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12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등록번호 |
TRKO201500014006 |
과제고유번호 |
1485012602 |
사업명 |
생물자원발굴및분류연구 |
DB 구축일자 |
2015-08-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14006 |
초록
▼
4. 연구 결과
조사된 혼합대의 65개 지점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은 14개 분류군 13,486 개체로서 6문, 6강, 6목, 4과, 1속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절지동물문 (Arthropoda)이 9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갈고리노벌레목 및 검물벼룩이 80.0% 이상의 출현율을 보였다.
혼합대 내에서 무척추동물은 pH 6.0 ~ 8.3 사이에 분포 하였다. 갈고리노벌레목, 검물벼룩과, 거미강은 pH 6.0 ~ 8.3 사이에 분포해 pH 범위가 가장 넓었고, 윤형동물문은 pH 6.3 ~ 7.7 로 가장
4. 연구 결과
조사된 혼합대의 65개 지점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은 14개 분류군 13,486 개체로서 6문, 6강, 6목, 4과, 1속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절지동물문 (Arthropoda)이 9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갈고리노벌레목 및 검물벼룩이 80.0% 이상의 출현율을 보였다.
혼합대 내에서 무척추동물은 pH 6.0 ~ 8.3 사이에 분포 하였다. 갈고리노벌레목, 검물벼룩과, 거미강은 pH 6.0 ~ 8.3 사이에 분포해 pH 범위가 가장 넓었고, 윤형동물문은 pH 6.3 ~ 7.7 로 가장 좁았다. 혼합대의 특성상 수온은 계절에 상관없이 평균 12.4 ~ 16.4℃를 나타냈다. 수온의 분포 범위가 가장 넓은 생물은 검물벼룩과, 거미강, 빈모강, 선형동물문이고, 가장 높은 온도에서 나타난 생물은 Parabathynellidae로 21.8℃ 에서도 출현하였다. 전기전도도는 96.4 ~ 612 ㎲/cm 범위를 나타냈으며, 이 구간에 모두 해당하는 생물은 선형동물문과 검물벼룩과 이었다.
혼합대 서식 무척추동물의 출현은 강우패턴과 다소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조사시기의 평균 강수량은 30 - 60 mm이었으며, 검물벼룩과 선형동물은 0 - 114.6 mm 에서 출현해 강수량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하목의 경우 강수량 0 - 58 mm로 범위에서 출현하여 강수량과 고하목의 출현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혼합대 조사지점의 물리적 환경을 시멘트, 돌망태, 자연 제방으로 구분하여 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시멘트 제방에서 출현한 생물은 총 13분류군 1,299 개체로서, 고하목이 우점(58.9%)하였고, 돌망태 제방에서는 총 4,016개체로서, 검물벼룩이 우점(44.7%)하였다. 자연 제방에서는 총 8,171 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검물벼룩이 우점(51.3%)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또한 갑각강 고하목 너도고하(Parabathynellidae)과에 속하는 10개 이상의 신종후보를 발굴하였다. 이 중 2종은 Arisubathynella(아리수옛새우속), 3종은 Nipponbathynella(일본옛새우속), 그리고 나머지 5종은 Allobathynella(딴옛새우속)에 속한다. Arisubathynella의 2종 및 Nipponbathynella의 3종은 기재작업을 완료하고 각각 Journal of Crustacean Biology (SCI) 및 Journal of Natural History (SCI)에 학술보고를 완료하였으며, Allobathynella의 5종은 기재작성 중이다. 발굴되어 기재하거나 또는 기재작성 중인 신종에서 유래한 500점 이상의 표본은 모두 기준표본(모식표본 및 부모식표본)으로서 국립생물자원관에 수장하였거나 수장될 예정이다.
Abstract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aunal disversity of invertebrates present in the hyporheic zone of Korean river system. Four large river system such as Han, Nakdong, Geum and Yeongsan, and the rivers Seomjin and Imjin as well as the streams flowing into East Sea have been surveyed in 201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aunal disversity of invertebrates present in the hyporheic zone of Korean river system. Four large river system such as Han, Nakdong, Geum and Yeongsan, and the rivers Seomjin and Imjin as well as the streams flowing into East Sea have been surveyed in 2014. We selected and visited totally 65 sites of these rivers and streams, from which 13,486 specimens of small invertebrates belonging to 14 taxa. Arthropods, especially the copepods and the bathynellaceans, turn out to be dominant in hyporheic zone. There seems to be a correlation between occurrence of a specific taxon and water temperature as well as rainfall. For example, Parabathynellidae seem to favor a relative high water temperature and low precipitation,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used as indicator in this respect. All faunas appears to favor the natural environment, evading artifical construction in river.
More than ten forms of Parabathynellidae have been discovered. A careful comparison result in that all these forms are new in science. Of these forms, five have been described formally. Two of them belong to Arisubathynella, while three are proved to belong to Nipponbathynella.
For two species of Arisubathynella, a manuscript is prepared, submitted to, accepted in the Journal of Crustacean Biology (SCI). Three species of Nipponbathynella have been together with a Japanese new congener brought into a manuscript, which is in awaiting of editor's decision of the Journal of Natural History. All specimen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as type material, deposited i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Institute, Korea.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참여연구진 ... 3
- 요 약 문 ... 5
- 목 차 ... 8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0
- Contents ... 11
- Abstract ... 12
- I. 서론 ... 13
- II. 연구방법 ... 15
- 1. 조사기간 및 조사 지역 ... 15
- 2. 조사지점의 선정 및 표본의 채집 ... 17
- 3. 보관 및 분류군 ... 19
- 4. 자료 및 군집분석 ... 20
- III. 연구결과 및 고찰 ... 22
- 1. 혼합대의 생물군집 ... 22
- 2. 생물군집과 환경인자와의 관계 ... 23
- 가. 다양도, 우점도 및 풍부도 ... 23
- 나. 수질인자 ... 24
- 다. 강수량 및 주변환경 ... 25
- 3. 신종․미기록종의 확보 ... 26
- 가. Arisubathynella hongcheonensis Park and Cho 홍천옛새우 ... 26
- 나. Arisubathynella imjinensis Park and Cho, 2015 임진옛새우 ... 30
- 다. Arisubathynella imjinensis Park and Cho, 2015 임진옛새우 ... 34
- 라. Nipponbathynella leesookyungae Park and Cho, 2015 영암옛새우 ... 38
- 마. Nipponbathynella wanjuensis Park and Cho, 2015 완주옛새우 ... 42
- IV. 참고문헌 ... 47
- 끝페이지 ... 4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