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SungKyunKwan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한정렬
|
참여연구자 |
조성일
,
양재혁
,
류현미
,
김문영
,
안현경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3-01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7149 |
DB 구축일자 |
2015-06-20
|
초록
▼
Ⅳ. 연구결과
1) 노출실태조사 : 흡연, 음주, 방사선
임신초기 흡연 임신부는 약 10%, 하루에 7개피,임신중 마지막 노출 시기는 약 7주이다. 음주는 약 30%, 맥주와 소주를 가장자주마시며, 평균 1.8온스, 마지막 노출시기는 임신 5주경이었다. 방사선은 약 15%노출, 흉부와 치아 검사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노출량은 385mrem으로 마지막 노출시기는 약 4주경이다.
약물에 노출된 경우는 약90%이며, 적응증별로는 감기와 피부질환이 가장 다빈도였으며, 위장관계와 소염 진통제를 가장 많이 복용하였다. 약물에
Ⅳ. 연구결과
1) 노출실태조사 : 흡연, 음주, 방사선
임신초기 흡연 임신부는 약 10%, 하루에 7개피,임신중 마지막 노출 시기는 약 7주이다. 음주는 약 30%, 맥주와 소주를 가장자주마시며, 평균 1.8온스, 마지막 노출시기는 임신 5주경이었다. 방사선은 약 15%노출, 흉부와 치아 검사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노출량은 385mrem으로 마지막 노출시기는 약 4주경이다.
약물에 노출된 경우는 약90%이며, 적응증별로는 감기와 피부질환이 가장 다빈도였으며, 위장관계와 소염 진통제를 가장 많이 복용하였다. 약물에만 노출된 경우는 외래상담례는 37%이며 나머지는 복합 노출되었으며, 인터넷상담은 64%가 약물에만 노출되고 나머지는 복합노출되었다.
2) 위험요인 노출에 따른 임신부의 불안과 임신 중절 경향과 의료인의 인식
임산부가 느끼는 대기형 위험률은 약 39%이며, 임신중절경향은 약 3.5점이 었으나, 임신중절 경향이 높은 5점 이상은 전체의 47%였다. 이들 임신부에게 시행한 자료 근거한 태아기형발생 위험률에 대한 상담은 임신부가 느끼는 대기형위험률를 약 13%까지 감소 시켰으며, 또한 임신중절 경향도 1.2 점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들은 노출후 타기관 의료인에 의해서 약 19%가 임신중절권유를 받았다.
3) 위험 요인에 노출된 임산부의 임신경과와 임신중절에 관한 상담의 효과
외래상담례에서 추적관찰은 약 90%였으며, 인터넷상담은 60%였다.
이들 중 출산은 약500례로 50%정도이며, 임신중절은 약 7.5%였으며, 자연유산 은 약 7%이고, 현재 임신 중은 약 33%였다.
임신중절에 관한 상담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상담후 실제 임신중 절례와 타의료인에 의한 임신중절권유례의 빈도 비교하였으며, 타 의료인에 의해서 임신중절 권유는 약 19%이었나 외래와 인터넷상담후 임신중절례는 약 7%였다.( P<0.05) 외래상담례와 인터넷상에서 홈페이지를 통한 상담의 임신중절 에 관한 효과를 보면 외래상담은 7.3%이고 인터넷상담은 8.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1)
4) 위험요인 노출군과 비노출군간 대기형발생률 비교
노출군(외래상담+인터넷상담)에서 대기형발생률은 19/558(3.4%) 였으며, 소기형을 포함한 선천성기형 발생률은 39/558(7.0%)이었다.
노출군(외래상담례)과 비노출군간의 대기형 발생률 비교는 노출군에서 18/491( 3.7% )이고 비노출군(삼성제일병원 산과데이타베이스) 37/1,167 (3.2%)로 단별량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1)
나이, 자연유산력, 직업력을 고려한 다변량분석에서도 흡연(OR=0.574 95% CI:0.073~4538), 음주(OR=1.153 95%CI:0.440~3023), 약(OR=1.130 95% CI:0.519~2458 ), 그리고 방사선(OR=1.199 95%CI:0.386~3729) 각 위험요인 노출군과 비노출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다중위험요인 노출과 대기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단변량분석에서 MX(약물+방사선) 노출이 대기형과 경계성 연관성을 보인 외는 다른 다중위험요인들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05), 또한 나이, 자연유산, 그리고 직업력이 포함된 사회-의학적 요인을 고려한 상태에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한 결과 MX(약물+방사선)의 노출만이 Adj. OR= 3.007 ( 95% CI 1.006~8991)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대기형 발생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eratogen Information Services(TIS) in Korea. We surveyed 1,246 cases from September 1999 to October 2002. The cases were deriv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OPD) of Samsung Cheil hospital and the Internet counseling site for une
This study i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eratogen Information Services(TIS) in Korea. We surveyed 1,246 cases from September 1999 to October 2002. The cases were deriv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OPD) of Samsung Cheil hospital and the Internet counseling site for unexpected-pregnant women exposed to smoking, alcohol, medicinal drugs, radiation. Then, we assessed the perceptive anxiety for congenital malformations, tendency to terminate the pregnancy, and the physician's recommendation on termination of pregnancy, the rate of pregnancy termination and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risk factors during early pregnancy and congenital anomaly, through the prospectiv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pregnant women who smoked during early pregnancy were about 10% among the counseled. The pregnant women, on the average, smoked 7 cigarettes of tobacco a day and the last exposure time was about 7 weeks of pregnancy. Concerning alcohol, about 30% of pregnant women drank alcohol, on the average, 1.8 ounces at a time and the last exposure time to alcohol was about 5 weeks of pregnancy.
