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CP 기후시나리오 기반 해안 영향평가 및 적응 전략 개발 연구
Studies on the Coastal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y based on RCP Climate Scenario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보고서유형3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500013495
과제고유번호 1365001896
사업명 기후변화 감시ㆍ예측 및 국가 정책 지원 강화
DB 구축일자 2015-08-15
키워드 기후변화.해수면 상승.영향평가.적응.연안.Climate Change.Sea Level Rise.Impact Assessment.Adaptation.Coastal Zon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13495

초록

■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해수면 상승은 지구평균치를 상회하고 있으며, IPCC RCP 4개 시나리오에 대하여 21세기 말까지 87∼136cm 상승이 예측됨
■ RCP 4개 해수면 시나리오에 대하여 2030∼2100년 우리나라 해안의 자연 및 사회․경제시스템의 영향평가 결과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2100년 최대 범람 면적은 전 국토의 약 3.8%이며 그 대부분이 서해안에 집중됨
- 빈곤계층의 거주가 많은 연안지역의 높은 취약성은 향후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으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를 가중시킬 가능성이 높음

Abstract

Ⅳ. Results of the Study
Sea level rise(SLR, hereinafter) scenarios were estimated by applying semi-empirical formula for atmospheric temperature rise by the year of 2100 based on the four different RCP scenarios(RCP 2.6, 4.5, 6.0 and 8.5). The amounts of SLR by 2100 are 0.87m, 1.21m,1.02m and 1.3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7
  • CONTENTS ... 11
  • 목차 ... 13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6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8
  • 제1절 연구개발 필요성 ... 18
  • 1. 연구배경 ... 18
  • 2. 경제적・산업적 중요성 ... 19
  • 3. 국가 정책적 필요성 ... 19
  • 제2절 연구개발 목적 ... 19
  • 제3절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 20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1
  •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 21
  •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 22
  • 제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비교 ... 23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8
  • 제1절 해수면 시나리오 ... 28
  • 1. 개요 ... 28
  • 2. 자료 및 방법론 ... 28
  • 3. 해수면 시나리오 산출 ... 32
  • 4. 태풍해일 시나리오 ... 36
  • 5. 조석 ... 37
  • 제2절 해수면 상승 자연 및 사회시스템 영향평가 ... 38
  • 1. 개요 ... 38
  • 2. 자료 및 방법론 ... 38
  • 3. 자연시스템 영향평가 결과 ... 39
  • 4. 사회시스템 영향평가 결과 ... 50
  • 제3절 해수면 상승 경제적 영향평가 ... 63
  • 1. 개요 ... 63
  • 2. 자료 및 방법론 ... 64
  • 3. 경제적 영향평가 결과 ... 67
  • 제4절 해수면 상승 적응 전략 ... 80
  • 1. 개요 ... 80
  • 2. 최적해안방어비율 산정 방법론 ... 80
  • 3. 해안별 적응 전략 : 범람지역 최적해안방어비율 ... 81
  • 제5절 정량적 연구성과 ... 84
  • 1. 논문게재 성과 ... 84
  • 2. 소프트웨어 성과 ... 84
  • 제6절 결론 및 시사점 ... 85
  •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도 ... 87
  • 제1절 목표 달성도 ... 87
  •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88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계획 ... 90
  • ■ 국가 및 지자체 적응 정책 개선에 활용 ... 90
  • ■ 동아시아 등 저개발국의 기후변화적응 국제협력 및 지원에 활용 ... 90
  • ■ IPCC 제6차보고서 및 기후변화협약 국가보고서 등 국제기구에 활용 ... 90
  • ■ 향후 연구 도출 ... 90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 91
  • 제1절 해수면 상승 관련 연안재해 대응 해외 연구 사례 ... 91
  • ○ 미국의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재해 취약성 평가 : Botts et al.(2012) ... 91
  •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연안 해수면 상승률 평가 : Breaker et al.(2013) ... 91
  • ○ 미국 루이지애나 지역 생태 복원력 평가 : Frazier et al.(2013) ... 91
  • ○ 브라질 Massaguacu 해안 리스크 평가 : Sousa et al.(2011) ... 92
  • ○ 독일의 최대파고의 변화에 따른 기후 및 재해 영향 : de Winter et al.(2012) ... 92
  • ○ 이탈리아 연안 취약성 평가 : Di Paola et al.(2011) ... 92
  • ○ 가나 연안 사례의 연안 침식 및 관리 평가 : Boateng(2012) ... 92
  • ○ 아시아・태평양 대상 개발이득 보호법 : UNESCAP와 UNISDR(2010) ... 93
  • ○ 호주 연안 기후변화 위험평가 및 적응 연구 : Elrick et al.(2009) ... 93
  • ○ 호주 수산부의 기후변화 및 연안 취약성 평가 :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2008) ... 93
  • ○ 방글라데시 지역의 홍수 위험 및 취약성 평가 : Masood et al.(2012) ... 93
  • ○ 잠재적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방안 : Zander et al.(2013) ... 94
  • ○ 인도의 GIS 기술을 적용한 침수한계선 구분 : Muthusankar et al.(2013) ... 94
  • ○ 연안침식 취약성 평가 연구 : Jana et al.(2013) ... 94
  • ○ 인도 동남해안의 침수한계선 구분 : Appelquist(2012) ... 94
  • 제2절 2014 Climate Change Symposium 주요 내용 ... 95
  • 1. 주요 발표 내용 ... 95
  • 2. 관련 전문가 회의 ... 105
  • 3. 주요 결론 ... 105
  • 제3절 IPCC 제36차・제40차 총회 정부대표단 활동 ... 107
  • 1. IPCC 제36차 총회 : IPCC WG Ⅰ 제5차 평가보고서(AR5) 승인 및 발표 주요 내용 ... 107
  • 2. IPCC 제40차 총회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Synthesis Report) 채택 총회 주요 내용 ... 113
  • 제7장 연구시설 장비 현황 및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 119
  • 제8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 안전조치 이행실적 ... 120
  • 제9장 참고문헌 ... 121
  • 끝페이지 ... 125

표/그림 (9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