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사단법인 한국실험동물협회 |
연구책임자 |
강병철
|
참여연구자 |
권은아
,
노경민
,
조정식
,
윤은경
,
심순구
,
남소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05 |
과제시작연도 |
2011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07648 |
과제고유번호 |
1475006435 |
DB 구축일자 |
2015-06-27
|
키워드 |
마모셋,품질관리,사육관리,영장류Marmoset,Health monitoring,Management,Nonhuman Primate
|
초록
▼
Comparing with cynomolgus or rhesus monkey, small nonhuman primate common marmosets have several merits as laboratory animals. Common marmosets are easy to handle, house, manage, breed, artificial breed, mass produce and have little zoonosis and CITES problem. The body weight of young adult is 200~5
Comparing with cynomolgus or rhesus monkey, small nonhuman primate common marmosets have several merits as laboratory animals. Common marmosets are easy to handle, house, manage, breed, artificial breed, mass produce and have little zoonosis and CITES problem. The body weight of young adult is 200~500g. So, they are very popular as laboratory disease animal models in research areas such as new drug/medical device development, cell therapy, organ transplantation and brain research. However, there is no marmoset for research in Korea. So, the demands for the biomedical research in Korea should be surveyed, and basic techniques for housing and management should be secured. The publication related with common marmoset in biomedical research area is 3,177 in PubMed. USA, Japan, Germany Australia showed good activity in this research area. In addition, China primate center introduced the marmoset colony from Germany in 2011. Of course, the demands is increasing in Korea, however, there is no special facility and technique for marmoset.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followings;
-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research with common marmosets
- Survey the demands of Korean research with common marmosets
- Characteristics of the anatomy, physiolgy, breeding of common marmosets
- Basic techniques of handle, management, disease control, health monitoring
- Anesthesia, autopsy, technique, histology
- Environmental enrichment
-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 textbook, ppt, video, workshop/seminar
We consider that this study supplies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domestic application of small nonhuman primate common marmoset as laboratory animal.
Abstract
▼
Cynomolgus나 Rhesus 등 macaque류 원숭이가 기존 연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전용사육시설의 확보, 취급기술의 어려움, 인수공통감염증의 대책, 멸종위기 동식물 사용에 대한 문제(CITES) 및 유래의 불안정성 등 불리한 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소형 원숭이인 common marmoset이 주목받고 있다. 마모셋은 사람과 유사한 영장류라는 것 외에 비교적 간단한 사육, 취급이 용이하고, 질병이 적으며, 인공번식이 용이하여 실험용으로 공급이 불안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과 성체 체중 200~500g정도로서,
Cynomolgus나 Rhesus 등 macaque류 원숭이가 기존 연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전용사육시설의 확보, 취급기술의 어려움, 인수공통감염증의 대책, 멸종위기 동식물 사용에 대한 문제(CITES) 및 유래의 불안정성 등 불리한 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소형 원숭이인 common marmoset이 주목받고 있다. 마모셋은 사람과 유사한 영장류라는 것 외에 비교적 간단한 사육, 취급이 용이하고, 질병이 적으며, 인공번식이 용이하여 실험용으로 공급이 불안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과 성체 체중 200~500g정도로서, 최근 신약개발, 의료기기의 효능/안전성 연구분야 뿐 아니라, 세포치료제 및 장기이식연구에도 유용하여 선진각국에서 질환 모델동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마모셋이 우리나라에는 전무하여 우리나라에서 실험용 마모셋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적인 사육관리 기술확보 및 전담요원양성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소형 영장류 마모셋의 필요성 및 수요평가, 사육관리, 취급 및 실험기법, 번식, 육성, 인공포유, 질병 및 건강관리, 해부, 병리조직학적 특성 및 생리․생화학적 특성, 질환모델동물로서의 이용 등 기초자료조사를 통한 국내활용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PubMed에 마모셋관련 연구는 3,177여건이 게시되었으며, 연구용 마모셋이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일본, 독일, 호주 등이고 지난 2011년 중국영장류연구센터에도 독일로부터 마모셋이 도입되어 번식 중이다. 국내 수요도로는 대학이나 병원 연구소 중심으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전용시설이나 기법이 확보되지 않아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마모셋의 해부, 생리, 번식, 육성학적 특성 등 기본적인 자료구축과, 취급, 사육관리, 질병 및 건강관리기법, 마취, 병리부검, 실험기법, 조직학적 특성, 번식 및 복지환경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용 마모셋의 활용기법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교육책자 및 시청각동영상교육용자료를 제작하였고, 실험용 마모셋 교육강연회 개최를 개최하여 마모셋의 필요성과 연구활용분야에 관한 관심을 일으켰다. 본 연구결과가 소형 영장류 마모셋 관련 기초 지식 및 관련 연구 분석을 통하여, 마모셋이 실험동물로서 의학연구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하고, 국내에 실험용 마모셋 활용기반구축 기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목 차 ... 3
-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5
- 국문 요약문 ... 5
- Summary ... 7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9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9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6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23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28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130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130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131
- 끝페이지 ... 13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