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What Is to Be Done for the Mid-20s to 30s in an Era of Low Growth? : Dilemmas of Housing Marke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연구책임자 이수욱
참여연구자 김태환 , 이형찬 , 황관석 , 변세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등록번호 TRKO201600000882
과제고유번호 1105010730
DB 구축일자 2016-05-14
키워드 housing tenure choice,cohort effect,monthly rent,affordability of households,employment and income

초록

1. 서론
❏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결혼시기, 고용의 질, 주택가격 상승,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등 과거와 다른 사회경제적 환경으로 인해 주택수요의 핵심계층인 청년층의 주택구매력에도 변화가 발생했을 것이란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주택시장 변동은 저성장, 저금리, 저출산 등 3低 현상과 더불어 고용 불안과 소득대비 높은 주택가격, 월세 등 주거비부담 증가에 따른 젊은 층의 주택구매력 약화 등이 본질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보고, 시장불안 완화의 방안을 수요자 특히, 주택시장의 주요 수요층인 2

Abstract

Korean housing market is going through a rapid shift due to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s. Unstability in employment and income facilitates the trend of decreasing home ownership and chonsei while increasing monthly rent ratio.
In the era of low growth, employment is unstable; housing price i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 6
  • 요약 ... 7
  • 목차 ... 30
  • 표목차 ... 34
  • 그림목차 ... 38
  • 제 1 장 서 론 ... 40
  • 1. 연구 배경과 목적 ... 42
  • 1) 연구의 배경 ... 42
  • 2) 연구목적 ... 44
  • 2. 연구 범위와 방법 ... 46
  • 1) 연구의 범위 ... 46
  • 2) 연구방법 ... 47
  • 3. 연구보고서의 구성과 수행체계 ... 47
  • 제 2 장 청년층 주거에 관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 ... 50
  • 1. 청년층의 주택점유형태 결정과 소비에 관한 선행연구들 ... 52
  • 1) 주요 선행연구들 ... 52
  •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시사점 ... 61
  • 2. 이론적 배경과 주요 개념 ... 65
  • 1) 저성장과 주택시장 ... 65
  • 2) 청년층의 생애주기 가설 재해석 필요 ... 69
  • 3) 청년층의 자가점유 촉진과 자산형성지원 정책 필요 ... 71
  • 3.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소비행태 변화 분석을 위한 방법론 ... 74
  • 1) 분석에 이용한 자료 ... 74
  • 2) 연구방법론 ... 77
  • 제 3 장 청년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주거소비 코호트효과 분석 ... 80
  • 1. 청년층 인구 현황과 경제활동 실태 ... 82
  • 1) 청년층의 인구 및 가구 ... 82
  • 2) 청년층의 경제활동 특성 ... 85
  • 2. 청년층의 고용변화 원인분석 ... 87
  • 3. 청년층 가구의 주거소비실태 분석 ... 89
  • 1) 분석자료 및 방법 ... 89
  • 2) 청년층 주거소비실태 분석 ... 90
  • 3) 청년층 주거실태분석 결과 종합 ... 99
  • 4. 청년층의 경제적 특성과 주거소비에 관한 코호트효과 분석 ... 100
  • 1) 분석 방법과 표본 특성 ... 100
  • 2) 25~39세 청년층의 코호트효과 분석결과 ... 102
  • 5. 주택점유형태 변화와 청년층 가구의 경제적 특성 ... 113
  • 1) 분석개요 ... 113
  • 2) 분석결과 ... 114
  • 6. 소결 ... 119
  • 제 4 장 청년층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거소비 결정요인 분석 ... 122
  • 1. 실증분석 모형의 개발 ... 124
  • 2. 분석자료 및 변수 측정 ... 128
  • 1) 분석자료 ... 128
  • 2) 변수 측정 ... 129
  • 3. 기초통계량 분석 ... 134
  • 4. 추정결과 ... 138
  • 1) 주택점유형태와 주거면적 추정 결과 ... 138
  • 2) 한계효과 및 탄력성 분석 ... 144
  • 5. 통합(pooled) 자료를 이용한 분석 ... 148
  • 6. 패널자료를 이용한 주택점유형태 변화 분석 ... 154
  • 1) 실증분석 모형의 구축 ... 154
  • 2) 자료 및 기초통계량 ... 156
  • 3) 추정결과 ... 159
  • 7. 소결 ... 162
  • 제 5 장 청년층의 주거비부담능력 변화 전망과 주택시장 ... 164
  • 1. 주거비부담능력 분석을 위한 개요 ... 166
  • 1) 분석의 틀 ... 166
  • 2) 분석 자료와 표본 ... 168
  • 2. 주요 변수의 추정 ... 168
  • 1) 소득 ... 168
  • 2) 순자산 추정 ... 170
  • 3) 기타변수에 대한 가정 ... 172
  • 3. 청년층 가구의 부담능력 추정 ... 176
  • 1) 시나리오 설정 ... 176
  • 2) 주택구입능력 전망 ... 178
  • 3) 임대료지불능력 전망 ... 180
  • 4. 부담 가능한 주택재고 및 매물 분석 ... 182
  • 1) 부담 가능한 주택재고 및 매물 분석 ... 183
  • 2) 부담 가능한 임대주택재고 및 매물 분석 ... 199
  • 5. 소결 ... 210
  • 제 6 장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 212
  • 1. 연구의 요약과 결론 ... 214
  • 1) 청년층에 대한 코호트효과 분석결과 ... 215
  • 2) 청년층의 주택점유형태 결정 및 주거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 216
  • 3) 청년층 주택구매력 변화 전망과 지불 가능한 주택에 대한 분석결과 ... 217
  • 4) 연구의 결론 ... 219
  • 2.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새로운 주택정책 방향의 정립 ... 220
  • 1) 청년층을 위한 새로운 주택정책의 필요성과 과제 ... 220
  • 2)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 224
  • 3. 청년층 주거안정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 228
  • 1) 주택시장과 주거복지 측면: 주택수요 및 맞춤형 공급 실현, 자산형성지원 ... 228
  • 2) 주택정책과 제도 측면: 주택수요 및 공급 제도 보완 ... 234
  • 4. 연구의 기대효과와 한계 ... 237
  • 참고문헌 ... 238
  • SUMMARY ... 244
  • 부록 ... 246
  • <부록 1> 주택매매가격 및 전환임대료 헤도닉모형 추정 결과 ... 246
  • <부록 2> 패널자료를 이용한 청년층 주거소비실태 분석 ... 249
  • <부록 3>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지원정책 현황 ... 256
  • <부록 4> 외국의 청년층 주거안정지원 정책 ... 260
  • 끝페이지 ... 265

표/그림 (13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