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화학적으로 표준평가된 다중영상용 다기능 나노조영제의 생체유해성 표준화 원천기술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 for the evaluations on the risk assessment in biomedicine using Physico-chemically Confirmed Multi-functional Nano Contrast agents for Multi-imaging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바이테리얼즈
연구책임자 김준성
참여연구자 이진희 , 송미령 , 박수진 , 정민숙 , 이진규 , 손병혁 , 조명행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05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600018397
과제고유번호 1711014574
사업명 나노·소재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생체독성.표준측정.유해성평가.형광/MRI/PET 영상.다중영상 나노조영제.표준평가 알고리즘.Biotoxicity.Standard measurement.Risk assessment.Rluorescence/MRI/PET.Multi-imaging nano-agents.Risk assessment algorith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18397

초록

- OECD에서 선정한 우선 연구대상 나노물질 중, 금속 산화물계 4종(ZnO, SIO2, TiO2, Al2O3)을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특성평가룰 위한 항목을 고려하여 측정 순서도(알고리즘) 완성.
- 국내의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안전성평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연구를 위한 항목 및 측정·분석하기 위한 측정 장비를 선택적으로 결정.
- 의학 및 생명공학적 적용이 가능한 생체환경(biological environment)에서

Abstract

Purpose
- The establishment of a standard techniques f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sics of nanomaterials based on metal-oxides nanoparticles (4-kinds) decided by OECD.
- Performing the acute research of cytotoxic effects of nanomaterials assessed in vitro and in vivo, the guidelines of toxic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3보고서 요약서 ... 4요 약 문 ... 5SUMMARY ... 18목차 ... 20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1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21 2 절. 연구 개발의 범위 ... 27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1 1 절.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 31 2 절. 본 연구 결과의 기술개발 위상 ... 40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41 1단계 1차년도 전체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41 1 절. OECD 선정 4종 나노물질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 41 2 절. 영상용 나노물질의 제조 ... 83 3 절. 나노물질의 생체유해성 평가용 표준안의 확립 ... 108 4 절. 나노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표준안의 수립 ... 128 1단계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31 1 절. OECD 선정 나노물질 연구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 131 2 절. 다중영상용 나노입자 연구 (NIR797-실리카 나노입자) ... 193 3 절. 다중영상 나노조영제 생체 영상 성능 연구 ... 206 4 절. 나노물질의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 연구 ... 222 1단계 3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257 1 절. OECD 선정 나노물질 연구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 257 2 절. 형광 나노입자의 제조 및 표면처리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 335 3 절. 다중 영상 나노조영제 생체 영상 성능 연구 ... 376 2 절. 형광 나노조영제의 성능 평가 연구 ... 384 3 절. 나노물질의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 연구 ... 392 2단계 1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426 1절. 다중영상용 나노조영제의 제조 ... 428 2절. 다중영상용 나노조영제의 성능 향상 ... 439 3절. 다기능성 나노조영제의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 연구 ... 485 4절. 물리·화학적 및 생체유해성 표준평가 알고리즘 보안 및 수정 ... 538 2단계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552 1절. 다중영상용 나노조영제의 제조 및 성능 향상 및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 확인 ... 554 2절. 나노물질의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독성 연구 ... 572 3절. 생체유해성 평가를 위한 in vivo 독성 연구 ... 592 4절. 물리·화학적 및 생체유해성 표준평가 알고리즘 보안 및 수정 ... 614 2단계 3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659 1절. OECD 선정 나노물질의 독성 평가 연구의 확장 ... 659 2절. 다중영상용 나노조영제의 혈액학적 독성 평가 ... 675 3절. 혈액학적 독성 평가의 결론 ... 686 4절. 물리·화학적 및 생체유해성 표준평가 알고리즘 완성 ... 687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712 1 절. 1단계 1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2 2 절. 1단계 2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3 3 절. 1단계 3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4 4 절. 2단계 1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5 5 절. 2단계 2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6 6 절. 2단계 3차년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기여도 ... 717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718 1 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및 타연구에의 응용 ... 718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20 1 절. 해외 나노 안전성 관련 기술 ... 720제 7 장. 참고문헌 ... 724나노물질의 특성 평가표준시험법(안) ... 730최종보고서 위탁과제 (1) ... 825최종보고서 위탁과제 (2) ... 977끝페이지 ... 1063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