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강릉원주대학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3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600010851 |
과제고유번호 |
1395038630 |
사업명 |
지역전략작목산학연협력사업(보조,광특+제주계정) |
DB 구축일자 |
2016-11-05
|
키워드 |
strawberry.hydroponic system.nutrient solution.electric conductivity.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10851 |
초록
▼
Ⅳ. 연구개발결과
○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관리기술 개발
여름딸기의 생육은 품종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처리구별로 뚜렷한 특징을 나타났다. 두 품종 모두 EC 0.5dS·m-1에서 EC 1.0dS·m-1으로 배양액의 농도가 증가하면 초장과 엽폭이 증가하였으며 EC 1.5dS·m-1과 EC 2.0dS·m-1 처리구에서는 초장이 급격히 감소하며 엽수와 엽면적도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화방의 개화는 배양액의 농도가 높
Ⅳ. 연구개발결과
○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관리기술 개발
여름딸기의 생육은 품종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처리구별로 뚜렷한 특징을 나타났다. 두 품종 모두 EC 0.5dS·m-1에서 EC 1.0dS·m-1으로 배양액의 농도가 증가하면 초장과 엽폭이 증가하였으며 EC 1.5dS·m-1과 EC 2.0dS·m-1 처리구에서는 초장이 급격히 감소하며 엽수와 엽면적도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화방의 개화는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개화하였으며 개화수도 많았지만 과중이 작고 기형과 발생률이 높아 상품과율이 떨어지고 전체 수확량도 낮았다. 지상부의 생육은 정식 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가 8월 중순 이후부터 감소하였는데 처리구의 배양액 농도가 높을수록 먼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품종별로는 ‘알비온’ 품종은 배양액의 농도가 EC 1.5dS·m-1 처리구 까지는 9월까지 초장이 증가하였고 EC 2.0dS·m-1 처리구는 8월이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건물중을 보면 ‘알비온’ 품종은 EC 0.5dS·m-1처리구에 비하여 다른 처리구에서 지상부의 건물중은 높게 나타났고 근부의 건물중은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고하’품종은 EC 1.5dS·m-1 처리구에서 지상부와 근부 모두 건물중이 낮게 나타났으며 다른 처리구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부분의 과채류는 배양액 농도가 높을수록 생육과 수량이 증가하지만 여름딸기는 EC 1.5dS·m-1 이상 처리구에서는 옆면적이 작아지고 잎의 갈변현상 및 팁번 현상(칼슘결핍)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다른 괘채류에 비해서는 배양액의 적정 농도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 EC 0.5dS·m-1 처리구 에서는 초장·근중과 건물중의 생육은 양호했지만 대부분의 식물체의 잎에서 마그네슘과 망간 결핍증상이 나타났으며 드물게 붕소겹핍 증상도 나타났다. 여름딸기 배양액 농도에 따른 수확량변화는 생육초기에는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확량이 많지만 8월 중순 이후에는 EC 0.5dS·m-1 처리구와 EC 1.0dS·m-1 처리구에서 수확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배양액의 농도가 높으면 5g이하의 소과 생산량이 많아져 상품과의 수량은 배양액의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름딸기 배양액 농도에 따른 과실의 수는 ‘고하’품종이 평균 24.75개로 ‘알비온’품종의 13.63개 보다 높았지만, 평균과중은 ‘고하’ 품종이 7.45g으로 ‘알비온’ 품종의 10.64g 보다 낮았다. ‘알비온’품종은 과실수와 과실무게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고하’품종은 배양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과실수는 증가하고 과중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Ⅳ. 연구개발결과
○ 고랭지 여름딸기의 저장중 항산화 성분 분석
본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되는 사계성 딸기의 품종별 및 저장중 항산화 성분의 변화량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사계성 딸기 품종은 ‘Albion’, ‘Flamenco’, ‘Goha’, ‘San Andreas’, 그리고 ‘Seascape’ 이다. 이중 ‘Goha’ 품종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수입종이며, 현재 대관령 고랭지 지역에서는 품종의 다양성 및 선발을 위해서 여러 가지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ascorbic acid 함량은 사계성 딸기 5품종에서 모두 약 20mg·100g-1을 나타내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주요 색소인 anthocyanin 함량은 ‘Seascape’ 품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Goha’ 품종에서는 가장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수확시기에 ‘Goha’ 품종이 가장 착색이 덜 되었기 때문이다. Total phenolic compound는 ‘Goha’와 ‘San Andreas’ 품종에서 높으며, ‘Albion’, ‘Flamenco’, 그리고 ‘Sescape’ 품종에서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세포막 산화정도의 주요 지표로 측정되는 malondialdehyde(MDA)는 ‘Flamenco’ 품종에서 가장 낮은 반면, ‘Seascape’ 품종에서는 다른 4 품종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다.
