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도입효과 분석
Study on the effect of the IoT introduc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연구책임자 조동군
참여연구자 정우수 , 박수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등록번호 TRKO201600014712
과제고유번호 1711021466
DB 구축일자 2016-12-17

초록

4. 연구 내용 및 결과
가.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 해외 동향
o (미국)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는 2008년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의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 활성화를 추진
o (중국) IoT 강국 도약을 위해 2009년부터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2020년까지 6,000억 달러를 IoT분야에 지원하기로 함
o (일본) 2000년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ICT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Abstract

4. Research Results
A. Foreign & Domestic Trend of IoT Policies
o The US National Intelligence Committee (NIC) has selected IoT as one of the new innovative destructive technologies that will influe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08; the vit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Io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목차 ... 5
  • 표목차 ... 7
  • 그림목차 ... 9
  • 요 약 문 ... 13
  • SUMMARY ... 23
  • CONTENTS ... 28
  • 제 1 장 서 론 ... 3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31
  • 2. 연구의 목표 및 주요 핵심내용 ... 37
  • 제 2 장 사물인터넷 국내외 동향 ... 42
  • 제 1 절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 42
  • 1. 해외 동향 ... 42
  • 2. 국내 동향 ... 55
  • 제 2 절 사물인터넷 시장동향 ... 66
  • 1. 해외 동향 ... 66
  • 2. 국내 동향 ... 79
  • 제 3절 사물인터넷 산업동향 ... 84
  • 1. 글로벌 동향 ... 84
  • 2. 해외 기업 동향 ... 95
  • 3. 국내 기업 동향 ... 104
  • 제 4절 사물인터넷 표준화관련 동향 ... 121
  • 1. 국내외 기업동향 ... 121
  • 2.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국제기구 동향 ... 125
  • 3. 국내 동향 ... 132
  • 제 5절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동향 ... 135
  • 1.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대두 ... 135
  • 2.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이슈 및 시사점 ... 141
  • 제 3 장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 조사 ... 146
  • 제 1 절 조사 개요 ... 146
  • 1. 조사 배경 및 목적 ... 146
  • 2. 조사 설계 ... 149
  • 3. 설문응답 현황 ... 152
  • 제2 절 설문조사 결과 ... 153
  • 1. 기업 일반현황 ... 153
  • 2. 사물인터넷 도입현황 ... 157
  • 3.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 161
  • 4. 정부지원방안 ... 165
  • 5. 기타 애로 및 건의사항 ... 166
  • 6. 심층 인터뷰 ... 168
  • 제 4 장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분석 ... 174
  • 제 1 절 연구 방법론 ... 174
  • 1. 사물인터넷과 혁신의 정의 ... 174
  • 2. 혁신과 생산성에 대한 연구 ... 176
  • 3. 연구모형 ... 179
  • 4. 변수의 정의 ... 182
  • 제2절 분석 결과 ... 186
  • 1. 기술적 분석 ... 186
  • 2. 모형분석 결과 ... 188
  • 3.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개선효과 ... 192
  •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 196
  • 제 1 절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 196
  • 참 고 문 헌 ... 202
  • 끝페이지 ... 207

표/그림 (11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