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전자정부 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행정 컨설팅 최종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사)한국행정학회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4
주관부처 행정자치부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등록번호 TRKO201600016360
DB 구축일자 2016-12-17

초록

o 한국 전자정부 추진사례, 지방행정 정보화 추진사례, SW 표준 및 설계 연구 등의 선행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 전자정부 추진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베트남 현지 조사 및 관계자 설문.인터뷰 등을 통하여 베트남의 현재 이슈 및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베트남에 적합한 전자정부 정책 대안 제시

o 전자정부 관련 한-베 협력세미나 개최 등 교류협력 강화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제 1장 서론 ... 6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6
  •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6
  • 2. 연구의 목적 ... 7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0
  • 1. 연구의 내용 ... 10
  • 2. 연구의 범위 ... 11
  • 제3절 연구방법 ... 13
  • 1. 연구방법의 분류 ... 13
  • 2. 현지조사 내용 ... 14
  • 3.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매칭 ... 15
  • 제2장 한국전자정부와 지역정보화 사례연구 ... 16
  • 제1절 한국전자정부 추진사례연구 ... 16
  • 1. 국가규모의 전자정부 사업추진을 위한 법․제도 및 절차 ... 16
  • 2. 전자정부 추진 기관 간 협력체계 및 역할분담 ... 26
  • 3. 전자정부사업의 추진과정과 절차 ... 32
  • 4. 전자정부 사업을 위한 기금 및 예산 확보와 분배 ... 41
  • 5. 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경험, 지식, 그리고 기술 ... 43
  • 6. 전자정부 실행을 위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각종 가이드라인 체계 및 내용) ... 46
  • 7. 행정정보 공유 및 정보공동활용 ... 47
  • 8. 정부3.0 추진전략 및 체계(정부3.0백서, 2014) ... 50
  • 9. 전자정부 수행을 위한 관계기관 및 상호협력 체계 및 역할분담 ... 54
  • 10. 국가정보시스템 유지관리 및 운영 ... 57
  • 11. 시스템 사용자의 습관을 바꿀 수 있는 의사소통, 인식제고 및 방법 ... 60
  • 제 2절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 추진사례 연구 ... 63
  • 1.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개발 정책 및 전략 ... 63
  • 2.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 기관간의 책임과 역할 분담 ... 74
  • 3.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 및 전자정부의 운영모델 ... 75
  • 4.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 실행을 위한 중앙정부의 가이드라인 ... 78
  • 5.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를 위한 예산 편성과 기준 및 현황 ... 83
  • 6. 한국 지역정보화 관련 시민과 민간기업의 참여 유도를 위한 소통 및 인식제고 방법 ... 87
  • 7.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의 성숙도 평가 모델 ... 89
  • 8. 한국 지방행정 정보화 관련 IT 시스템 유지관리 및 운영경험: 상·하향식의 조화 ... 93
  • 9. 한국 지역정보화와 국가정보화와 연계: 시스템 차원의 관점 ... 97
  • 제3장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을 위한 SW 표준 및 설계연구 ... 101
  • 제1절. 「베트남 전자정부 S/W 표준 및 설계」 논의의 필요성·분석틀 ... 101
  • 1. S/W 표준의 개념 및 의의 ... 101
  • 2. 베트남 전자정부 소프트웨어 표준 및 설계 분석의 방향 ... 103
  • 제2절. 한국 전자정부 SW 표준 추진기구 및 표준지표 체계 ... 107
  • 1. 추진기구 및 표준체계 ... 107
  • 제3절. 소프트웨어 표준화 지표체계 ... 113
  • 1. 소프트웨어 신뢰성 측정(measurement of software reliability) ... 114
  • 2. 소프트웨어 설계 명세(software design descriptions, SSD) ... 118
  • 3. 소프트웨어 요구사양서(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s, SRS) ... 122
  • 4. 품질특성과 지표(software quality requirement) ... 126
  • 5. 소프트웨어 산출물의 평가(software production evaluation) ... 129
  • 6. 소프트웨어 생산지표에 대한 기준(software product matrice) ... 133
  • 7. 소프트웨어 검증과 확인에 대한 기준(Verification and Validation, V&V) ... 138
  • 8. 소프트웨어 검증과 유효성 계획에 대한 가이드(Verification and Validation, V&V) ... 139
  • 9. 공공영역에 대한 소프트웨어 획득과정(software acquisition processes) ... 142
  • 제4장 세계 트렌드와 선진사례 연구 ... 146
  • 제1절 세계의 전자정부 트렌드 ... 146
  • 1. 클라우드 컴퓨팅 ... 146
  • 2. 소셜 미디어 ... 148
  • 3. 정부 데이터의 공개 ... 149
  • 4. 빅 데이트 ... 151
  • 5. 재해관리에 있어서 업무 연속성 계획(BCP) ... 152
  • 6. 고령화 사회와 디지털 참가 ... 154
  • 7. 사이버 보안 ... 155
  • 8. 원 스톱 서비스 및 상호 운용성 ... 158
  • 9. 전자 지방 정부 및 스마트 도시 ... 160
  • 제2절 전자정부 평가결과 ... 163
  • 1. 전자정부에 대한 UN 평가 ... 163
  • 2. 일본 와세다 대학 전자정부연구소의 평가 ... 166
  • 제3절 전자정부 선진국 사례 분석 ... 168
  • 1. 미국의 전자정부 ... 168
  • 2. 영국의 전자정부 ... 172
  • 3. 싱가포르의 전자정부 ... 176
  • 4. 독일의 전자정부 ... 179
  • 5. 일본의 전자정부 ... 185
  • 제4절 분야별 선진외국 사례 종합 ... 192
  • 1. 전자정부 추진 ... 192
  • 2. 지방행정 정보화 ... 193
  • 3. SW표준 및 설계 ... 194
  • 제5절 국제 표준 및 가이드 연구 ... 195
  • 1. 서론 ... 195
  • 2. 국제표준 및 가이드 연구 ... 198
  • 제5장 베트남의 정보화(전자정부) 동향 및 심층질문 ... 225
  • 제1절 베트남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추진동향 ... 225
  • 제2절. 베트남 담당자의 질문 및 협력세미나(워크샵) ... 230
  • 1. 공통질문과 응답 ... 230
  • 2. 지역정보화/전자정부 질문과 응답내용 ... 231
  • 3. 소프트웨어 표준화관련 질문과 응답내용 ... 233
  • 제5장 베트남 전자정부 역량강화 사업 방안 ... 236
  • 제1절 전자정부 역량강화 사업방안 ... 236
  • 제2절 지역정보화 역량강화 사업방안 ... 239
  • 제3절 SW 역량강화 사업방안 ... 241
  • 참고문헌 ... 243
  • 끝페이지 ... 244

표/그림 (58)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