사계성 딸기의 저장 중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한 통풍식 예냉과 차압식 예냉은 저장기간 동안 무게 손실을 야기 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Flamenco’ 품종은 통풍식 예냉처리에 의해서 저장 중 가장 높은 무게손실이 발생된 반면 ‘Goha’ 품종은 차압식 및 통풍식 예냉처리 모두 무게손실률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두 품종 모두 무게손실은 저장 12일 경과후에도 6% 내외로 적었으며, MA 처리를 하지 않고 골판상자의 포장만으로 무게손실을 최소화 할수 있었다. 장식용과 가공용으로 이용되는 사계성 딸기의 경우 당도는 일계성 딸기에 비해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경도가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사계성 딸기 ‘Flamenco’ 품종은 ‘Goha’ 품종에 비해서 경도가 높으며, 예냉처리는 경도를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예냉처리 후 저장 기간동안 사계성 딸기의 기능성 성분은 total phenolic content와 malondialdehyde의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Flamenco’ 품종에서 저장기간 동안 total phenolic 함량은 저장 시일이 경과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전처리기술은 차압식 예냉의 경우 저장 10일 경과될 때 까지 꾸준히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MDA의 증가는 ‘Flamenco’ 품종이 ‘Goha’ 품종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계성 딸기의 저장온도 조건 구명은 0℃와 4℃의 저장조건에서 수행되었다. ‘Flamenco’는 0℃ 저장시 저장기간 및 shelf life 기간 동안 가장 낮은 수분 손실율을 보인 반면, ‘Goha’ 품종은 4℃에서 저장 12일에 4% 그리고 shelf life 1일이 경과하는 동안 약 5.5%까지 수분 손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Goha’ 품종은 저장온도 가 높으면 상온에 노출시 품질변화가 빨라질 수 있으며, 적정 저장온도의 설정이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계성 딸기의 주요 당은 fructose로 저장초기에 35-75mg·g-1 정도였던 것이 shelf life 이후에는 60-80mg·g-1의 함량을 보였다.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와 malic acid이며 그 함량이 저장기간 중 각각 8-10mg·g-1 1.5-2.5mg·g-1 정도를 보였다. Citric acid 함량은 동일한 온도의 저장구에서는 ‘Goha’ 품종이 ‘Flamenco’ 품종보다 많았고, 동일한 품종에서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이는 페놀화합물이 식물체의 저항력 증대, 항산화 작용, 유전자발현 신호 혹은 세포벽의 코로크화에 관여하며, 특히 과실색 발현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처럼 딸기 과실이 익어갈수록 색이 진해질 때까지 페놀화합물이 작용하여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딸기 과실의 붉은 색소의 주요 성분은 anthocyanin이다. ‘Goha’는 ‘Flamenco’ 품종보다 저장중 색소 생성이 빨라 0℃ 저장구에서는 저장 9일째에 그리고 4℃ 저장구에서는 이보다 빠른 저장 6일째에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Flamenco’ 0℃ 저장구에서 가장 낮았고 저장중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4℃ 저장구에서는 12일 저장 이후에 증가하였다. 반면 ‘Goha’ 품종은 0℃ 저장시 저장 3일에 그리고 4℃ 저장구에서 저장초기부터 높은 함량의 ascorbic acid를 보였다. MDA는 일반적으로 저장을 진행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온도별 MDA 함량은 ‘Flamenco’와 ‘Goha’ 두 품종 모두 저장중 4℃ 저장구에서 높고 0℃ 저장구에서 낮게 유지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Flamenco’는 0℃ 저장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lamenco’ 4℃ 저장구에서는 저장 12일까지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shelf life 때 다시 감소하였다. ‘Goha’ 품종은 저장중 DPPH가 증감 모습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0℃에서는 실험 종료시점에 그리고 4℃에서는 저장 9일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Anthocyanin은 4℃ 저장구에서 더욱 붉은 색을 나타냈으며 사계성 딸기의 외관에 있어 중요시 되는 경도 또한 0℃ 저장구에 비해 4℃ 저장구에서 감소폭이 적게 나타났다. 항산화물질에 있어서도 ascorbic acid와 total phenolic compounds가 0℃ 저장구보다 4℃ 저장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딸기 저장은 적정 성숙 단계의 과실을 수확하여 4℃에 저장하는 것이 유통중 품질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계성 딸기의 저장 및 유통중에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은 곰팡이 발생이다. 곰팡이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salt(potassium bicarbonate, potassium sorbate)를 처리하였으며, salt 처리에 따른 다양한 품질 인자들을 관찰하였다. 