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산재 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산업분야 관리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itigation Measure and Risk Management Technology for industry under Influence from Volcanic Ash Dispers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근영
참여연구자 심우배 , 강병균 , 장대원 , 여규동 , 염진영 , 김철한 , 김보경 , 그외 다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사업 관리 기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 TRKO201500007943
과제고유번호 1741000003
사업명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5-06-27
키워드 Baekdusan Volcano.Volcanic eruptions.volcano ash.primary secondary industries.Response Manual.institutional improvement.

초록

<연구목적>
○ 화산재 피해예방 및 저감을 위한 산업분야의 관리기술 개발
<연구내용>
○ 화산재가 농업, 축산업, 수산업, 임업, 전자부품 제조업, 생활환경 분야에 미치는 국내외의 영향 및 피해사례 조사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 뉴질랜드, 일본 등 화산 활동이 활발한 국가에서는 화산분화로 화산재가 쌓이게 될 경우 상황을 기록하여 피해상황과 대처방안을 연구하여 보고서를 발표함
○ 또한 화산과 관련한 학회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일본의 경우 화산을 연구하는 연구회를 만들어 화산분화로 인한 피해를 정

Abstract

Ⅳ. Conclusions
1. Case study on primary industries - agriculture, livestock industry, fishing industry, forestry - , the secondary industry -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y - and living environment.
2. Development of management on primary industries - agriculture, livestock indu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초록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9
  • 차 례 ... 13
  • 그 림 차 례 ... 20
  • 표 차 례 ... 25
  • 제 1 장 서론 ... 35
  • 1.1 연구의 필요성 ... 35
  • 1.2 연구목적 ... 38
  • 1.3 연구범위 ... 39
  • 1.4 추진전략 ... 39
  • 제 2 장 화산재 피해대응을 위한 관리기준 개발방안 ... 40
  • 2.1 연구의 개요 ... 40
  • 2.2 화산활동에 따른 현상과 주요 화산분화 사례 종합 ... 40
  • 2.2.1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 (1980년) ... 40
  • 2.2.2 미국 Redoubt (1989년) ... 42
  • 2.2.3 일본 우젠(雲仙) (1990~1995년) ... 42
  • 2.2.4 칠레 Hudson (1991년) ... 43
  • 2.2.5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 (1991년) ... 44
  • 2.2.6 미국 Spurr 화산 (1992년) ... 45
  • 2.2.7 파푸아뉴기니 Rabaul (1994년) ... 46
  • 2.2.8 뉴질랜드 Ruapehu (1995년~1996년) ... 47
  • 2.2.9 에콰도르 Reventador (1999 & 2002년) ... 48
  • 2.2.10 일본 우스산 (2000년) ... 49
  • 2.2.11 일본 신모에봉(新燃岳) (2011년) ... 50
  • 2.2.12 인도네시아 Merapi (2006년) ... 53
  • 2.2.13 칠레 Chaiten (2008년) ... 54
  • 2.2.14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 (2010년) ... 55
