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그린시티 모델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f a development for Smart Green City Mod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녹색기술센터
연구책임자 김형주
참여연구자 김민철 , 정상철 , 김영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녹색기술센터
등록번호 TRKO201600000612
DB 구축일자 2016-04-23

초록

인터넷 통신기술(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발전으로 에너지 소비저감과 효율화 방안을 도시 인프라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친환경적인 도시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설계 요소를 도시계획 전반에 반영하고 실행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도시설계를 위한 도시 단위에서 분석이 가능한 에너지 맵툴(Energy map tool)을 구축하여 도시를 구성하는 각 분야별 전략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1장에서는 ICT 기술을 이용해 주요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mproves the environment of urban infrastructure, which allows enhancing energy efficiency and energy saving. The concept of Smart Green City (SGC) aims at establishing eco-friendly city and includes all elements for construction to impleme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5
  • 요약문 ... 7
  • SUMMARY ... 8
  • 목차 ... 10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5
  • 제1장 서론 ... 18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8
  • 1. 연구의 배경 ... 18
  • 2. 연구의 목적 ... 20
  • 제2장 ICT 기술의 스마트 그린시티 구성 방안 ... 23
  • 제1절 ICT 스마트 그린시티의 배경 ... 23
  • 1. 추진 배경 ... 23
  • 2. 스마트시티 ... 24
  • 3. 국내 사례 ... 25
  • 4. 해외 사례 ... 31
  • 제3장 시민참여 기반 스마트 그린시티 모델 ... 40
  • 제1절 스마트 그린시티 시민참여 개념 ... 40
  • 1. 시민 참여의 형성 과정 ... 41
  • 2. 스마트시티로의 시민참여 ... 42
  • 3. 과학기술 분야 시민참여 ... 43
  • 4. 환경 분야 시민참여 ... 44
  • 5. 도시 계획과 시민참여 ... 45
  • 6.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확대 ... 46
  • 7. 시민참여 원칙과 고려사항 ... 46
  • 제2절 사용자 중심의 리빙랩 ... 52
  • 1. 네덜란드의 리빙랩 사례 ... 53
  • 2. 독일의 보트롭 사례 ... 60
  • 제3절 시민참여 기반의 도시개발 ... 66
  • 1. 코펜하겐의 노하우넨(Nordhavn) ... 66
  • 2. 영국, 브리스톨의 그린 도어스(Green Doors) ... 70
  • 3. 미국, 뉴욕의 One City: Built to Last(건물에너지효율화 프로그램) ... 72
  • 제4절 국내의 시민참여 기반 에너지 효율화 사업 모델 ... 75
  • 1. 서울햇빛발전소 특별자산투자신탁 ... 75
  • 2. 서울시 에너지시민복지기금 ... 79
  • 3. 미니태양광 사업 ... 80
  • 4. 에너지 취약계층 주거시설 효율 개선 CSR 사업 ... 83
  • 제4장 에너지 맵 (Energy Map) ... 86
  • 제1절 에너지 맵 개요 ... 86
  • 제2절 에너지 맵 구축사례 ... 92
  • 1. Fraunhofer ISE ... 92
  • 2. 영국 Bristol 시 Solar map ... 93
  • 3. 뉴욕 solar map ... 95
  • 4. 서울시 햇빛 지도 ... 97
  • 5. MIT의 Sustaiable Design Lab의 energy map tool ... 98
  • 제3절 도시형 에너지 맵 툴(Energy Map Tool) 구축 ... 99
  • 1. 에너지 맵 툴 개발 현황 및 내용 ... 100
  • 2. 에너지 맵 툴 개발 현황 및 내용 ... 104
  • 3. 도시 적용사례 분석 ... 104
  • 제5장 도시 맞춤형 그린빌딩 ... 110
  • 제1절 연구의 배경 ... 110
  • 1. 도시의 패러다임 변화 ... 110
  • 2. 우리나라 주택의 변천 ... 111
  • 제2절 그린빌딩 ... 113
  • 1. 건축물 인증제도 ... 113
  • 2. 맞춤형 그린빌딩 연구 ... 119
  • 3. 대상건물의 선정 ... 121
  • 4. 지역선정 ... 123
  • 5. 주택의 수선주기 ... 125
  • 6.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선정 ... 125
  • 7. 녹색기술의 분류 및 기술개요 ... 128
  • 8. 범위설정 ... 131
  • 제3절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 134
  • 1. 기존 대상건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 134
  • 2. 기존 대상건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계산 ... 137
  • 제4절 리트로핏 대상주택의 녹색기술별 이산화탄소 배출저감량 분석 ... 139
  • 1. 패시브기술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 140
  • 2. 액티브기술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 143
  • 3. 녹색기술별 이산화탄소 절감효과 우선순위 ... 147
  • 제5절 비용대비 효과분석 ... 153
  • 1. 선정 녹색기술별 일위대가 산출 ... 153
  • 2. 공사비 산출 ... 154
  • 3. 단위공사비용 당 이산화탄소(CO₂) 절감효과 ... 156
  • 4. 기술적합성 분석 ... 161
  • 제6절 지역별 녹색기술 우선순위 ... 162
  • 제6장 결론 ... 166
  • 부록 건축기술 데이터베이스 ... 171
  • 참고문헌 ... 198
  • 끝페이지 ... 204

표/그림 (12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