상온저장시 salt 처리는 곰팡이 이병율 억제 효과가 적거나 오히려 곰팡이 발생을 촉진시켜 병발생 억제 효과가 없었다. 저온에서는 potassium bicarbonate 0.5%와 potassium sorbate 2%가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보였다. Potassium sorbate 2% 처리구가 저장 12일후 가장 적은 무게손실율을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들의 과실은 비슷하게 무게가 감소하였다. 경도는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의 딸기가 높은 경도를 보였다. 딸기의 과육색 변화는 salt 처리의 농도가 높을수록 채도를 낮추며 결국 색을 검붉게 만들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며 특히 potassium sorbate 처리시 chroma 값의 저하가 심하였다. 딸기의 저온 저장중 진균성 병 발현 억제를 위한 salt 처리시 potassium bicarbonate는 1%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병발생 억제효과도 없으며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확시에도 암적색의 발현이 심하며, 저장중에도 변색이 유기되어 생식용 딸기의 상품성을 상실하여 수확후관리를 위한 salt 처리제로는 부적합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딸기의 재배시 salt 처리는 potassium bicarbonate 0.5%와 potassium sorbate 2% 처리구가 저온저장 9일 동안 곰팡이 이병율을 감소시키고, 수분손실을 억제 하는 효과가 있으며, 가용성 당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어 수확후 salt 처리제로의 이용가능성 확인되었다. 이후 변색이 방지되면서 병 발생억제에 적합한 농도와 효율적인 처리방법을 구명한다면 생식용 딸기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Ⅳ. 연구개발결과
○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특성 및 재사용 방법 개발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종류별 특성 및 제염방법 개발 시험에서 물 제염 방법에 따른 시판 코이어 배지의 특성 변화를 보면, pH는 원수(pH-6.9, EC-0.21)의 산도가 높아 시판 코이어 배지 4종 모두 6.0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EC는 A, B, C 배지의 경우 물 제염 4〜8일차에 D 배지는 17일차 후에 1.0 이하의 안정적인 상태가 되었다.
양액(A) 제염의 경우 코이어 배지들의 pH 변화 특성은 2일 후 상승 하였다가 5.3〜5.8 범위에서 안정화 되었다. EC 농도는 물제염과 같은 경향으로 낮아졌으나 공급되는 양액의 EC 함량과 같은 1.2dS/m 수준에서 안정화 되었다.
코이어 배지 종류별 제염방법에 따른 생육특성을 보면, 주당과수, 과중 등 수량특성은 배지 4종 모두 무처리에 비해 제염처리가 높았고, 제염방법에서는 물제염 처리가 양액(A)제염 처리보다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10a당 평균 수량은 물제염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94.3kg 증수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수출용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코이어 배지는 수입업체 및 제품별 EC 함량 차이가 커서 베드 조성 후 EC 함량을 점검하여 사용하고, EC가 높을 때는 물로 배지를 15일간 1일 2분씩 4회 제염시키는 것이 여름딸기 생육 및 수량증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소독방법 개발 시험에서 코이어 배지 소독방법별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밀도 변화를 보면, 2, 3, 4년차 사용배지 모두 무처리에 비해 소독을 하는 것이 세균 및 곰팡이 밀도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배지 소독방법 효과는 밧사미드, 페로산, 차아염소산나트륨 순이었다.
코이어 배지의 사용연수별 소독방법에 따른 수량은 각 배지 사용연수별로 모두 무처리에 비해 페로산 처리가 6〜9%,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가 3〜5%, 밧사미드 처리가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분석 결과 각 처리별 조수입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밧사미드는 다른 소독처리에 비해 경영비가 많이 투입되어 페로산 처리 시의 소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량 및 소득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코이어 배지 사용연수 2〜4년차 모두 페로산 300배액 소독처리한 배지 사용 시 수량 1,237kg/10a, 소득 7,173천원/10a으로 무처리(1,148kg/10a, 6,220천원/10a) 대비 각각 8%, 15% 증가하였고, 경영비는 9,211천원/10a으로 신규배지로 교체할 경우(11,977천원/10a) 보다 23% 절감할 수 있었다.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재사용 배지 물리성 개선방법 구명 시험에서 코이어 배지의 사용연수별 펄라이트 혼합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보면 신규배지에 비해 배지 사용연수가 오래될수록 공극율과 기상율이 점차 낮아지고, 펄라이트를 10〜40%까지 혼합한 후 공극율, 용기용수량, 기상율 등의 물리성을 측정한 결과 낮아졌던 공극율과 기상율이 다시 높아졌다.