  • 2.3 화산재 낙하에 따른 농업, 축산업, 수산업, 임업분야 관리기준 개발방안 ... 57
  • 2.4 화산재 낙하에 따른 전자부품 제조업 관리기준 개발방안 ... 58
  • 2.5 화산재 낙하에 따른 생활환경분야 행동요령 제안방안 ... 59
  • 제 3 장 피해예상 대상에 따른 관리기준 개발 ... 61
  • 3.1 농업 ... 61
  • 3.1.1 농업의 이해 ... 61
  • 3.1.2 농업 현황 ... 62
  • 3.2 축산업 ... 67
  • 3.2.1 축산업의 이해 ... 67
  • 3.2.2 축산업 현황 ... 68
  • 3.3 수산업 ... 70
  • 3.3.1 수산업의 이해 ... 70
  • 3.3.2 수산업 현황 ... 71
  • 3.4 임업 ... 73
  • 3.4.1 임업의 이해 ... 73
  • 3.4.2 임업 현황 ... 74
  • 3.5 전자부품 제조업 ... 87
  • 3.5.1 전자부품 제조업의 이해 ... 87
  • 3.5.2 전자부품 제조업 현황 ... 96
  • 제 4 장 화산재 확산 및 낙하에 따른 관리기준(안) 수립 ... 100
  • 4.1 관리기준의 방향 설정 ... 100
  • 4.1.1 관리기준의 개념 정립 ... 100
  • 4.1.2 관리기준의 수립 원칙 ... 101
  • 4.2 화산재 피해 관리기준 수립 절차 ... 102
  • 4.2.1 화산재로 인한 피해사례의 종합 ... 102
  • 4.2.2 피해에 대한 대응방안 조사 ... 146
  • 4.2.3 피해사례의 유형화 및 피해요인 도출 ... 179
  • 4.2.4 해외사례를 통한 정량적 기준치 도출 ... 187
  • 4.2.5 국내 적용 가능한 정량적 기준치 설정 ... 214
  • 4.3 화산재 확산 및 낙하에 따른 관리기준(안) ... 224
  • 4.3.1 농업분야 관리기준(안) ... 224
  • 4.3.2 축산업분야 관리기준(안) ... 231
  • 4.3.3 수산업분야 관리기준(안) ... 235
  • 4.3.4 임업분야 관리기준(안) ... 238
  • 4.3.5 전자부품 제조업 관리기준(안) ... 241
  • 4.3.6 간접피해 시설물 권고사항 및 종사자 행동요령 ... 243
  • 4.3.7 관리기준(안) 수립의 한계점 ... 245
  • 제 5 장 대응 매뉴얼 개발을 위한 사례 조사 ... 246
  • 5.1 대응매뉴얼 개발 개요 ... 246
  • 5.1.1 우리나라 위기관리 매뉴얼 ... 246
  • 5.1.2 대응매뉴얼(안) 개발방향 ... 247
  • 5.2 대응매뉴얼 사례 ... 249
  • 5.2.1 화산재해 매뉴얼 ... 249
  • 5.2.2 유사재해 매뉴얼 ... 258
  • 제 6 장 농업 대응매뉴얼(안) 개발 ... 268
  • 6.1 개요 ... 268
  • 6.1.1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268
  • 6.1.2 관련 법ㆍ제도 ... 268
  • 6.1.3 사용 용어의 정의 ... 269
  • 6.2 대응 매뉴얼(안) ... 270
  • 6.2.1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 270
  • 6.2.2 주관 부처 및 기관 ... 273
  • 6.2.3 지원 부처 및 기관 ... 280
  • 6.2.4 주요기관 및 단계별 대응방안 종합 ... 287
  • 6.3 화산재 확산시 종사자 행동 가이드라인(안) ... 293
  • 6.3.1 예방 및 대비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293
  • 6.3.2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294
  • 제 7 장 축산업 대응매뉴얼(안) 개발 ... 295
  • 7.1 개요 ... 295
  • 7.1.1 개발목적 및 필요성 ... 295
  • 7.1.2 관련 법ㆍ제도 ... 295
  • 7.1.3 사용 용어의 정의 ... 296
  • 7.2 대응 매뉴얼(안) ... 297
  • 7.2.1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 297
  • 7.2.2 주관부처 및 기관 ... 300
  • 7.2.3 지원부처 및 기관 ... 305
  • 7.2.4 주요기관 및 단계별 대응방안 종합 ... 312
  • 7.3 화산재 확산시 종사자 행동 가이드라인(안) ... 318
  • 7.3.1 예방 및 대비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18
