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목표 설정을 위한 건강 형평성 평가지표 개발과 건강 형평성 현황 조사 연구
Developing Indicators of Equity in Health and Monitoring Magnitude of Socioeconomic Inequality in Health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University of Ulsan
연구책임자 강영호
참여연구자 강민아 , 김명희 , 김유미 , 신영전 , 유원섭 , 윤태호 , 장숙랑 , 정백근 , 조성일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6-10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록번호 TRKO201500007247
DB 구축일자 2015-06-20

초록

4. 연구 결과
가. 건강 형평성의 정의의 검토, 건강 형평성 측정도구의 제안
이 연구에서는 건강 형평성의 정의 및 측정 도구와 관련한 주요 이슈를 검토하였다. 2000년도 세계보건기구의 World Health Report에 사용된 건강 불평등 지표를 둘러싸고 진행된 건강 형평성의 정의에 대한 논란 등이 검토되었다. 건강 형평성 측정 도구를 둘러싼 논란도 검토하였는데, 건강 불평등의 상대 지표와 절대 지표의 사용을 둘러싼 논란 등이 검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 형평성 측정 도구들을 검토하여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에

Abstract

After the recent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social polarization, social divide, and social inequalities became one of the major social agenda. Based on a recent study, South Korea was the third after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among OECD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문 ... 5
  • SUMMARY ... 13
  • 목 차 ... 16
  • 표 목 차 ... 21
  • 그림 목 차 ... 25
  • 제1장 건강 형평성 측정의 방법론 ... 30
  • 제1절 건강 형평성의 정의와 중요성 ... 30
  • 1. 건강 형평성의 정의 ... 30
  • 2. 건강 형평성의 중요성 ... 33
  • 3. 참고문헌 ... 35
  • 제2절 건강 형평성 측정에서의 주요 이슈 ... 38
  • 1.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건강에서의 변이인가, 사회집단간 차이인가? ... 38
  • 2. 상대 불평등 측정도구와 절대 불평등 측정도구 ... 40
  • 3. 기준 집단의 문제 ... 43
  • 4. 집단의 수 ... 44
  • 5. 사회경제적 위치가 순위 척도인지 여부 ... 45
  • 6. 인구집단의 상대적 크기 차이 ... 45
  • 7.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의 방향 ... 46
  • 8. 참고문헌 ... 47
  • 제3절 건강 형평성 측정 도구 ... 50
  • 1. 총 불평등 측정 도구(measures of total inequality) ... 50
  • 2. 사회 집단 간 불평등 측정 도구(measures of social group inequality) ... 52
  • 3. 인구 집단에 대한 영향 측정 도구 ... 58
  • 4. 평균 불비례 정도 측정 도구 ... 62
  • 5. 어떤 측정 도구를 이용할 것인가? ... 68
  • 6. 참고문헌 ... 70
  • 제4절 사회경제적 위치 ... 71
  • 1. 교육 ... 72
  • 2. 직업과 사회계급 ... 74
  • 3. 소득 ... 80
  • 4.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 ... 83
  • 5. 생애적 관점의 사회경제적 위치 ... 88
  • 6. 여성의 사회경제적 위치 ... 91
  • 7.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 ... 95
  • 8. 청소년기 사회경제적 위치 ... 99
  • 9. 사회경제적 위치와 관련한 몇 가지 이슈 ... 101
  • 10. 소결 ... 104
  • 11. 참고문헌 ... 104
  • 제5절 건강 형평성 측정을 위한 공공자료원 ... 114
  • 1. 인구 및 주택센서스 자료 ... 115
  • 2. 사망신고자료 ... 117
  • 3. 출생신고자료 ... 121
  • 4. 사회통계조사 자료 ... 125
  • 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126
  • 6.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131
  • 7.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133
  • 8. 노인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 134
  • 9. 우리나라 치매노인 실태조사 ... 135
  • 10. 장애인 실태조사 ... 136
  • 11. 환자조사 ... 137
  • 12. 건강보험 자료 ... 138