코이어 배지의 사용연수별 펄라이트 혼합에 따른 수량은 각 배지 사용연수별로 무처리에 비해 2년차 사용배지 시험구에서는 펄라이트 10〜20%를 혼합한 시험구가 3〜7%, 3년차 사용배지 시험구에서는 펄라이트 10〜30%를 혼합한 시험구가 5〜10%, 4년차 사용배지 시험구에서는 펄라이트 10〜40%를 혼합한 시험구가 1〜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분석 결과 조수입은 코이어 배지 사용연수 2〜4년차 모두 펄라이트 20%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펄라이트 혼합 시 경영비가 많이 투입되어 2년차 사용배지는 무처리구와 펄라이트 20% 혼합 처리구의 소득이 대등하였다. 그리고, 펄라이트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경영비가 많이 투입되어 펄라이트 혼합 처리 시의 수량 및 조수입 증대 효과가 상쇄되었다.
따라서, 수량 및 소득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재사용 배지 물리성 개선 효과는 코이어 배지 사용연수 3〜4년차에 펄라이트 20%를 혼합하여 사용시 수량 1,348kg/10a, 소득 7,609천원/10a으로 무처리(1,211kg/10a, 6,932천원/10a) 대비 각각 11%, 10% 증가하였고, 경영비는 10,250천원/10a으로 신규배지로 교체할 경우 (11,977천원/10a) 보다 14% 절감할 수 있었다.
Abstract
▼
○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관리기술 개발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EC)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highland summer strawberry cultivars ‘Albion’ and ‘Go Ha’ grown at Daegwallyong Research Center, Hoenggye, Pyeongchang, Gangw
○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관리기술 개발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EC)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highland summer strawberry cultivars ‘Albion’ and ‘Go Ha’ grown at Daegwallyong Research Center, Hoenggye,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Korea and to obtain optim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system. Nutrient solutions for strawberry (Polyfeed, Haifa) were supplied at EC 0.5, 1.0, 1.5, and 2.0S·m-1 after planting strawberry on the medium imported from Netherland (BC2, BVB) during experiment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levels of EC to 1.0 dS·m-1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s and shoot dry weights of both cultivars. In cultivar ‘Go Ha’, root length was more longer by the increasing of EC, while root length of ‘Albion’ was more shorter by the increasing level of EC. Leaf area of ‘Go ha’ increased when EC increased to1.0 dS·m-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of EC on leaf area of ‘Albion’. The different levels of EC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yield of ‘Go Ha’, but increasing level of EC to 2.0 dS·m-1 significantly reduced the yield of ‘Albion’. Despite of increasing number of fruits of ‘Go Ha’ at EC 1.5 dS·m-1, the fruit weight decreased. The lowest (0.5 dS·m-1) and the highest (2.0 dS·m -1) level of EC led to nutrient deficiency symptoms on the plants. As a result, this experiment suggested that the optimum EC for strawberry cultivars ‘Albion’ and ‘Go Ha’ was 1.0 dS·m-1 in relation with growth, yield, and other physiological responses.
○ 고랭지 여름딸기의 저장중 항산화 성분 분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verbearing strawberry cultivar grown on highlands of Gangwon province after harvest and during storage periods. Various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ascorbic acid, anthocyanin, malondialdehyde, phenolic compounds, and scavenging of DPPH free radical was analysed in everbearing strawberry fruits from five different cultivars(cv. Albion, Flamenco, Goha, San Andreas, and Seascape). Ascorbic acid content was similar in among five cultivars to 20mg·100g-1. As major pigment anthocyanin content of ‘Seascape’ cultivar was higher than any other cultivars. While ‘Goha’ cultivar had more bright red color showing lower anthocyanin content. ‘Goha’ and ‘San Andreas’ cultivars were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e accumulation of malondialdehyde, which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ascape’ cultivar.
The effect of room precooling or forced-air precooling on ‘Flaminco’ and ‘Goha’ cultivars was studied. Both precooling treatment caused the weight loss during storage periods. Higher weight loss was showed in ‘Flamenco’ cultivar treated with forced-air cooling, while in ‘Goha’ both precooling induced weight loss. Everbearing strawberry using for decoration tends to sour than June bearing strawberry, so soluble solids contents was not impact factor than firmness. Both precooling treatment was effective to maintain firmness in two strawberry cultivars. Total phenolic contents de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s. However forced air cooling maintained total phenolic contents until 10 days storage and the efficiency accelerated by low temperature lower than 4℃.
