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립수목원 Korea National Arboretum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12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수목원 Korea National Arboretum |
등록번호 |
TRKO201500014035 |
과제고유번호 |
1405002513 |
사업명 |
산림생물종연구 |
DB 구축일자 |
2015-08-15
|
초록
▼
1. 목 적
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비비추속 식물들을 동정하고 분류하여 정확한 분류체계를 정립하고자 함.
나. 동정된 비비추속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특성 및 이용정보 평가하고, 우수개체를 선발 하고자 함.
다. 비비추속 식물의 수집, 증식, 관리기술의 실용화 및 전문화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하고자 함.
라. 수집된 식물과 개발된 신품종 등을 이용하여 전시 및 조경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하고 특화된 전시원을 조성하고자 함.
2. 연구개발사업 개요
가. 연구배경 및 연구사
1. 목 적
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비비추속 식물들을 동정하고 분류하여 정확한 분류체계를 정립하고자 함.
나. 동정된 비비추속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특성 및 이용정보 평가하고, 우수개체를 선발 하고자 함.
다. 비비추속 식물의 수집, 증식, 관리기술의 실용화 및 전문화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하고자 함.
라. 수집된 식물과 개발된 신품종 등을 이용하여 전시 및 조경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하고 특화된 전시원을 조성하고자 함.
2. 연구개발사업 개요
가. 연구배경 및 연구사
1) 최근 산업화 및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지구파괴가 심각해지고 있어 자연 복원 사업, 멸종위기동식물들의 보존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식물원과 수목원 등을 중심으로 유전자원보존, 환경생태계보존에 대한 연구, 교육, 전시활동이 증대 되고 있기 때문에(최 등, 2003)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비비추속 식물을 이용하여 조사, 수집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교육, 전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품종을 개발하여 특화된 전시원을 조성하고자 함.
2) 비비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는 이루어져 왔으나 분류형질이 모호하여 아직까지도 문헌자료를 통한 정확한 식별이 어렵고 수집된 표본에서도 한반도 미기록 종이 포함되어 있어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비비추속 식물들을 수집하여 재동정하고 분류하여 정확한 분류체계 정립이 필요함.
3) 최근 조경 및 전시용 식물소재로 꽃보다 관상기간이 긴 잎무늬종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되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잎을 관상할 수 있는 비비추속 식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품종 개발이 필요함.
4) 정확히 동정된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용도별 우수개체 개발이 필요하며, 증식체계 확립이 되어야 함.
5) 수목원 이용자들은 과거의 낮은 입장료와 일률적인 관람코스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다양한 체험과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전시 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식물원 및 수목원에서는 장미원이나 튤립원 등 같은 속의 식물 종들을 단순하게 식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차별화된 전시원 조성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비비추속 식물의 수집, 증식, 관리 기술을 실용화하고 전문화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함.
나. 기술동향분석(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1) 비비추속 식물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동아시아 지방의 백합과의 내한성 숙근초로서 특산식물이며(Grenfell, 1996),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에서 어린잎은 식용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뜰에 심어서 꽃과 잎을 관상하는 정원식물임.
2) 비비추속 식물은 세계적으로는 약 7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데, 한국, 중국, 일본이 중심지로 40∼50종이며, 원종이 8종이고(이창복, 1985), 원예품종으로는 약 2,500종 류로 보고됨.
3)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일월비비추(Hosta capitata (Koidz.) Nakai), 흰일월비비추(Hosta capitata f. albiflora Y.N.Lee), 주걱비비추(Hosta clausa Nakai), 참비비추(Hosta clausa var. normalis F.Maek.), 이삭비비추(Hosta ensata F.Maek.), 넓은 옥잠화(Hosta japonica var. latifolia Nakai), 다도해비비추(Hosta jonesii M.G.Chung), 비비추(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흰비비추 (Hosta longipes f. alba (Nakai) T.B.Lee), 돌산비비추(Hosta longipes var. gracillima (F.Maek.) N.Fujita), 산옥잠화(Hosta longisima Honda), 좀비비추 (Hosta minor (Baker) Nakai), 흰좀비비추(Hosta minor f. alba (Nakai) F.Maek.), 옥잠화(Hosta plantaginea (Lam.) Asch.), 긴옥잠화(Hosta plantaginea var. japonica Kikuti & F.Maek.), 큰비비추(Hosta sieboldiana (Lodd.) Engl.), 해인비비추(Hosta tardiva Nakai), 한라비비추(Hosta venusta F.Maek.) 등 18종이 보고되어 있음.
