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시설 화재 감식 지원 시뮬레이션 개발
Development for Fire Investigation Simulation to Residential Spa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Hoseo Universit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7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등록번호 TRKO201500005859
과제고유번호 1665006193
사업명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5-06-06
키워드 주거시설.가연물.연소특성.화재시뮬레이션.화재 감식.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05859

초록

연구목적
○ 국내 현실에 합당한 주거시설의 가연물 및 화재성상 DB 구축
○ 주거 시설의 화재 감식 지원 시뮬레이션과 진화 시뮬레이션 개발
○ 화재 감식 시뮬레이션 활용 화재 감식 기술 개발
연구내용
○ 화재 통계를 이용한 주거시설 화재 시나리오 정립
○ 주거시설 가연물 조사를 통한 화재시나리오 정립
○ 국내 현실에 해당되는 시뮬레이션 개발(KWizard, KFDTs, KFDS, SCV2FDS)
○ 주거시설 및 S/P실험을 통한 DB 확보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PL법 및 실화

Abstract

Ⅳ. Conclusions
1. Establishment of fire scenario for housing facilities of Korea
2. Organization of database on fire combustibles of housing facilities of Korea
3. Development of dynamic model (KFDTs)
4. Development of KFDS preprocessing program, KWizard
5. Development of CFD simulati

