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산재 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보건분야 관리 기술 개발
The Health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Damag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Volcanic Ash Sprea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근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사업 관리 기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 TRKO201500007942
과제고유번호 1665006342
사업명 2014년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5-06-27
키워드 화산폭발재해.재해 보건.재해 건강.재해의료.

초록

연구목적
○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의료 시스템 현황 파악 및 운용 방안의 기초 개발
○ 백두산 화산폭발에 따른 건강 문제의 파악 및 대비, 대처 방안 도출을 통하여 우선순위 항목에 대한 관리기준 개발 및 피해경감 종합대책안 수립
○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관리기준 개발 및 피해경감 종합대책안 수립
연구내용
○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관리기준 및 대응 매뉴얼 개발
▷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피해예상 대상에 따른 관리기준 개발
▷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피해예상 대상에 따른

Abstract

Ⅳ. Major Research Outcomes
1. Basic health medical resource management guideline in case of volcanic ash dispersion
2. PTSD management planning recommendation in case of volcanic ash dispersion
3. Understanding of the volcanic ash analysis of 2010 Iceland volcano eruption, and relationshi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초록 ... 4
  • 요 약 문 ... 6
  • SUMMARY ... 8
  • 차 례 ... 10
  • 그 림 차 례 ... 16
  • 표 차 례 ... 20
  • 제 1 장 서론 ... 27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7
  • 1.1.1 연구의 배경 ... 27
  • 1.1.2 연구의 필요성 ... 28
  • 1.2 연구 목적 ... 33
  • 1.3 연구 범위 ... 34
  • 1.4 연구 추진전략 ... 36
  • 1.5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37
  • 1.5.1 기대성과 ... 37
  • 1.5.2 활용방안 ... 38
  • 제 2 장 화산재 피해대응을 위한 보건 분야 관리기준 개발방안 ... 40
  • 2.1 화산재 피해 관련 건강 문제 총론 ... 40
  • 2.1.1 화산폭발의 건강 효과 ... 40
  • 2.1.2 화산재의 효과 및 완화 전략 ... 45
  • 2.1.3 각종 화산 폭발의 건강 효과 ... 46
  • 2.1.4 화산재 피해의 보건관리기준 개발 ... 54
  • 2.2 화산폭발로 인한 질환 발생 및 악화 문제의 파악 ... 57
  • 2.2.1 천식 및 호흡기 질환 ... 57
  • 2.2.2 눈 질환 ... 99
  • 2.2.3 피부 질환 ... 103
  • 2.3 화산폭발 유사 상황에서의 건강 문제 ... 112
  • 2.3.1 황사 ... 112
  • 2.3.2 공해 및 스모그 ... 130
  • 2.3.3 기타 및 유사 상황 ... 142
  • 2.4 화산폭발에 따른 유해물질의 건강 영향 및 대처 ... 147
  • 2.4.1 대기분진의 건강 영향 ... 147
  • 2.4.2 미세먼지와 건강 장애 ... 152
  • 2.4.3 화산재 유해성분별 건강 영향 ... 158
  • 2.4.4 화산재로부터 건강 보호 ... 166
  • 제 3 장 대상에 따른 보건 분야 관리기준 개발 ... 169
  • 3.1 화산재 확산에 따른 질병 및 유해물질의 건강 관리기준 개발 ... 169
  • 3.1.1 화산재 확산으로 인한 질병 및 건강 영향 ... 169
  • 3.1.2 화산재 확산에 따른 개인 건강 대응방안 ... 172
  • 3.2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의료 시스템 관리기준 개발 ... 180