4) 비비추속 식물은 내음성이 강하고 재배관리가 쉽기 때문에 관엽 및 지피식물로 외국에서는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왔으며 1812년 Trattinick에 의하여 서양에서 처음 도입(Schmid, 1999)되었고, 유럽과 캐나다 및 미국 지역에서는 비비추속 식물의 판매가 10여년 이상에 걸쳐 상위 1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선호도가 큰 식물이지만(Cho 등, 2005). 원산지인 우리나라는 일부만 연구되었고, 화훼유통시장에서도 외국으로부터 많은 Hosta품종들이 무분별하게 도입(Lee and Seo, 2003)되고 있는 실정임.
5)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은 Baker(1871)에 의해 Funkia ovata var. minor의 분포를 처음 기재한 이후 Nakai(1911)에 의해 Hosta lancifoila, H. caeroulea, H. minor 의 3종이 발표되었고 그 후 4년 뒤에 H. longipea 1종을 추가 발표한 바 있다 (Nakai, 1915). 또한, Nakai(1952)가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을 정리하여 H. clausa, H. clausa var. normlis, H. ensata, H, minor for. alba, H. nakaiana의 3종 1변종 1품종의 5분류군이 국내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Cho, 2005). 이 후 Lee(1973)는 H. clausa에 대한 세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Chung(1988)은 원예종을 포함하여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 19분류군에 대한 형태학적 기재(잎, 꽃, 과실 및 종자)를 조사하여 종 검색표를 작성한 바 있고, H. yingeri에 대한 allozyme 분석을 통하여 개체군간 유전적 다양성 및 구조에 대하여 조사된 바 있고(Chung and Chung, 1994), H. capitata 1종에 대하여 자연집단 19장소의 개체군들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 집단의 유전적 구조 및 유전자 이동을 조사, 발표한 바 있다(Chung, 1994). 또한 최근에는 비비추속 식물들의 종의 구분을 위한 형태학적, 화분학적, 세포학적 조사를 수행한 결과(Chang, 1990)와 우리나라 자생종의 변이에 관한 연구나 변이종간 유연관계에 관하여(Lee and Chang, 2002) 보고됨.
다. SWOT분석
1) 강점
가) 표본관과 전시원 내 비비추속 식물의 표본 수집 및 품종확보를 통한 연구기반 마련.
나) 유용식물증식센터 등 전시원 조성 및 증식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다) 기초, 개발, 응용에 대한 동시 연구를 통한 활용성 증대.
2) 약점
가) 품종 및 교잡으로 인한 기본종의 정보 분석에 대한 어려움.
나) 다양한 분야의 전문연구 인력 부족
3) 기회
가) 식물자원에 대한 원예적 가치 관심 증대.
나) 국외 원예식물의 무분별한 도입으로 인한 국내 원예식물의 개발 필요성 증대
4) 위협
가) 국내외 기술력 향상으로 인한 증식 및 활용에 대한 다양성 가속화
나) 부정확하고 무분별한 품종의 유입 및 활용으로 인한 체계적 관리 어려움.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개발사업보고서 ... 2
- 1. 목 적 ... 3
- 2. 연구개발사업 개요 ... 3
- 가. 연구배경 및 연구사 ... 3
- 나. 기술동향분석(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 4
- 다. SWOT분석 ... 5
- 3. 수행방법 ... 5
- 가.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의 분류학적 검토 ... 5
- 나. 비비추속 식물자원 특성조사, 우수개체선발 및 증식기술개발 ... 6
- 다. 비비추속 식물을 이용한 전시원 조성 ... 6
- 라. 비비추 재배식물 조사 ... 7
- 4. 연구결과 ... 7
- 가. 한국산 비비추속 식물의 분류학적 검토 ... 7
- 나. 비비추속 식물자원 특성조사, 우수개체선발 및 증식기술개발 ... 10
- 다. 비비추속 식물을 이용한 전시원 조성 ... 21
- 라. 비비추 재배식물 조사 ... 23
- 5. 고찰 및 결론 ... 32
- 6. 활용계획 ... 32
- 가. 기술적 측면 ... 32
- 나. TRM 목표 달성도 ... 32
- 7. 참고문헌 ... 33
- 8. 연구성과 ... 34
- 가. 논문 ... 34
- 끝페이지 ... 3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