목차 Contents

  • 제출문 ... 1
  • 보고서 초록 ... 2
  • 요약문 ... 3
  • SUMMARY ... 5
  • 차례 ... 8
  • 그림차례 ... 13
  • 표차례 ... 20
  • 제 1 장 서 론 ... 23
  •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 23
  • 1.2 연구의 목표 및 내용 ... 37
  • 제 2 장 국내 화재조사의 현황과 선진각국의 비교 ... 39
  • 2.1 화재조사의 기본 방법론 ... 39
  • 2.1.1 화재조사의 목적 ... 39
  • 2.1.2 화재조사의 방법 ... 39
  • 2.1.3 화재조사의 방법 ... 40
  • 2.1.4 현장 조사의 진행방법 ... 40
  • 2.1.5 화재현장 출동시에 있어서의 화재조사 ... 41
  • 2.1.6 현장조사(발화원인 조사) ... 50
  • 2.1.7 기타 화재현장 조사 ... 77
  • 2.2 화재원인의 분류 ... 86
  • 2.2.1 발화열원의 분류 ... 86
  • 2.2.2 발화요인 분류 ... 93
  • 2.2.3 최초 착화물의 분류 ... 104
  • 2.3 국내 화재조사관련 법령 ... 108
  • 2.3.1 소방기본법 ... 108
  • 2.3.2 소방기본법 시행령 ... 110
  • 2.3.3 소방기본법 시행규칙 ... 110
  • 2.3.3 화재조사 및 보고 규정(소방방재청 훈령 제229호) ... 114
  • 2.3.4 화재증거물 수집관리규칙(소방방재청 훈령 제209호) ... 126
  • 2.3.5 형법 ... 131
  • 2.3.6 민법 ... 136
  • 2.3.7 화재수사실무관련 규정 ... 143
  • 2.4 국외 화재조사 규정 ... 145
  • 2.4.1 미국 NAPA921 규정 ... 145
  • 2.4.2 일본의 화재조사 관련 법령 ... 182
  • 제 3 장 국내 주거시설의 화재 시나리오 정립 ... 188
  • 3.1 국내 주거시설 화재 시나리오 정립을 위한 화재통계 분석 ... 188
  • 3.1.1 국내 주거시설의 화재 발생빈도 ... 188
  • 3.1.2 주거시설 화재의 최초 발생 장소별 빈도 ... 193
  • 3.1.3 주거시설의 화재 원인별 발생빈도 ... 194
  • 3.1.4 주거시설 화재의 최초 발화기기 및 최초착화물의 빈도 ... 196
  • 3.1.5 주거시설의 구조와 주거시설 화재의 연소 확대 범위 ... 198
  • 3.1.6 소방방재청 화재통계를 통한 주거시설의 화재 패턴 ... 200
  • 3.2 주거시설의 화재 시나리오 정립을 위한 가연물 조사 ... 201
  • 3.2.1 아파트(공동주택)의 가연물 조사 ... 201
  • 3.2.2 아파트(공동주택) 가연물 조사 결과 및 고찰 ... 202
  • 3.2.3 아파트의 표준 모델 ... 205
  • 3.2.4 밀집주택(단독주택)의 가연물 조사 ... 207
  • 3.2.5 밀집주택 가연물 조사 결과 및 고찰 ... 210
  • 3.2.6 밀집주택의 표준 모델 ... 210
  • 3.3 화재 통계와 가연물 조사를 통한 국내 주거시설 화재 시나리오 ... 212
  • 제 4 장 구획 화재성상의 메커니즘 및 수치해석의 방법에 대한 이론 ... 214
  • 4.1 화재공간에서 질량과 에너지의 보존 ... 214
  • 4.1.1 Zone 방정식 ... 214
  • 4.1.2 개구유량과 압력 ... 223
  • 4.2 성기 구획 화재 ... 231
  • 4.2.1 구획화재의 성장 ... 232
  • 4.2.2 화재 성기의 구획화재성상 ... 236
  • 제 5 장 주거시설 화재 시나리오 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 ... 254
  • 5.1 주거시설 가연물 연소 특성 실험 ... 254
  • 5.1.1 Cone Calorimeter 실험 ... 255
  • 5.1.2 Furniture Calorimeter 시험 ... 270
  • 5.1.3 구획공간에서의 유리내화시험 ... 284
  • 5.2 주거시설의 초기 화재성상에 관한 실험 ... 287
  • 5.2.1 실험개요 ... 287
  • 5.2.2 실험방법 및 조건 ... 287
  • 5.2.3 실험결과 및 분석 ... 297
  • 5.3 S/P 적용을 위한 분무액적 및 기초 실험 ... 316
  • 5.3.1 시험 개요 ... 316
  • 5.3.2 스프링클러의 분무액적특성 실험 ... 317
  • 5.3.3 분무액적특성에 따른 연기층 하강기류 실험 ... 326
  • 5.4 주거시설 외장재 연소 실험 ... 342
  • 5.4.1 외벽 마감재료에 대한 시험방법 및 기존연구 분석 ... 342
  • 5.4.2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실규모 연소실험 ... 346
  • 5.4.3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연소실험 결과 및 분석 ... 350
  • 5.4.4 일반 알루미늄 복합패널 실험결과 및 분석 ... 353
  • 5.4.5 준불연 알루미늄 복합패널 실험결과 및 분석 ... 354
  • 5.4.6 일반준불연 알루미늄 복합패널실험의 결과비교 ... 356
  • 5.4.7 외장재실험 고찰 ... 357
  • 5.4.8 외장재실험 결론 ... 358
  • 제 6 장 화재조사를 위한 CFD 선정 ... 359
  • 6.1 국내외 화재조사 연구 동향 및 CFD의 활용 ... 359
  • 6.1.1 국내에서의 화재 조사 연구 동향 ... 359
  • 6.1.2 국외 CFD를 이용한 화재조사 및 분석 ... 361
  • 6.2 국내외 FDS 연구 동향 ... 364
  • 6.2.1 국내 FDS 연구 동향 ... 364
  • 6.2.2 국외의 FDS 신뢰성 검증 연구 ... 368
  • 6.3 화재모델링에 있어서의 수치해석 모델 검증 ... 372
  • 6.3.1 화재안전에 사용되는 CFD 모델 ... 372
  • 6.4 CFD 모델 적용을 위한 ASTM 규정 ... 382
  • 6.4.1 ASTM E 603 ... 382
  • 6.4.2 ASTM E 1355 ... 422
  • 6.4.3 ASTM E 1472 ... 444
  • 6.4.4 ASTM E 1895 ... 495
  • 제 7 장 화재조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개발 ... 503
  • 7.1 역학모델(KFDTs) 개발 ... 503
  • 7.1.1 KFDTs 인터페이스 및 사용법 ... 503
  • 7.1.2 KFDTs Technical Guide ... 504
  • 7.2 KFDS 전처리 프로그램 KWizard ... 606
  • 7.2.1 Kwizard의 기본 조건 형성 ... 607
  • 7.2.2 KWizard의 구획공간 형성 ... 609
  • 7.2.3 KWizard의 화원 지정 ... 610
  • 7.2.4 KWizard의 가연물 배치 ... 610
  • 7.2.5 KWizard의 OUTPUT 변수 설정 ... 611
  • 7.2.6 KWizard의 DB첨가 및 엑셀시트 구성 ... 612
  • 7.3 주거공간의 화재재현 실험에 적합한 CF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614
  • 7.3.1 기존 화재 시뮬레이션(FDS) 구성 ... 614
  • 7.3.2 기존 FDS 모델의 계산순서 분석 ... 625
  • 7.3.3 기존 FDS 프로그램 Flow Chart (Algorithm) ... 627
  • 7.3.4 KFDS(개발 프로그램) Flow Chart(Algorithm) ... 630
  • 7.3.5 KFDS에 이용되는 가연물 DB활용 방법 ... 632
  • 7.3.6 KFDS 유리 파손 모델 적용 ... 635
  • 7.3.7 워터스크린(화재연기 제거) 모델 적용 ... 642
  • 7.3.8 불티 비산 모델 KFDS 적용 ... 644
  • 7.4 KFDS를 이용한 실험결과 Case Study ... 653
  • 7.4.1 CASE 1 실험결과 ... 657
  • 7.4.2 CASE2 실험결과 ... 661
  • 7.4.3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험 결과의 재분석 ... 665
  • 참고문헌 ... 670
  • 부록 – 주거시설 가연물 DB ... 688
  • 끝페이지 ... 75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