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연구책임자 |
배현주
|
참여연구자 |
신용승
,
공성용
,
이영수
,
최민지
,
하종식
,
김소희
,
이정현
,
김태훈
,
이옥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주관부처 |
환경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등록번호 |
TRKO201600011736 |
DB 구축일자 |
2016-11-26
|
초록
▼
Ⅰ. 서론
1. 연구배경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기온상승, 해수면 상승, 홍수 또는 가뭄 등 강수량 변화, 각종 기상재해의 증가, 생태계의 변화뿐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부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PCC, 2007).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기후의 변이와 극단적인 기후현상, 자연재해, 매개숙주를 통한 전염성질환, 식품안전, 수자원의 질과 양, 열 스트레스와 대기오염, 사회적 혼란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Ⅰ. 서론
1. 연구배경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기온상승, 해수면 상승, 홍수 또는 가뭄 등 강수량 변화, 각종 기상재해의 증가, 생태계의 변화뿐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부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PCC, 2007).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기후의 변이와 극단적인 기후현상, 자연재해, 매개숙주를 통한 전염성질환, 식품안전, 수자원의 질과 양, 열 스트레스와 대기오염, 사회적 혼란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WHO, 2003,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기구(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열 스트레스, 극단적인 현상과 기상재난, 대기오염, 전염성질환, 연안문제 등으로 분류하였다(IPCC, 2001).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건강영향은 열파, 홍수, 가뭄 등으로 인한 사망자수의 증가, 매개 곤충과 설치류에 의한 전염병 증가, 물 및 식품과 관련 있는 질병, 심혈관계 질환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장재연 외, 2008).
기후변화는 지역적인 기상조건을 변화시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운송, 분산과 침착에 영향을 주며, 특히 온도와 습도는 미세먼지 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미세먼지 농도는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IPCC, 2007). 세계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영향을 살펴본 연구결과, 대기오염은 사망뿐 아니라 환경성질환으로 인한 병원입원, 응급실 방문 등의 건강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Dominici et al., 2006; Atkinson et al., 2001). 전세계적으로 환경성질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환경으로 인한 세계 질병 부담률이 약 24%에 이르며, 사망률은 약 23%인 것으로 평가하였다(WHO, 2006). 우리나라의 경우 천식을 주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실인원은 2002년 202만명에서 2008년 242명으로 증가하였고, 아토피 피부염을 주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실인원은 2002년 113만명에서 2008년 114만명으로 환경성질환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최근 이와같이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위해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면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보다 체계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건강위해영향에 관한 현황 파악, 기후요인과 대기오염물질 간의 관련성,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등 과학적인 자료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대기질-건강영향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환경성질환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와 기상-대기-건강영향 각 요소들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대기오염과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건강영향예측 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여, 향후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감사의 글 ... 5
- 목차 ... 7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2
- Ⅰ. 서론 ... 15
- 1. 연구배경 ... 15
- 2. 연구목적 ... 17
- 3. 연구의 주요내용 ... 17
- Ⅱ. 기상-대기질-건강영향자료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 19
- 1.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 ... 19
- 1.1 기상 자료 ... 19
- 1.2 대기오염자료 ... 20
- 1.3 사망자료 ... 21
- 1.4 상병자료 ... 23
- 2.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26
- 2.1 기상-대기질-건강영향자료 통합 데이터베이스 ... 26
- 2.2 통합 데이터베이스 자료의 가공 ... 28
- 3. 통합 데이터베이스 변수 ... 35
- Ⅲ. 환경성질환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39
- 1. 환경성질환의 정의 ... 39
- 2. 연구대상범위 및 연구방법 ... 41
- 2.1 연구대상범위 ... 41
- 2.2 유병율 산출 방법 ... 44
- 2.3 사회경제적 수준별 유병률 분석 ... 48
- 3. 천식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50
- 3.1 시간별 추세 ... 50
- 3.2 인구구성별 분포 ... 50
- 3.3 공간적 분포 ... 52
- 3.4 사회경제적 수준별 천식 유병률 ... 61
- 4. 아토피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62
- 4.1 시간별 추세 ... 62
- 4.2 인구구성별 분포 ... 62
- 4.3 공간적 분포 ... 64
- 4.4 사회경제적 수준별 아토피 유병률 ... 72
- 5.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73
- 5.1 시간별 추세 ... 73
- 5.2 인구구성별 분포 ... 73
- 5.3 공간적 분포 ... 75
- 5.4 사회경제적 수준별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 ... 83
- 6. 허혈성심장질환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84
- 6.1 시간별 추세 ... 84
- 6.2 인구구성별 분포 ... 84
- 6.3 공간적 분포 ... 86
- 6.4 사회경제적 수준별 허혈성심장질환 유병률 ... 94
- 7. 고혈압성심장질환의 시간적, 공간적, 인구구성별 분포 ... 95
- 7.1 시간별 추세 ... 95
- 7.2 인구구성별 분포 ... 95
- 7.3 공간적 분포 ... 97
- 7.4 사회경제적 수준별 고혈압성심장질환 유병률 ... 105
- Ⅳ. 대기중 미세먼지의 구성성분의 변동 및 기상요인에 의한 복합영향 ... 107
- 1. 미세먼지 구성성분 분포와 농도 및 기상요인과의 관련성 ... 107
- 1.1 미세먼지, 중금속, 천식 입원의 시간에 따른 추세 ... 107
- 1.2 미세먼지, 중금속 및 기상요인의 상관성 ... 125
- 2. 중금속 및 미세먼지가 천식 입원에 미치는 영향 ... 132
- 2.1 중금속이 천식 입원에 미치는 영향 ... 132
- 2.2 미세먼지와 기상이 천식 입원에 미치는 영향 ... 146
- Ⅴ. 대기오염 및 기상정보를 활용한 건강영향예측 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 ... 167
- 1. 건강영향예측 기반구축의 개요 ... 167
- 1.1 연구 필요성 및 배경 ... 167
- 1.2 건강영향 예측 기반구축의 목적 ... 168
- 1.3 건강영향 예측 기반구축의 목표 ... 168
- 2. 우리나라의 기상 및 대기질 관련 건강영향 조기경보시스템 ... 169
- 2.1 폭염특보제 ... 169
- 2.2 오존경보제 ... 170
- 2.3 황사특보제 ... 174
- 3. 대기-기상정보를 활용한 건강영향예측 시스템 구축의 전략 ... 176
- 4. 대기-기상정보를 활용한 건강영향 예측 시스템개발의 구성요소 ... 178
- 4.1 데이터베이스 구축 ... 178
- 4.2 예측모형 개발 ... 179
- 4.3 조기경보시스템 ... 180
- 4.4 대응과 적응 ... 182
- 4.5 조기경보시스템의 평가 ... 183
- 5. 대기-기상정보를 활용한 건강영향예측 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전략 ... 184
- Ⅵ. 요약 및 결론 ... 195
- 1. 요약 및 결론 ... 195
- 2. 향후 연구과제 ... 196
- Ⅶ. 참고문헌 ... 199
- 끝페이지 ... 20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