  • 7.3.2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19
  • 제 8 장 수산업 대응매뉴얼(안) 개발 ... 320
  • 8.1 개요 ... 320
  • 8.1.1 개발목적 및 필요성 ... 320
  • 8.1.2 관련 법ㆍ제도 ... 320
  • 8.1.3 사용 용어의 정의 ... 320
  • 8.2 대응 매뉴얼(안) ... 322
  • 8.2.1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 322
  • 8.2.2 주관부처 및 기관 ... 325
  • 8.2.3 지원 부처 및 기관 ... 330
  • 8.2.4 주요기관 및 단계별 대응방안 종합 ... 338
  • 8.3 화산재 확산시 종사자 행동 가이드라인(안) ... 344
  • 8.3.1 예방 및 대비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44
  • 8.3.2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45
  • 제 9 장 임업 대응매뉴얼(안) 개발 ... 346
  • 9.1 개요 ... 346
  • 9.1.1 개발목적 및 필요성 ... 346
  • 9.1.2 관련 법ㆍ제도 ... 346
  • 9.1.3 사용 용어의 정의 ... 348
  • 9.2 대응 매뉴얼(안) ... 350
  • 9.2.1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 350
  • 9.2.2 주관부처 및 기관 ... 352
  • 9.2.3 지원부처 및 기관 ... 357
  • 9.2.3 주요기관 및 단계별 대응방안 종합 ... 364
  • 9.3 화산재 확산시 종사자 행동 가이드라인(안) ... 367
  • 9.3.1 예방 및 대비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67
  • 9.3.2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행동가이드라인 ... 368
  • 제 10 장 전자부품 제조업 대응매뉴얼(안) 개발 ... 369
  • 10.1 개요 ... 369
  • 10.1.1 개발목적 및 필요성 ... 369
  • 10.1.2 관련 법ㆍ제도 ... 370
  • 10.1.3 사용 용어의 정의 ... 378
  • 10.2 대응 매뉴얼(안) ... 380
  • 10.2.1 관련기관 주요 임무 및 체계 ... 380
  • 10.2.2 주관부처 및 기관 ... 384
  • 10.2.3 지원부처 및 기관 ... 390
  • 10.2.4 주요기관 및 단계별 대응방안 종합 ... 398
  • 10.3 화산재 확산시 종사자 행동 가이드라인(안) ... 401
  • 10.3.1 예방 및 대비를 위한 행동 가이드라인 ... 401
  • 10.3.2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행동 가이드라인 ... 402
  • 제 11 장 시나리오 설정 및 위기대응체계(안) ... 404
  • 11.1 시나리오 개요 ... 404
  • 11.2 농업 시나리오 설정 ... 406
  • 11.2.1 피해시나리오 ... 406
  • 11.2.2 농업 위기대응체계(안) ... 407
  • 11.3 축산업 시나리오 설정 ... 410
  • 11.3.1 피해시나리오 ... 410
  • 11.3.2 축산업 위기대응체계(안) ... 412
  • 11.4 수산업 시나리오 설정 ... 415
  • 11.4.1 피해시나리오 ... 415
  • 11.4.2 수산업 위기대응체계(안) ... 417
  • 11.5 임업 시나리오 설정 ... 420
  • 11.5.1 피해시나리오 ... 420
  • 11.5.2 임업 위기대응체계(안) ... 422
  • 11.6 전자부품제조업 시나리오 설정 ... 425
  • 11.6.1 피해시나리오 ... 425
  • 11.6.2 전자부품제조업 위기대응체계(안) ... 426
  • 제 12 장 결 론 ... 429
  • 12.1 연구의 종합 ... 429
  • 12.2 시사점 ... 433
  • 참 고 문 헌 ... 434
  • 부 록 ... 440
  • 부록 1. 화산재 확산 및 낙하에 따른 생활환경 행동요령(안) 수립 ... 442
  • 부록 2. 생활환경 가이드라인(안) 제시 ... 456
  • 부록 3. 연구분야별 설문조사 내용 및 결과 ... 463
  • 부록 4.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 507
  • 끝페이지 ... 53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