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증진기금사업의 체계적 정비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Health Promotion Fun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연구책임자 이규식
참여연구자 박재용 , 남은우 , 김정덕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12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록번호 TRKO201500007177
DB 구축일자 2015-06-20

초록

Ⅳ. 연구 결과
1. 기금 현황과 건강증진사업의 성과
1) 기금 현황
0 기금 운용 현황을 보면 1997- 2002년도까지 건강보험 급여비 지원을 포함하여 총 6,831억 원을 운용하였음..
0 순수건강증진기금 운용 추이
- 건강증진기금에서 건강보험 급여지원금을 제외한 순수건강증진기금의 운용 현황은 아래 <표 1>과 같음.

<표 1>순수건강증진기금 운용 현황: 1997-2002 (단위: 백만 원)
구분 1997 1998 1999 2000 2001

Abstract

Ⅳ. Results
1. Strategies of long-term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Fund
First, MOHW have to introduce an idea of New Public Health in public health activities. Public health activities were based on epidemiological approach, while new public health based on behavioral approach. Current popu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SUMMARY ... 20
  • 제목 차례 ... 24
  • 표 차례 ... 29
  • 그림 차례 ... 32
  • BOX 차례 ... 33
  • 제 1 장 서론 ... 34
  • 1.1 연구의 필요성 ... 35
  • 1.2 연구목적 ... 37
  • 1.3 연구내용 ... 37
  • 1. 기금운용 현황 및 성과분석 ... 37
  • 2. 효과적인 기금사업 발굴 및 공모방식 개선 연구 ... 39
  • 3. 건강증진사업의 관리체계 및 경영개선 방안 연구 ... 41
  • 4. 건강증진기금의 중장기 재정추계 및 발전방안 연구 ... 43
  • 5. 기금지원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 45
  • 1.4 연구방법 ... 45
  • 1. 기금운용 및 기금사업 실태조사 ... 45
  • 2. 자료수집 및 분석 ... 45
  • 3. 외국제도 비교 분석 ... 46
  • 4. 국내외 문헌고찰 ... 46
  • 5. 의견수렴 ... 47
  • 제 2 장 건강증진사업의 발전 의제 ... 48
  • 2.1 건강증진의 개념 ... 49
  • 1. 발달사 ... 49
  • 2. 건강증진의 정의 ... 53
  • 3. 신공중보건 개념의 도입 ... 59
  • 2.2 건강결정요인 및 위험요인 설정 ... 62
  • 1. 개념 ... 62
  • 2. 설정방법 ... 63
  • 3. 건강결정요인 ... 69
  • 2.3 건강증진기금사업의 중점과제 설정 ... 73
  • 1. 이론적 틀 ... 73
  • 2. 외국의 건강증진사업 설정 틀(Framework) ... 76
  • 3. 우리 나라 건강증진사업 중점과제: 우선순위 설정 ... 80
  • 제 3 장 건강증진기금사업의 평가 ... 91
  • 3.1 기금 현황 ... 92
  • 1. 기금 개요 ... 92
  • 2. 기금 조달 및 운용 현황 ... 99
  • 3.2 건강증진사업 현황 ... 106
  • 1. 건강증진사업의 개념과 종류 ... 106
  • 2. 건강증진사업 운영 현황 ... 111
  • 3.3 건강증진사업 성과평가 ... 131
  • 1. 평가개념 ... 131
  • 2.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평가 ... 133
  • 3. 건강증진사업 성과 ... 158
  • 3.4 문제점 ... 168
  • 1. 건강증진이론적 측면의 문제점 ... 168
  • 2. 정부기관 평가에서 지적된 문제점 ... 171
  • 3. 건강증진사업 추진상 문제점 ... 172
  • 4. 연구사업의 문제점 ... 180
  • 3.5 초기 사업계획의 평가 ... 189
  • 1. 발전단계별 중장기 계획 ... 189
  • 2. 중장기 계획의 실천성 평가 ... 192
  • 제 4 장 건강증진사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 ... 199
