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기반의 자원순환 네트워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Regionally based Waste Resource Circulation Network Mod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사)환경과문명
연구책임자 정회성
참여연구자 구제길 , 구희준 , 권영식 , 김대용 , 김병태 , 김종문 , 김철민 , 김태용 , 문대성 , 박병호 , 배재근 , 송석환 , 신창호 , 안세웅 , 안희영 , 엄대한 , 유재익 , 윤영수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4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환경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록번호 TRKO201400018878
과제고유번호 1485011154
사업명 차세대에코이노베이션기술개발사업(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4-11-22
키워드 자원순환 관리.재활용기술.네트워크 모델.웹기반시스템.자원순환 정보시스템.resource circulation management.recycle technology.network model.Web based information system.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초록

연구개발 결과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자원의 재활용 및 처리를 위한 웹기반 정보처리시스템 구축.
재활용·처리기술 DB 구축 및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
시스템 및 DB 운영 매뉴얼 작성.

Abstract

Ⅳ. Results
○ The web-based system was created with three different modules. The first being a household waste management system for local administrations. The second a network system to link the residents of the area with waste circulation stakeholders, applying the mobile-based system for effic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서 ... 4
  • 요약문 ... 6
  • SUMMARY ... 13
  • 목 차 ... 15
  • 표 목 차 ... 20
  • 그 림 목 차 ... 22
  • 제 1 장 서 론 ... 31
  •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3
  • 1. 연구개발의 중요성(필요성) ... 33
  • 가. 경제사회 발전과 오늘날의 문제 ... 33
  • 나. 자원낭비와 엔트로피 법칙 ... 34
  • 다. 해결방안 :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 순환 ... 35
  • 라. 패러다임의 변화 : 자원순환형 사회의 도래 ... 36
  • 2.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 39
  • 가. 국내의 기술개발 동향 ... 39
  • 나. 해외의 기술개발 동향 ... 58
  • 3. 연구개발 대상 기술의 차별성 ... 71
  • 가.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 ... 71
  • 나. 기대성과 ... 71
  •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추진전략 ... 74
  • 1. 연구개발의 목표 ... 74
  •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74
  • 나.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76
  • 2.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 77
  • 가. 연구개발 추진체계 ... 77
  • 나. 연도별 연구개발의 추진 일정 ... 78
  • 다. 연차별 연구 주요 진행 현황 ... 79
  • 제 2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95
  • 제1절 자원순환 네트워크 모델의 개념 정립 ... 97
  • 1. 기본개념의 정립 ... 97
  • 가. 주요 용어 정의 ... 97
  • 나. 기본개념 정립 ... 98
  • 다. 네트워크의 특징 ... 100
  • 2. 주요 선행연구 ... 102
  • 가. 자원순환 관련 ... 102
  • 나. 사회연결망 관련 ... 103
  • 3. 자원순환 모델의 구축 방향 제시 ... 105
  • 제2절 폐기물 관리 및 현황조사 ... 107
  • 1. 서울시 노원구 ... 107
  • 가. 폐기물의 배출과 흐름 ... 107
  • 나. 폐기물 관리체계 정밀 분석 ... 110
  • 2. 경기도 수원시 ... 114
  • 가. 폐기물의 배출과 흐름 ... 114
  • 나. 폐기물 관리체계 정밀 분석 ... 119
  • 3. 충청남도 금산군 ... 124
  • 가. 폐기물의 배출과 흐름 ... 124
  • 나. 폐기물 관리체계 정밀 분석 ... 125
  • 4. 재사용 촉진을 위한 이해관계자 및 시설조사 ... 132
  • 가. 시설 및 단체의 현황 ... 132
  • 나. 단체의 특성 분석 ... 136
  • 다. 인터뷰를 통한 주요 요구사항 파악 ... 137
  • 5. 요약 및 시사점 ... 140
  • 가. 지역별 주요 문제점 ... 140
  • 나. 종합 ... 140