Fructose, major free sugar in everbearing strawberry,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from 35-75mg·g-1 to 60-80mg·g-1, while glucose and sucrose were not difference. Major organic acid of everbearing strawberry was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the content was 8-10mg·g-1 and 1.5-2.5mg·g-1, respectively. Storage at 0℃ maintained the organic acid, while at 4℃ citric acid content gradually increased by enhanced respiration and TCA cycle. Tendency like this showed in total phenoic compounds. Anthocyanin, one of the most important nutritional quality factors in strawberry, was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s. In ‘Goha’ cultivar rapid increase of anthocyanin was caused at 4℃ storage temperature. Also ascorb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Scavenging of DPPH free radical is the basis of a common antioxidant assay. The effect of scavenging DPPH was higher in ‘Flamenco’ cultivar stored at 4℃. Also contents of other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anthocyanin,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increased by storage at 4℃. Thus antioxidant effect was higher in everbearing strawberry stored at 4℃ than stored at 0℃.
○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특성 및 재사용 방법 개발
The Gangwon Province has been the only region where has practiced the highland summer season cultivation of ever-bearing strawberry and exported summer strawberry to Japan in summer season since 2003. The fresh vegetable export of Ganwon Province summed up 15.6 million dollar in 2013. The export of the ever-bearing strawberry of highland summer season cultivation was 0.83 million dollar, which was the second place of vegetable exportation of Gangwon Province.
The major cultivation methods of highland have been high bed hydroponics. The coir has been the major organic material media used in hydroponics. It has been mostly imported and the main factor of increasing production cost of highland summer strawberry hydroponic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ed coir media were variated by imported and manufacture company. When using repeatedly over seasons,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of coir media showed the different effects in the growth and yield of ever-bearing strawberry.
Hence,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ir substrates and developing the removing method of salts in them have been accomplished for the high bed hydroponics cultivation of ever-bearing strawberry in summer. The main targets of this study were developing the sterilization and enhancement methods of physical traits of reuse coir substrate and increasing strawberry yields and farm income as well as.
The results of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hydroponics substrates of ever-bearing strawberry showed the big differences in EC contents by imported companies and manufacture companies. It is recommended to test the EC contents of coir before using as substrates. When meeting with high EC content coir, the proper method of removing salts from substrates was 4 times washing with water for 2 minutes a day for 15 days. This method could decrease the EC content to 0.3 and helped the proper growth condition of ever-bearing strawberry highland cultivation in summer season.
The sterilization methods of reuse coir substrate was Perosan 300 time diluted solution. The practice of Perosan treated 2~4 years reuse media cultivation showed 8% high yield and 15% high farm income comparing with that of non sterilized media cultivation. The production cost of Perosan treated media cultivation was reduced by 23% comparing with that of replacing new substrates.
The study result of the physical traits enhancement treatment of reuse substrate of ever-bearing strawberry was 20% perlite mixed method. This method enhanced the physical traits and resulted in 11% high yields and 10% high income. The production cost was reduced by 14% comparing with replacing new substrat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 U M M A R Y ... 14
- 목차 ... 17
- 제 1 장 서 론 ... 1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0
- 1절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관리기술 개발 ... 20
- 2절 고랭지 여름딸기의 저장 중 항산화 성분 분석 ... 20
- 3절 고랭지 여름딸기의 수경재배용 배지 특성 및 재사용 방법 개발 ... 21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4
- 1절 고랭지 여름딸기 품종별 적정 배양액 농도 구명 ... 24
- 2절 개발 배양액 농도의 적합성 평가 및 생리장해 억제기술 개발 ... 35
- 3절 고랭지 사계성 딸기 품종별 기능성 성분조사 ... 49
- 4절 예냉처리에 따른 저장 중 품질 및 기능성 물질 변화 비교 ... 55
- 5절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중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조사 ... 69
- 6절 salt처리에 의한 수확 후 품질변화 및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조사 ... 81
- 7절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종류별 특성 및 제염방법 개발 ... 90
- 8절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배지 소독방법 개발 ... 96
- 9절 여름딸기 수경재배용 재사용 배지 물리성 개선방법 구명 ... 101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08
- 1절 : 목표대비 달성도 ... 108
- 2절 : 정량적 성과(논문게재, 특허출원, 기타)를 기술 ... 109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11
- 1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 111
- 2절 연구개발결과의 기대성과 ... 111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14
- 제 7 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 ... 114
- 제 8 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장비 현황 ... 114
- 제 9 장 참고문헌 ... 115
- 끝페이지 ... 12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