  • 4.1 중장기발전에 따른 비전 ... 200
  • 4.2 건강증진사업의 목표 ... 200
  • 1. 영양 ... 201
  • 2. 운동 ... 201
  • 3. 절주 ... 201
  • 4. 금연 ... 202
  • 5. 구강보건 ... 202
  • 6. 만성질병 예방 및 관리: 고혈압, 당뇨병,뇌혈관질환, 관절염 ... 202
  • 7. 암관리 사업 ... 204
  • 4.3 중장기 발전계획 및 전략 ... 205
  • 1. 중장기 계획 및 전략 수립의 고려 요소 ... 205
  • 2. 중장기 계획: 사업 예산 배분 기준 ... 209
  • 4.4 공중보건사업의 전환 ... 212
  • 1. 신공중보건 개념에 따른 보건사업의 영역 확대 ... 212
  • 2. 보건소의 조직 개편 ... 212
  • 3. 인력보강 ... 214
  • 4.5 건강증진사업 추진 조직의 확보 ... 214
  • 1. 국민건강증진 포럼의 구성 ... 215
  • 2. (가칭)건강증진기금관리단 ... 216
  • 3. 보건관련 보건단체의 활성화 ... 226
  • 4.6 안정적 건강증진기금 확보의 필요성 ... 228
  • 1. 기금확보의 필요성 ... 228
  • 2. 건강증진사업의 효과: 미국 사례 ... 230
  • 3. 일반예산과 건강증진기금의 역할 구분 ... 232
  • 4. 건강증진기금 장기 재정 추계 ... 233
  • 5. 기금 사용 계획 ... 236
  • 4.7 인프라의 강화: 조직ㆍ시설ㆍ인력ㆍ법 ... 257
  • 1. 건강증진시설 ... 258
  • 2. 사업 인력 ... 259
  • 3. 법률 정비 ... 260
  • 4. 기획 ... 260
  • 4.8 연구 및 기술지원 사업의 강화 ... 261
  • 1. 연구사업의 강화 ... 262
  • 2. 정보체계의 구축 ... 269
  • 3. 홍보ㆍ교육사업의 전개 ... 271
  • 4. 훈련사업 ... 272
  • 4.9 사업 우선순위의 설정 ... 272
  • 1. 대민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 272
  • 2. 지원사업의 선정과 집행의 우선순위 설정 ... 274
  • 3. 연구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 276
  • 제 5 장 관리경영 개선 ... 279
  • 5.1 건강증진사업 후진체계의 확립 ... 280
  • 1. 건강증진 관련 사업조직 ... 280
  • 2. 건강증진 관련 지원조직 ... 281
  • 3. 건강증진사업 조직간의 추진 체계도 ... 281
  • 5.2 건강증진사업 공모방식의 개선 ... 282
  • 1. 지원방법의 개선 ... 282
  • 2. 보건소사업 ... 283
  • 3. 보건단체에 대한 지원 ... 285
  • 5.3 지방자치단체의 참여기전 제공 ... 286
  • 5.4 건강보험과 연계체계 확립 ... 286
  • 5.5 평가환류 체계 확립 ... 287
  • 1. 평가체계 개발의 필요성 ... 287
  • 2. 평가의 목적 ... 288
  • 3. 평가의 대상 ... 288
  • 4. 평가내용 및 평가방법 ... 289
  • 5. 평가를 뒷받침할 조치사항 ... 289
  • 6. 모니터링 체계 ... 289
  • 7. 평가 및 환류feedback)체계 ... 291
  • 제 6 장 외국의 사례 분석 ... 293
  • 6.1 캐나다 ... 294
  • 1. 서론 ... 294
  • 2. 배경 ... 295
  • 3. 국민건강과 공중보건(Population and Public Health) ... 296
  • 4. 중점과제와 공중보건법 ... 297
  • 5. 공중보건의 기본적인 사업과 필수적인 기능 ... 299
  • 6. 중점과제 틀 (Core Programs Frameworks) ... 299
  • 6.2 일본 ... 305
  • 1. 일본의 건강증진사업의 개요 ... 305
  • 2. 건강증진법의 제정 ... 308
  • 3. 신공중보건 사상과 건강일본 21 ... 311
  • 4. 건강일본 21 추진개요 ... 312
  • 참고문헌 ... 316
  • 부록 ... 321
  • 1. 보건복지부 ‘신분류’ 항목에 따른 건강증진사업 현황 ... 323
  • 2. 보건단체의 건강증진사업 실적 현황(1998-2002) ... 331
  • 3. 건강증진사업의 근거 확보에 관한 세계적 동향 ... 341
  • 4. 2003년도 100개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사업명: 보건소건강생활실천사업) 세부사업명 및 영역 분류 ... 351
  • 5. 연구사업에 관한 설문조사 ... 355
  • 5.1 설문지 ... 355
  • 5.2 조사결과: 부표 ... 359
  • 끝페이지 ... 36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