  • 제3절 폐기물의 자원순환 흐름 분석과 모델 구축 ... 142
  • 1. 폐기물 흐름 분석 ... 142
  • 가. 유형별 도식화 ... 142
  • 나. 정보흐름 분석 ... 147
  • 다. 폐기물에 따른 정보 연결망 ... 148
  • 라. 정보 연결망의 특성 ... 152
  • 2. 자원순환 네트워크 모델의 구축 ... 156
  • 가. 현황 모델 ... 156
  • 나. 자원순환 모델 개발을 위한 필수 고려사항 ... 159
  • 다. 지역기반의 자원순환 네트워크 표준 모델 ... 161
  • 제4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 162
  • 1.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폐기물 코드체계 ... 162
  • 가. 구축의 원칙과 기준 수립 ... 162
  • 나. 기본 폐기물 코드체계 수립 ... 163
  • 다. 코드별 자원순환 가치 부여 ... 167
  • 라. 자원순환 등급에 따른 연계산업 제시 ... 168
  • 마. 자원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코드체계 ... 170
  • 2. 자원순환 기술 DB의 구축 ... 172
  • 가. 자료의 수집과 선별 ... 172
  • 나. 기술DB의 코드화 ... 174
  • 다. 자원순환 기술DB의 구축 ... 185
  • 제5절 자원순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 ... 191
  • 1. 노원 웹기반 자원순환 네트워크 시스템 ... 191
  • 가. 시스템의 개요 ... 191
  • 나. 시스템의 주요 기능 ... 195
  • 다.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 수정 및 보완 ... 204
  • 라. 최종 보고회를 통한 활용 제안 ... 211
  • 마. 지식재산권 등록 ... 214
  • 바. 시스템 접근성 높이기 위한 기능 보완 ... 214
  • 2. 노원 모바일 기반 자원순환 네트워크 시스템 ... 215
  • 가. 시스템의 개요 ... 215
  • 나. 설계 방향 ... 215
  • 다. 주요기능 설명 ... 215
  • 라. 시스템의 등록 ... 217
  • 3 수원 웹기반 자원순환 네트워크 시스템 ... 218
  • 가. 시스템의 개요 ... 218
  • 나. 시스템의 구성 ... 220
  • 다. 시스템의 주요 기능 ... 222
  • 라. 지식재산권의 등록 ... 233
  • 제6절 연구 결과의 차별성과 향후 확대 방안 ... 234
  • 1. 연구 결과의 차별성 ... 234
  • 가. 기존 폐기물 처리시스템과의 차별화 ... 234
  • 나. 모바일 시스템 접목을 통한 접근성 향상 ... 234
  • 다. 지자체 청소행정과의 융합을 통한 시스템 활용 유도 ... 234
  • 라. 도메인 부여 및 포털 사이트 검색어 등록 ... 235
  • 2. 연구 결과의 활용 및 확대 방안 ... 236
  • 가. 연구 결과의 활용 ... 236
  • 나. 연구 결과의 확대 적용방안 ... 237
  • 제 3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241
  • 제1절 목표 달성도 ... 243
  • 1. 연구의 주요 목표 ... 243
  • 2. 목표달성 현황 ... 244
  • 제2절 관련분야 기여도 ... 245
  • 1. 정책적 기여도 ... 245
  • 2. 경제사회적 기여도 ... 245
  • 3. 학술적 기여도 ... 246
  • 제 4 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249
  • 제1절 연구성과 활용계획 ... 251
  • 1. 경제사회적 성과달성 계획 ... 251
  • 가. 사업화 추진계획 ... 251
  • 나. 고용창출계획 ... 251
  • 다. 비용절감계획 ... 251
  • 라. 기술이전계획 ... 252
  • 마. 매출추진계획 ... 252
  • 2. 과학기술적 성과달성 계획 ... 252
  • 가. 지식재산권 획득계획 ... 252
  • 나. 국내외 신기술 신제품 등 관련 인증 계획 ... 252
  • 다. 전문학술지 게재 계획 ... 253
  • 라. 국내외 학술회의(세미나) 발표 계획 ... 253
  • 3. 국제협력 계획 ... 253
  • 가. 기술무역 계획 ... 253
  • 나. 인력교류 ... 253
  • 다. 국제협력 기반계획 ... 253
  • 라. 국제학술회의 개최 계획 ... 253
  • 제2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254
  • 제3절 시스템 유지 및 활용 방안 ... 255
  • 1. 시스템 유지 및 보수 계획 ... 255
  • 2. 사용주체별 편의성 제고 방안 ... 256
  • 3.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안 ... 256
  • 제 5 장 참고문헌 ... 259
  • 1. 국내문헌 ... 261
  • 2. 국외문헌 ... 263
  • (부 록) ... 267
  • <부 록 1> 자원순환 기술개발 로드맵 ... 269
  • <부 록 2> 노원 자원순환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보고서 ... 281
  • <부 록 3> 수원 자원순환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보고서 ... 599
  • <부 록 4> 노원 자원순환네트워크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 815
  • <부 록 5> 수원 자원순환네트워크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 939
  • 끝페이지 ... 1045

표/그림 (195)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