About 15% of the counseled women were exposed to radiation with an average exposure dose of about 385 mrem. The most frequent causes of radiation exposure were chest and dental examinations.
Among the counseled pregnant women, about 90% were exposed to medicinal drugs. The most frequent causes for medication were common colds and skin problems. Drugs for the gastrointestinal system and analgesics were most frequently used.
The perceptive risk of major malformations on their fetus and their score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to terminate the pregnancy was 39%, about 3.5, respectively. After evidence-based teratogenic risk counseling, their perceptive risk of major malformations was decreased to about 13% and their score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to 1.2, respectively.
In the OPD counseling, about 90% were followed-up and about 60% were followed-up in the Internet counseling. Among them, about 500 pregnant women (about 50%) delivered their fetus, about 7.5 % terminated their pregnancy, about 7% aborted their fetus spontaneously and about 33% are pregnant at present. About 19% had been recommended termination of pregnancy by other medical providers.
After counseling, the frequency of actual termination of pregnancy was decreased to about 7% (P<0.05). Through OPD counseling, 7.3% terminated pregnancy. Also, after Internet counseling, 8.5% terminated pregnancy. The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ate of termination of pregnancy following OPD and Internet counseling(P= 0.61).
Among pregnant women exposed to risk factors, the occurrence of major malformations was 19/558 (3.4%) and congenital malformations including minor anomalies was 39/558(7.0%). Also, the occurrence of major malformations was 37/1,167 (3.2%) in unexposed pregnant women. Thus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m in univariate analysis(p>0.05).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age, past history of spontaneous abortion and occupation,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osed and the unexposed group: smoking (OR= 0.574, 95% CI: 0.073~4538), alcohol (OR= 1.153, 95% CI=0.440~3023), medicinal drugs (OR = 1.130, 95% CI: 0.519~2458) and radiation ( OR=1.119, 95% CI: 0.386~3729).
In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malformations and multi-risk factors, MX(medicinal drugs+x-ray) was only marginally significant. Also,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age, past history of spontaneous abortion and occupation, MX w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Adj.OR= 3.007, 95% CI: 1.006~8991).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osure to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drinking alcohol, medicinal drugs, and radiation during early pregnancy had an effect on pregnant women to cause increased anxiety about fetal malformations and unnecessary terminations of the pregnancy.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between the exposed and the non-exposed pregnant women to risk factors.
Therefore, these results are a fundamental data for the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of physicians and public health providers in order to promote national health.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introduce an evidence-based counseling technique for pregnant women exposed to the risk factors, to develop a Korean database for teratogenic risk counseling, and to introduce Teratolog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10
- 목 차 ... 13
- 표 목 차 ... 15
- 그림 목 차 ... 17
- 제 1 장 서 론 ... 18
- 1. 연구의 필요성 ... 18
- 2. 연구 목표 ... 20
-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2
- 제 2 장 국내외 연구의 현황 ... 24
- 제 3 장 연구의 수행 내용 및 결과 ... 27
- 제 1 절 연구방법 ... 27
- 1. 연구대상 ... 27
- 2. 연구조사방법 ... 28
- 3. 통계적분석 ... 32
- 제 2 절 연구결과 ... 33
- 1. 임신부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위험 요인 노출 실태 조사 ... 33
- 2. 임신부 및 의료인의 임신초기 위험 요인 노출에 따른 자각 상태 조사 ... 43
- 3. 각 연구군에서 임신경과와 임신중절에 관한 상담의 효과 ... 48
- 4. 선천성기형의 평가 ... 51
- 제 3 절 연구결과 고찰 및 정책적 제언 ... 60
- 1. 연구요약 및 결론 ... 60
- 2. 정책건의 및 향후 연구방향 ... 63
- 제 4 장 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65
- 제 5 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67
- 1. 정책적 제언으로서 활용 ... 68
- 2. 향후 연구 방향으로서 활용 ... 69
- 참 고 문 헌 ... 70
- 끝페이지 ... 7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