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배수 홍수방재 시설물의 성능평가 및 최적 운영기술 개발
Developing New Technologies to Improve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hrough Optimal Design & Operation of Flood Control Facilities in Urban Drainage Network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산업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중훈
참여연구자 조덕준 , 김태웅 , 주진걸 , 장대원 , 유도근 , 이의훈 , 추연문 , Ngo Thi Thuy , 이호민 , Ho Van Hoa , 임성민 , 이승엽 , 최현석 , 최지호 , 무하마드 와심 , 신지예 , 송호용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4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사업 관리 기관 한국방재협회
등록번호 TRKO201400017980
과제고유번호 1665006083
사업명 13년도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4-10-11
키워드 내수침수.최적 설계 및 운영.홍수예경보.통합방재성능.

초록

연구목적
○ 기존 내배수 시설물 및 시스템의 방재성능 평가 절차 및 기법 개발 및 방재시설물의 방재 성능 개선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현 내배수 시설물의 통합 방재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통합 방재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 설계 및 운영 기법의 개발, 내수침수 예측 및 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주목적으로 한다.
연구내용
○ 내배수시설 방재성능 평가절차 및 방재능력 향상기술 개발
○ 내배수시설 최적운영 기술 개발
○ 도시 내수침수 예경보 기술 개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풍수해저감종

