다.연구결과 온도 17℃에서 구근증식배지의 sucrose농도가 9%, 15%, 20% 모두 기내구근이 생성되기는 하나, 구근의 크기가 1cm가량되는 유효구근을 얻기위해서는 구근증식배지의 sucros농도가 20%였을 때가 가장 좋았다.온도 25℃에서는 구근증식배지의 sucrose농도 9%, 15% 일 때 생육은 좋았으나 구근생성은 되지않았고, sucrose농도 20%에서는 저온에서와 달리 shooting이 지연되고 근권부가 갈변하며 유리화되는 경우도 보였다.이 결과를 토대로 구근생성에는 저온이 필수이며 고농도의 sucrose가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Abstract
▼
Freesia is cold-acclimated, easy growing plant. Freesia export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Chung-nam. But, freesia corms are...
Freesia is cold-acclimated, easy growing plant. Freesia export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Chung-nam. But, freesia corms are vulnerable to virus and insect(Rhizoglyphus echinopus).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plant curture technology for made virus-free in vitro freesia corms.
Experiment methods are two. One is select medium for meristem culture. Other is to compare 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of sucrose(9%, 15%, 20%) and cultivation temperature(25℃, 17℃) for hypertrophy of corms.
Results, MS medium is optimum for meristem culture.
20% sucrose consistency is the best effective for hypertrophy of corms.
17℃ low culture temperature is required for hypertrophy of corms.
In 25℃ culture temperature is non formation corms.
Results of this experiment, 17℃ low culture temperatuer and 20% high concentraion of sucrose are essential conditions for hypertrophy of comrs.
목차
Contents
▼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 약 문 ... 4
- SUMMARY ... 4
- 목 차 ... 5
- 제 1 장 서 론 ... 6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6
- 가. 국외 연구 현황 ... 6
- 나. 국내 연구 현황 ... 6
- 다. 국내외 연구현황 비교 ... 6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7
- 가. 연구 배경 ... 7
- 나. 주요 연구내용 ... 7
- 다. 주요 결과 ... 12
- 라. 기타 연구수행 내용 ... 13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5
- 가. 정성적 연구목표대비 달성도 ... 15
- 나. 정량적 목표대비 달성도 ... 15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6
- 가. 기내 무병종구 생산기술 ... 16
- 나. 무병종구의 농가 보급 ... 16
- 제 6 장 참고문헌 ... 16
- 끝페이지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