  • 3.2.1 화산재 확산 대응 보건의료 시스템의 이해 ... 180
  • 3.2.2 화산폭발 시 현장의료지원 ... 197
  • 3.2.3 화산재 확산 시 보건의료기관의 관리체계 ... 202
  • 3.3 화산재 확산 시 보건의료 자원 관리기준 개발 ... 203
  • 3.3.1 의약품 ... 203
  • 3.3.2 의료장비 ... 211
  • 3.3.3 보건의료 인력 ... 228
  • 3.4 화산재 확산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관리기준 개발 ... 235
  • 3.4.1 화산폭발 시 심리 ... 235
  • 3.4.2 화산재 확산 시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이해 ... 238
  • 3.4.3 화산재 확산 시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대응방안 ... 251
  • 제 4 장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 분야 관리기준(안) 수립 ... 255
  • 4.1 관리기준의 방향 설정 ... 255
  • 4.1.1 관리기준의 개념 정립 ... 255
  • 4.1.2 관리기준의 수립 원칙 ... 256
  • 4.2 화산재 확산에 대한 관리기준안 ... 257
  • 4.2.1 질병 및 유해물질에 의한 개인 건강 관리기준안 ... 257
  • 4.2.2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의료 시스템의 관리기준 안 ... 263
  • 4.2.3 화산재 확산 시 보건의료 자원의 관리기준 안 ... 279
  • 4.2.4 화산재 확산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관리기준 안 ... 281
  • 4.2.5 관리기준안 수립의 한계 ... 286
  • 제 5 장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 분야 대응매뉴얼(안) 개발 ... 288
  • 5.1 대응 매뉴얼 개발의 목적 및 개요 ... 288
  • 5.2 국외의 유사 대응 매뉴얼 사례 ... 292
  • 5.3 관련 기관 주요 업무 ... 293
  • 5.3.1 예방 단계 ... 294
  • 5.3.2 예비 단계 ... 295
  • 5.3.3 대응 단계 ... 300
  • 5.3.4 복구 단계 ... 302
  • 5.4 화산재 확산 시 국민 행동 가이드라인 안 ... 303
  • 제 6 장 보건 분야 종합대책 개발 ... 313
  • 6.1 화산재 확산에 따른 건강 종합대책 ... 313
  • 6.1.1 질병 및 유해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 종합대책 ... 313
  • 6.1.2 질병 및 유해물질에 의한 개인 건강 관리기준안 ... 314
  • 6.2 화산재 확산에 따른 긴급 보건의료 자원 및 체계 운영 종합대책 ... 317
  • 6.2.1 화산재 확산에 따른 긴급 보건의료 자원과 체계 ... 317
  • 6.2.2 화산재 확산에 따른 긴급 보건의료체계 관리와 운영 ... 323
  • 6.2.3 화산재 확산에 따른 긴급 보건의료 자원 관리와 운영 ... 329
  • 6.3 화산재 확산에 따른 건강 고위험군 관리 대응 ... 342
  • 6.3.1 화산재 확산에 따른 건강 고위험군 영향 ... 342
  • 6.3.2 화산재 확산에 따른 건강 고위험군 관리 및 대응 ... 370
  • 6.4 화산재 확산에 따른 정신 건강 피해, 심리적 영향 종합 대책 ... 383
  • 6.4.1 화산재 확산에 따른 정신 건강 피해, 심리적 영향 ... 383
  • 6.4.2 화산재 확산에 따른 정신 건강 피해, 심리적 영향의 관리 ... 388
  • 6.4.3 화산재 확산에 따른 정신 건강 피해, 심리적 영향 관리 대응 종합대책 ... 394
  • 제 7 장 결론 ... 415
  • 7.1 화산재 확산에 따른 보건대응의 분야별 결론 ... 415
  • 7.1.1 건강 영향과 대처 ... 415
  • 7.1.2 긴급 보건의료 자원 및 체계 ... 416
  • 7.1.3 건강 고위험군 ... 418
  • 7.1.4 정신 건강 피해 및 심리적 영향 ... 419
  • 7.2 연구의 종합 ... 420
  • 7.3 향후 계획 및 제안 ... 421
  • 7.3.1 화산재난 시 시민 건강유지 및 질환 대응 분야 ... 421
  • 7.3.2 화산재난 시 정신심리 건강 유지 및 패닉 대응 분야 ... 421
  • 7.3.3 화산재난 대응 보건의료 시스템 개발 분야 ... 422
  • 7.3.4 건강 위험군 및 화산 재난 취약 계층의 보호 분야 ... 422
  • 참고문헌 ... 424
  • 부 록 ... 428
  • 부록 1. 보건분야의 관리기준 및 대응매뉴얼 요약 ... 429
  • 부록 2. 보건분야의 피해경감 종합대책 및 조치계획 요약 ... 443
  • 끝페이지 ... 47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