Abstract

Ⅱ. Objectives
1. Urba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had not already been verified quantitatively due to different design target rainfall frequency of urban drainage networks. This research assesses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of existing urban drainage networks.
2. Through dev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초록 ... 4
  • 요약문 ... 5
  • SUMMARY ... 8
  • 차례 ... 11
  • 그림차례 ... 15
  • 표차례 ... 26
  • 제 1 장 서론 ... 38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8
  • 1.2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 39
  • 1.2.1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 ... 39
  • 1.2.2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 44
  • 1.2.3 기존 국내외 개발 기술 평가 ... 50
  • 1.3 연구목표 및 연구범위 ... 53
  • 제 2 장 내배수시설 방재성능 평가절차 및 방재능력 향상기술 ... 57
  • 2.1 서론 ... 57
  • 2.2 지역별 방재성능 목표 설정 ... 60
  • 2.2.1 지자체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 60
  • 2.2.2 지자체별 방재성능목표 ... 82
  • 2.3 방재성능 목표 운용 기술개발 ... 85
  • 2.3.1 목표강우강도 운용 ... 85
  • 2.3.2 목표강우량 운용 ... 87
  • 2.3.3 목표강우지속기간의 적용성 ... 101
  • 2.4 유하시설, 저류시설 및 유역대책의 방재성능 분담 방안 ... 112
  • 2.4.1 우수-유출량 분담 개념 ... 112
  • 2.4.2 방재성능 분담 방안 ... 113
  • 2.4.3 배수계통 유입전 저감 방안 ... 114
  • 2.4.4 배수구역별 우수관거/저류지 방재성능 분석 ... 117
  • 2.4.5 우수관거/저류지 방재성능 분담방안 분석 ... 126
  • 2.4.6 우수관거/저류지 방재성능 분담방안 검토 ... 131
  • 2.5 유하 및 저류시설 등에 대한 방재성능 평가 및 달성 지침 개발 ... 135
  • 2.5.1 방재성능 평가 및 개선의 기본 방향 ... 135
  • 2.5.2 방재성능평가의 일반사항 ... 136
  • 2.5.3 방재성능에 대한 평가 지침 ... 138
  • 2.5.4 방재성능 개선 사업대상 선정 지침(안) ... 151
  • 2.5.5 방재성능 달성을 위한 지침 흐름도 ... 152
  • 2.6 유하시설, 저류시설 및 유역대책의 방재성능 효과 분석 기술개발 ... 161
  • 2.6.1 방재성능 평가 및 개선 방안 ... 161
  • 2.6.2 유하시설 및 저류시설의 방재성능 평가 및 개선사례[신천지구] ... 163
  • 2.6.3 저류시설 결정 방안 ... 177
  • 2.6.4 유역대책의 방재성능 효과 분석 ... 190
  • 2.7 결론 ... 202
  • 제 3 장 내배수시설 최적운영 기술 ... 205
  • 3.1 서론 ... 205
  • 3.2 기능성, 경제성 등을 종합 고려한 통합방재성능 향상 및 최적화 기법 개발 ... 208
  • 3.2.1 다중 최적화 기법의 적용을 통한 통합방재성능 향상 기술의 개발 ... 208
  • 3.2.2 통합방재성능 향상을 위한 우수관거 설계 및 정비 기준의 보완 ... 260
  • 3.3 저류시설 설치 위치 및 용량 최적화 기술개발 ... 271
  • 3.3.1 침수위험지구를 고려한 저류지 및 침투시설 최적 위치 선정 기술 ... 271
  • 3.3.2 저류지 및 침투시설의 최적 용량 산정 ... 293
  • 3.3.3 관거 및 펌프장 성능을 고려한 우수 저류조 운영 최적화 방안 개발 ... 298
  • 3.4 경제성을 고려한 내배수시스템 적정 계획규모 산정 방안 ... 317
  • 3.4.1 우수관거 및 우수저류시설 공사비 분석 ... 317
  • 3.4.2 우수저류시설의 경제성 분석 ... 329
  • 3.4.3 내배수시설의 적정 계획규모 분석 및 검토 ... 338
  • 3.5 저류시설, 배수펌프장 등 최적화 운영기술 개발 ... 353
  • 3.5.1 실시간 수위-유량 모니터링 지점 최적화 기법 개발 ... 353
  • 3.5.2 지하저류시설 최적 위치 결정기법 개발 ... 398
  • 3.5.3 지하저류시설 최적 운영기법을 위한 위어고 설계기법 개발 ... 419
  • 3.6 결론 ... 436
  • 제 4 장 도시 내수침수 예경보 기술 ... 439
  • 4.1 서론 ... 439
  • 4.2 침수심-침수면적-피해액 상관성 분석 기술 개발 ... 440
  • 4.2.1 침수심-침수면적-피해액 관계식을 위한 평가요소 도출 ... 440
  • 4.2.2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침수심-침수면적-피해액 관계식 산정 ... 455
  • 4.3 불확실성을 고려한 내수침수 시나리오 구축 및 시뮬레이션 ... 473
  • 4.3.1 내수침수 시나리오 불확실성 분석 ... 473
  • 4.3.2 내수침수 시나리오 구축 및 시뮬레이션 ... 489
  • 4.4 내수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 494
  • 4.4.1 국내외 의사결정시스템 현황 조사 ... 494
  • 4.4.2 GIS 및 내수침수 시나리오를 활용한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 508
  • 4.5 내수침수 예측 및 예경보 기법 개발 ... 524
  • 4.5.1 내수침수해석 및 홍수예보 기반기술 조사 ... 524
  • 4.5.2 내수침수예측 및 예·경보 기법 개발 ... 541
  • 4.5.3 내수침수예경보 모형의 적용 및 검증 ... 552
  • 4.6 단계별 내수침수 사전예측 및 통보시스템 개발 ... 576
  • 4.6.1 내수침수 예측 및 전파체계 사용 환경 조사 ... 577
  • 4.6.2 내수침수 사전예측 및 통보시스템 자료연계 방안 ... 582
  • 4.7 결론 ... 622
  • 제 5 장 결론 ... 624
  • 제 7 장 참고문헌 ... 626
  • 부록 2-1 지역별 방재성능 목표 설정 및 운용(안) ... 650
  • 부록 2-2 방재성능 평가 지침(안) ... 652
  • 부록 3-1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홍수저감 효과분석 ... 655
  • 부록 3-2 SWMM LID control editor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670
  • 부록 3-3 우수유출 저감시설 최적 위치 및 용량 결정기법 적용결과 ... 676
  • 부록 3-4 설계기준의 평가 ... 680
  • 끝페이지 ... 78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