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목적 - 뇌암, 남성 전립선암, 여성 갑상선암, 난소암에 대하여 암발생 위험지표개발을 위한 전문가 회의(cancer risk index working group)를 구성함. 암 발생에 영향을 미...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목적 - 뇌암, 남성 전립선암, 여성 갑상선암, 난소암에 대하여 암발생 위험지표개발을 위한 전문가 회의(cancer risk index working group)를 구성함.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들을 연구하여 이를 근거로 개인별 암 발생위험 예측모델(cancer risk prediction models)을 개발하고 그 효능에 대해 평가함. - 이미 발생 위험 예측 모형이 개발된 위암, 폐암, 대장암, 췌장암에 대하여 2차 발생(재발)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그 효능에 대해 평가함. - 일반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암 발생위험 산출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실용화 방법을 개발함. - 암 위험요소들의 연구를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추가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위험 예측 모델들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감으로써 암 예방과 조기검진을 위한 지표설정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제공함. - 모델 개발, 평가에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론 연구 및 결측값 등 데이터 문제보완을 위한 Multiple imputation 방안 연구를 통하여 자료의 활용을 향상시킴. - 국립암센터 연구진들과 공동 협력 연구의 지속적 진행
○ 연구 내용 1. 데이터 업데이트 및 분석 :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중앙암등록본부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 1996년-2013년 1차 검진·문진 자료,자격상실자료 ▪ 중앙암등록본부 자료 : 1956년-2013년 암 발생 자료
2. 모델 개발 - 암 종별로 관계하는 위험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에 각 전문가들의 의견과 지금까지 발표된 여러 모델들을 바탕으로 병인학적, 생물학적으로 타당하고 정확한 모델을 개발함 - 모델개발을 위하여 각 위험요소마다 상대적 위험도를 다양한 통계모델을 사용하여 측정 - 개발된 암 위험예측 모델들의 평가 후 가장 적합한 모델 선택
3. 사용할 통계 모델 -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비롯한 비모수적, 모수적 통계모델
4. 모델 개발 방법 - 다양한 모델들을 개발한 후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
5. 모델 개발 순서 - First step 보험공단자료의 업데이트, cleaning, code화 작업 - Second step : 모델개발에 사용될 자료의 구성, 암종별 위험요소들의 정의 문헌고찰을 통한 암종별 위험요소들을 정리, 사용된 위험요소들의 characteristics 구분 - Third step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한 단변량 분석 - Fourth step : 모델 개발 모수적, 비모수적 접근, 위험요소들의 다양한 변환 - Fifth step : Model Validation ㆍDiscrimination - 개발된 모델들이 실질적으로 고 위험군의 사람들에게 저 위험군의 사람들에 비해서 얼마만큼 정확하게 더 높은 암 발생 위험률을 제시하는가를 측정 - 측정방법 : C statistics (area under the ROC curve) ㆍCalibration - 개발된 모델들이 실제의 암발생률에 비해서 얼마만큼 정확하게 발생위험을 예측하는가를 측정 - 측정방법 : Hosmer-Lemeshow type chi-square statistics ㆍInternal Validation - data splitting : 70% development set, 30% validation set - cross-validation : repeated data splitting(samples leaving out 10000 observations each run, repeat 200times, average results) - Bootstrapping : large number of samples with replacement from original sample, estimate generalization error based on resampling. ㆍExternal Validation - 개발된 모델 일반화를 위해 조정 후, 국립암센터의 지역코호트 자료 등 다른 인구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델의 예측능력을 평가함.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1) 총연구기간 내 목표연구성과로 기 제출한 값
< 정성적 성과 > -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 한국통계학회,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대한예방의학회, 한국역학회 등 - 암 위험예측 모델의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과 세미나 개최 - 개발된 모델을 바탕으로 위험산출시스템을 개발하여 웹상에서 일반인들에게 제공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국내 최초로 종합적인 암 발생 위험예측 모델들을 개발함으로 향후 국민들을 위한 국내 모델개발의 표준이 될 수 있음 - 암 발생 위험에 따른 차별화를 통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비용-효과적이고 암부담을 줄일 수 있는 모델 개발이 가능함 - 특별히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보다 효과적인 조기검진, 진단, 치료등을 위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음
( 출처 : 요약문)
Abstract ▼
Development results < Qualitative achievement > - Present domestic and foreign scholar conference. : AACR, Korean Statist...
Development results < Qualitative achievement > - Present domestic and foreign scholar conference. : AACR,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KOSHIS,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etc. - Holding workshop with experts regarding cancer risk prediction model result. - Provide risk computation system which developed based on developed model on online to the general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