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anKook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권호장
|
참여연구자 |
최원준
,
안효진
,
오세영
,
임지애
,
임형렬
,
주현주
,
황인욱
,
이효철
,
임명호
,
진한준
,
김수정
,
김혜진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7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700000655 |
과제고유번호 |
1465015865 |
사업명 |
질환극복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7-09-20
|
키워드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유전-환경 상호작용.단일염기다형성.유해물질.ADHD.nested case-control study.gene-environment interaction.Single-Nucleotide Polymorphism.hazardous material.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0655 |
초록
▼
우리나라 어린이를 대상으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ADHD발생과 관련이 있는 단일염기다형성과 복제수 변이, 후생 유전학적 변이를 파악하고 ADHD발생에서 유전적 특성과 중금속 등 유해물질 노출, 식이요인 등의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였음.
연구결과 192개 후보유전자중 16개의 SNP (rs7579, rs1349492, rs1451371, rs6592952, rs998850, rs1805313, rs1800532, rs1800802, rs1179027, rs6561332, rs1923886, rs9534495
우리나라 어린이를 대상으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ADHD발생과 관련이 있는 단일염기다형성과 복제수 변이, 후생 유전학적 변이를 파악하고 ADHD발생에서 유전적 특성과 중금속 등 유해물질 노출, 식이요인 등의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였음.
연구결과 192개 후보유전자중 16개의 SNP (rs7579, rs1349492, rs1451371, rs6592952, rs998850, rs1805313, rs1800532, rs1800802, rs1179027, rs6561332, rs1923886, rs9534495, rs998424, rs6077690, rs755203, rs4680)가 유전자형에 따라 ADHD 발생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났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혈중 납농도와 상호작용을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ADHD의 위험을 높이는 SNP를 3개 발견하였고, 혈중 수은농도와 상호작용하는 SNP는 2개, 간접흡연 노출은 9개, 임신 중 음주 노출은 6개, 그리고 식이요인과 상호작용하는 8개의 SNP를 발견하였음.
( 출처 : 요약서 )
Abstract
▼
Ⅲ. Result of the research
○ Out of 192 candidate SNP, SNP analysis result shows that 16 SNP in 11 genes [SEPP1 (rs7579), DDC(rs1349492, rs1451371, rs6592952, rs998850), ALAD (rs1805313), TPH1 (rs1800532), MGP (rs1800802), TPH2 (rs1179027), HT2A(rs6561332, rs1923886, rs9534495), SLCA4 (rs998424),
Ⅲ. Result of the research
○ Out of 192 candidate SNP, SNP analysis result shows that 16 SNP in 11 genes [SEPP1 (rs7579), DDC(rs1349492, rs1451371, rs6592952, rs998850), ALAD (rs1805313), TPH1 (rs1800532), MGP (rs1800802), TPH2 (rs1179027), HT2A(rs6561332, rs1923886, rs9534495), SLCA4 (rs998424), SNAP (rs6077690), CHRN4 (rs755203), COMT (rs468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of ADHD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genotype.
○ We performed CNV analysis on two genes (DK3 and DK4) and found 1 gene (DK4)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HD and polymorphism of the specific genetic locus.
○ Through analysis on interaction between genes and harmful environmental factors, we found that three SNP that increase risk of ADHD by interacting with lead concentration in blood, 2 SNP that interact with blood mercury level, 9 SNP that interact with exposure to second-hand smoking, and 6 SNP that interact with maternal prenatal drinking.
○ Analysis on interaction between genetic factors and diet, 8 SNP were found to interact with diet patterns and increase risk of ADHD development.
( 출처 : SUMMARY )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출문 ... 2보고서 요약서 ... 3요약문 ... 4SUMMARY ... 56.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실적 및 향후 계획 ... 66.2 연구성과 유형별 세부 내역 ... 77. 참여연구원 현황표 ... 8Ⅱ. 총괄연구과제 연구결과 ... 9 목차 ... 10 1. 연구개발과제의 배경 및 필요성 ... 11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2 3.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체계 ... 18 4.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0 5.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101 6. 향후 연구성과 추진계획 ... 103 7.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 104 8.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05 9.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6 10. 참고문헌 ... 107Ⅳ. 첨부서류 ... 114끝페이지 ... 12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