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저감 도시전략, 녹색지수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City Strategy, Green Index and Business Mod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도년
참여연구자 김성아 , 손세형 , 이중원 , Thorsten Schuetze , 이동철 , 조유정 , 송유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9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토해양부
사업 관리 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500000065
과제고유번호 1615006626
사업명 도시건축연구사업
DB 구축일자 2015-04-11
키워드 탄소저감도시.녹색도시.법제도.녹색지수.비즈니스모델.Low Carbon City.Green City.Legal System.Green Index.Business Model.

초록

■본 과제는 탄소저감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연구로서 관련 법제도의 개선, 탄소배출량의 평가·관리를 위한 탄소지수 및 확산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연구 목표로 함.
- 도시의 효율적인 탄소저감 및 녹색지수,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의 표준화 전략의 수립 및 개발 기반 구축
■탄소저감도시 정의 및 개념 정의 확립
- 탄소저감도시 정의 및 개념 확립 / 미래도시 비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도출 / 첨

Abstract

Ⅲ. The performance and achievement result (process & result)
A. The establishment of definition and concept of low-carbon city
(1) The establishment of definition and concept of low-carbon city
◦ Review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NGO, indicator of INDEX, and relevan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약문 ... 7
  • SUMMARY ... 141
  • contents ... 149
  • 목차 ... 151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55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157
  • 1. 연구개발 최종목표 ... 157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165
  • 제2절 관련분야의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67
  • 1. 국내 관련 기술개발 현황 ... 167
  • 2. 국외 관련 기술개발 현황 ... 172
  •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우수성 및 차별성 ... 178
  • 1. 탄소저감도시의 정의 및 개념 확립 ... 178
  • 2. 탄소저감도시 법제도 ... 178
  • 3. 탄소지수 ... 178
  • 4.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 178
  • 5. 탄소저감도시의 국내외 확산 방안 ... 179
  • 제2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180
  • 제1절 탄소저감도시의 정의 및 개념 정립 ... 180
  • 1. 탄소저감도시의 정의 및 개념 정립 ... 181
  • 2. 미래도시 비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방안(탄소저감도시 글로벌 표준화 방안) ... 250
  • 제2절 탄소저감도시 법제도 ... 264
  • 1. 국내외 관련 법제도 사례 연구 ... 265
  • 2. 탄소저감도시 조성 관련법의 통합법 조건 ... 336
  • 3. 탄소저감을 위한 도시·군기본계획 수립지침 개선(안) ... 376
  • 4.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관련 법제도적 실현방안 ... 496
  • 5. 탄소저감도시 인증항목 도출 및 인센티브 방안 마련 ... 518
  • 제3절 실현 및 관리를 위한 녹색도시지수 탄소지수․지표 개발 ... 744
  • 1. 녹색도시지수 및 탄소지수의 개발 방향 ... 744
  • 2. 녹색도시지수 개발 ... 762
  • 3. 이해단계 탄소저감지표 개발 ... 920
  • 4. 탄소지표 활용방안 ... 929
  • 5. 탄소지수의 활용방안 ... 1042
  • 6. 탄소저감도시 모델 ... 1174
  • 제4절 탄소저감 비즈니스모델 개발 ... 1302
  • 1. 탄소저감도시 추진사례 조사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방향 ... 1302
  • 2.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사업방식(재정확보) 제시 ... 1344
  • 3. 탄소저감도시 통합관리 비즈니스 모델 ... 1401
  • 4. 미래도시 표준모델 개발 ... 1557
  • 5.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해외수출 전략 및 실증방안 ... 1605
  • 6. ‘행복도시 스마트그린시티 마스터플랜 수립’ 사례연구 ... 1663
  • 제5절 탄소저감도시 국내외 확산 방안 마련 ... 1676
  • 1. 탄소저감도시의 확산 ... 1676
  • 2. 후속 연구전략 방안 제시 ... 1705
  • 제3장 최종 연구성과 및 적용실적 ... 1717
  • 제1절 탄소저감도시(녹색도시)의 정의 및 개념 확립 ... 1719
  • 1. 연구성과 설명 ... 1719
  • 2. 주요 연구성과(학술적 성과 및 기술적 성과) ... 1719
  • 3. 기술 실시 및 적용사례 ... 1719
  • 4.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1719
  • 제2절 탄소저감도시 구축을 위한 법제도 기반 구축 ... 1720
  • 1. 연구성과 설명 ... 1720
  • 2. 주요 연구성과 ... 1720
  • 3. 기술 실시 및 적용사례 ... 1721
  • 4.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1726
  • 제3절 탄소저감도시 탄소지수 개발 ... 1727
  • 1. 연구성과 설명 ... 1727
  • 2. 주요 연구성과 ... 1727
  • 3. 기술 실시 및 적용사례 ... 1729
  • 4.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1729
  • 제4절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개발 ... 1730
  • 1. 연구성과 설명 ... 1730
  • 2. 주요 연구성과 ... 1730
  • 3. 기술 실시 및 적용사례 ... 1733
  • 4.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1734
  • 제5절 탄소저감도시 국내외 확산 방안 마련 ... 1735
  • 1. 연구성과 설명 ... 1735
  • 2. 주요 연구성과 ... 1735
  • 3. 기술 실시 및 적용사례 ... 1737
  • 4.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1738
  • 제4장 연구목표 달성 및 효과 ... 1739
  • 제1절 연구개발 최종목표 달성도 ... 1741
  • 1. 연구개발 최종목표의 달성도 ... 1741
  • 2. 성과지표 달성도 ... 1742
  • 제2절 연구개발 성과의 효과분석 ... 1745
  • 1. 연구개발 성과의 정책적 효과 ... 1745
  • 2.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효과 ... 1745
  • 3.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적 효과 ... 1746
  • 제5장 연구성과의 활용 및 추가연구의 필요성 ... 1747
  • 제1절 연구성과 활용방안 ... 1749
  • 1. 법제도 ... 1749
  • 2. 탄소지수 ... 1749
  • 3. 탄소저감도시 비즈니스모델 ... 1749
  • 제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1750
  • 1. 법제도 ... 1750
  • 2. 탄소지수 ... 1750
  • 참고문헌 ... 1751
  • 부록 ... 1763
  • 제1절 정량적 성과 및 정성적 성과 ... 1765
  • 1. 연구성과 전체 집계 현황 ... 1765
  • 2. 연구성과별 목록 ... 1768
  • 끝페이지 ... 177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