  • 13. 산재보험 자료 ... 145
  • 14. 고용보험 자료 ... 147
  • 15. 암등록자료 ... 149
  • 16.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 조사 자료 ... 151
  • 17.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패널 조사 자료 ... 153
  • 1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 자료 ... 155
  • 19. 서울시 보건지표조사 자료 ... 156
  • 20. 지역 단위 보건지표조사 자료 ... 161
  • 21. 소결 ... 164
  • 22. 참고문헌 ... 165
  • 제2장 건강 형평성 지표 ... 173
  • 제1절 건강 수준에서의 건강 형평성 지표 ... 173
  • 1. 기대여명(life expectancy)에서의 불평등 ... 173
  • 2. 건강여명(health expectancy)에서의 불평등 ... 178
  • 3. 총 사망(all-cause mortality)에서의 불평등 ... 185
  • 4. 암발생률, 암생존율에서의 불평등 ... 193
  • 5. 주관적 건강상태(self-rated health)에서의 불평등 ... 197
  • 6. 우울증에서의 불평등 ... 203
  • 7. 자살에서의 불평등 ... 207
  • 8. 손상에서의 불평등 ... 213
  • 9.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에서의 불평등 ... 226
  • 10. 활동제한 및 장애에서의 불평등 ... 233
  • 11. 치매에서의 불평등 ... 238
  • 12. 저체중아 출산에서의 불평등 ... 242
  • 13. 구강건강에서의 불평등 ... 248
  • 14. 결핵에서의 불평등 ... 253
  • 15. 혈압에서의 불평등 ... 257
  • 16. 비만에서의 불평등 ... 262
  • 17. B형 간염에서의 불평등 ... 267
  • 18.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서의 불평등 ... 270
  • 제 2절 건강 행태 및 위험요인에서의 건강 형평성 지표 ... 274
  • 1. 흡연에서의 불평등 ... 274
  • 2. 식생활에서의 불평등 ... 280
  • 3. 음주에서의 불평등 ... 285
  • 4. 신체활동에서의 불평등 ... 288
  • 5. 모유수유(breastfeeding)에서의 불평등 ... 293
  • 6. 자궁경부암 검진의 불평등 ... 297
  • 7. 예방접종에서의 불평등 ... 303
  • 제3절 의료서비스에서의 건강 형평성 지표 ... 307
  • 1.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 307
  • 2. 보건의료 재원의 형평성 ... 316
  • 제 3 장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 321
  • 제1절 건강 수준에서의 건강 형평성 추이 ... 321
  • 1. 주관적 스트레스의 불평등 추이, 1998-2001 ... 321
  • 2. 자살생각에서의 불평등 추이, 1995-2001 ... 337
  • 3. 손상에서의 불평등 ... 345
  • 4. 수면시간에서의 불평등 추이, 1995-2001 ... 356
  • 5. 일상생활활동 장애에서의 불평등 추이, 1994-2001 ... 362
  • 제2절 건강 관련 행태에서의 건강 형평성 추이 ... 373
  • 1. 성인 흡연율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변화: 1992년에서 2001년까지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분석 ... 373
  • 2.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에서의 불평등 추이, 1995-2001 ... 386
  • 제3절 의료서비스에서의 형평성 추이 ... 396
  • 1.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형평성 추이, 1995-2001 ... 396
  • 제4장 건강 형평성의 모니터링과 정책과제 ... 407
  • 제1절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의 우선 순위 ... 409
  • 1. 우선 순위 선정의 원칙 ... 412
  • 2. 국가 수준의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우선 순위 ... 415
  • 3. 광역 및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 421
  • 4. 참고문헌 ... 422
  • 제2절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측정 도구 ... 425
  • 1. 측정 도구 선정의 원칙 ... 425
  • 2. 측정 방법 및 측정 도구의 제안 ... 426
  • 3. 참고문헌 ... 427
  • 제3절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과제 ... 428
  • 1.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인프라) 구축 ... 428
  • 2. 건강 형평성 측정 관련 사업의 개발 ... 430
  • 3. 참고문헌 ... 431
  • 끝페이지 ... 432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