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병원 |
연구책임자 |
김형회
|
참여연구자 |
신경화
,
박경운
,
홍윤지
,
이현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0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
등록번호 |
TRKO201600015690 |
DB 구축일자 |
2016-12-17
|
키워드 |
적혈구 항원RBC modeling
|
초록
▼
배경: 안전한 수혈을 위해서는 헌혈자와 수혈자의 혈액형 항원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국내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이 헌혈자 혹은 수혈자가 될 수 있으므로 다문화가족 및 국내 거주 외국인의 적혈구 항원/항체 조사 및 이에 대한 혈액정책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부모의 적혈구 항원과 변화의 가능성도 있어 이들에 대한 적혈구 항원의 표현형 및 유전형 확인이 필요하다.
방법: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아동, 청소년들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여 ABO, Rh, Kell, Kidd, Du
배경: 안전한 수혈을 위해서는 헌혈자와 수혈자의 혈액형 항원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국내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이 헌혈자 혹은 수혈자가 될 수 있으므로 다문화가족 및 국내 거주 외국인의 적혈구 항원/항체 조사 및 이에 대한 혈액정책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부모의 적혈구 항원과 변화의 가능성도 있어 이들에 대한 적혈구 항원의 표현형 및 유전형 확인이 필요하다.
방법: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아동, 청소년들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여 ABO, Rh, Kell, Kidd, Duffy, MNS, Diego 혈액형 등을 표현형 검사와 유전자형 검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결과: 2016년 2월 25일까지 총 260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일반가정 130명, 다문화가정 자녀 84명, 다문화가정 성인 46명의 표현형 검사 및 186명의 유전자형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일반가정자녀의 혈액형 항원 빈도는 유사하였지만, ABO, Rh, Duffy, Kidd 등 일부 혈액형 빈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일반가정자녀군과 다문화가정자녀군에서 유전형 결과의 차이가 있는 혈액형(P value<0.05)은 Kidd (Jka), MNS (Mia)였다. ABO 혈액형 빈도 조사결과 일반가정자녀군에서는 A형이 많은데 비해, 다문화가정자녀군에서 ABO 혈액형에서 B형의 빈도가 높았다. Rh 혈액형에서 DCe 표현형의 빈도가 일반가정자녀군에서보다 다문화가정자녀군에서 높았다. MNS, Yt 혈액형 에서는 일반가정자녀군에서 발현이 없는 Mi(a) 혈액형이 8.3%, Yt(b) 혈액형이 4.2% 에서 발견되었다. 다문화가정 자녀 중 한국인에서 드문 혈액형인 Fy(a-b+), S+s-의 표현형을 가진 대상자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자녀군에서 기존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와 항원의 빈도가 다른 혈액형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한민국 내 다문화가정의 증대로 인한 사회 인구 구조 변화에 맞는 혈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향후 안전수혈에서의 혈액형 문제를 예측하기 위한 추가 연구 필요하겠고, 또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헌혈을 장려하는 정책과, 헌혈자 등록시 인종을 표기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겠다.
Abstract
▼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blood group antigens of blood donors and recipients for ensure safe blood transfusion. Recentl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blood donor or recipient. Therefore, the survey for red blood cell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blood group antigens of blood donors and recipients for ensure safe blood transfusion. Recentl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blood donor or recipient. Therefore, the survey for red blood cell antigen, antibody for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s need to establish national blood policy of upcoming multicultural era. In additi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erythrocyte antigen of their parents. We need to confirm their genotype and phenotype of the red blood cell antigens.
Methods: We recruited young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he subjects proceed with the ABO, Rh, Kell, Kidd, Duffy, MNS, Diego blood type phenotype and genotype tests. Results: Total 260 subjects were recruited to February 29, 2016. The genotypings of 186 subjects and phenotypings of 260 subjects are complete. The frequency of blood group antigens in this study were similar results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n population, excluding ABO, Rh, Kidd, Duffy. Blood group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youth group and single-cultural youth group were Kidd (Jka), MNS (Mia) (P value<0.05). TFrequency of type B in the ABO blood group is higher in multifamilial youthgroup, type A is higher in single-cultural youth group. The frequency of DCe expression in Rh blood group was higher in multicultural youth group. Mi(a) and Yt(b), which were not expressed in single-cultural youth group, were identified 8.3% and 4.2% in multicultural youth group, respectively. Fy(a-b+) and S+swere confirmed in multicultural youth group, which were rare blood type in Korea.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frequency of blood group antigens between multicultural youth group i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in korean population have been ident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ional blood policy that reflect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and changing in the population and society in Republic of Korea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to predict of problem in blood transfusion safety is necessary. And we need to review of racial presentation of blood donor and blood drive of multicultural family.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정책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2
- 목차 ... 3
- 보고서 요약문 ... 6
- Summary ... 7
-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8
- 제1장 최종 목표 ... 8
- 1.1절 목표 ... 8
- 1.2절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17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8
- 2.1절 국내 다문화가족의 의료관련 정책 및 연구 현황 ... 18
- 2.2절 혈액형 관련 연구 ... 19
- 2.3절 해외 이민자에 대한 수혈 관련 정책 ... 20
-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 22
- 3.1절 연구대상자 모집 ... 22
- 3.2절 연구 진행 준비 ... 31
- 3.3절 적혈구 항원 검사 ... 33
- 제4장 최종 연구결과 ... 36
- 4.1절 국내, 해외 지역, 인종별 적혈구 항원 빈도 관한 선행연구 비교분석 ... 36
- 4.2절 우리나라보다 다문화사회를 앞서 경험한 외국의 수혈 및 헌혈에 관련된 정책사례 고찰 ... 41
- 4.3절 국내 청소년의 적혈구 항원 유전형 및 표현형 확인 ... 51
- 제4.4절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한국인 부모의 자녀들의 적혈구 항원의 차이 분석 ... 53
- 4.5절 혈색소 질환 감별 ... 60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61
- 5.1절 적혈구 항원 분석 결과에 관한 고찰 ... 61
- 5.2절 헌혈 및 수혈 정책에 대한 고찰 ... 63
- 5.3절 혈색소 질환 감별에 관한 고찰 ... 66
- 5.4절 결론 ... 67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68
-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0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71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72
- 9.1절 연구비 사용 내역 ... 72
- 제10장 참고문헌 ... 74
- 제11장 첨부서류 ... 77
- 끝페이지 ... 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