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 통합평가체계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for community health servi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상용
참여연구자 이신호 , 장명화 , 박선희 , 임은실 , 박웅섭 , 허영혜 , 김철웅 , 이석구 , 신준호 , 이건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8-03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록번호 TRKO201500007327
DB 구축일자 2015-06-20

초록

Ⅳ. 연구결과
현재 중앙정부가 보건소가 수행한 업무를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지역보건의료계획시행결과평가,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 전염병관리사업, 정신보건센터평가, 건강생활실천사업 등 12개이다.

현재의 보건사업평가는 보건소의 개별사업과 개별업무에 국한된 평가들이 병렬적으로 실시되어 평가의 정책적 효력이 유명무실하고, 평가기관과 피평가기관의 행정적․경제적 비효율을 유발하고 있으며, 노령화 비율 등의 지역여건과 보건기관 인프라에 대한 고려 없이 평가결과가 산출되어 평가의 수용도 및 정책 활용도가 낮은 문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5
  • 차례 ... 19
  • 표차례 ... 23
  • 그림차례 ... 25
  • 제1장 서론 ... 27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7
  • 제2절 연구 목적 ... 29
  • 제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30
  • 1. 보건사업 통합 평가 방향 설정 ... 31
  • 2. 보건사업 통합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 개발 ... 31
  • 3. 통합평가 수행체계 개발 ... 33
  • 4. 보건사업 통합평가 메뉴얼 개발 ... 34
  • 5. 피평가기관 등 관계자 설명회 개최 ... 35
  •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 36
  • 제1절 국내 보건사업 평가관련 연구 ... 36
  • 제2절 국외 보건사업 평가관련 연구-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42
  • 1. 검토배경 ... 42
  • 2. 미국의 보건사업 평가체계 ... 44
  • 3. 일본의 보건의료서비스 평가체계 ... 66
  • 4. 시사점 ... 74
  • 제3절 성과관리와 성과지표에 대한 고찰 ... 78
  • 1. 성과감독 ... 81
  • 2. 사업평가 ... 87
  • 제4절 보건분야 외 지방자치단체평가 연구 ... 90
  • 1. 지방자치단체 평가 총괄 ... 90
  • 2. 지방자치단체 복지종합평가 연구 ... 98
  • 제3장 보건사업 평가 현황 및 문제점 ... 103
  • 제1절 보건사업 평가 현황 ... 103
  • 1. 지역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 ... 104
  • 2.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 108
  • 3.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 ... 110
  • 4. 희귀난치성 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 111
  • 5. 전염병관리사업 평가 ... 112
  • 6. 정신보건센터 평가 ... 113
  • 7. 알코올상담센터 사업 평가 ... 115
  • 8. 건강생활실천사업 평가 ... 116
  • 9. 금연클리닉 평가 ... 119
  • 10. 구강보건사업 ... 120
  • 11. 모자보건사업 평가 ... 122
  • 12. 한방공공보건사업 평가 ... 126
  • 13. 보건사업 평가현황 종합 ... 127
  • 제2절 보건사업 평가에 대한 보건사업 담당자 인터뷰 ... 131
  • 1. 목표치환 현상 ... 131
  • 2. 사업발전 저해 ... 132
  • 3. 서비스 질적 저하 ... 133
  • 4. 평가결과 환류 미약 ... 134
  • 5. 보건소 간 비교방법이 불합리함 ... 135
  • 6. 자료의 신뢰성 문제 ... 136
  • 7. 평가방식의 비효율성 ... 137
  • 8. 시사점 ... 138
  • 제4장 보건사업 통합평가 모형 및 평가지표 개발 ... 140
  • 제1절 평가모형 ... 140
  • 1. 평가영역 ... 140
  • 2. 평가요소 ... 144
  • 제2절 평가지표 ... 144
  • 1. HP 2010 중점과제별 보건사업 추진 전략 및 결과지표와 산출지표 분석 ... 144
  • 2. 보건사업 통합평가지표 개발 ... 183
  • 제3절 점수화방안 ... 204
  • 1. 세부 평가지표의 측정값 배점기준 ... 204
  • 2. 평가요소별 가중치 적용방안 ... 207
  • 3. 보건사업별 배점 방안 ... 209
  • 4. 보건사업 성과의 지자체간 비교방법 ... 221
  • 5. 보건사업 통합평가지표의 전략적 활용 예시 ... 234
  • 제5장 보건사업 통합평가 수행체계 개발 ... 239
  • 제1절 보건사업 통합평가를 위한 제도개발 ... 239
  • 1. 보건사업평가 제도 현황 ... 239
  • 2. 보건사업평가 제도의 개선 방안 ... 251
  • 제2절 지역사회 보건사업 평가를 위한 조직설계 ... 257
  • 1. 보건사업 평가체계의 문제점 ... 257
  • 2. 보건사업 평가의 개선 ... 262
  • 3. 보건사업 통합평가 조직의 개발 ... 266
  • 제3절 자료 확보방안 ... 277
  • 1. 자료원 현황 ... 277
  • 2. 자료 확보방안 ... 284
  • 3. 보건사업 통합평가 수행체계 ... 288
  • 4. 보건사업 통합평가 정보시스템 구축 ... 292
  • 제4절 평가결과 활용방안 ... 294
  • 1. 보건사업 프로그램 평가와 성과평가 ... 294
  • 2. 활용방안 ... 300
  • 제5절 보건사업 통합평가의 단계적 발전방안 ... 303
  • 제6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 306
  •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 306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 306
  • 제3절 대외기여도 ... 307
  • 부록 1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 통합평가지표 ... 311
  • 부록2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 통합평가 지표 및 매뉴얼 ... 367
  • 부록 3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 통합평가 조사서 ... 491
  • 끝페이지 ... 577

표/그림 (4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