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노 충동범죄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hung Ang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장한
참여연구자 이기은 , 최하나 , 김리안 , 이호동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1
주관부처 경찰청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등록번호 TRKO201700004397
DB 구축일자 2017-10-12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분노/충동 관련 범죄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범죄 대응방안 수립 및 사전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범죄로 이어지는 분노/충동 조절 실패 촉발요인과 이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분노/충동 범죄 관련 범죄자를 유형화하여 구별하고, 잠재적 범죄 대상군을 사전에 변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국외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하고, 이를 다양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ger/impulsive crime that has steadily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suggesting guidelines for effective countermeasures and advanced prevention against crimes. We conducted recent literature investig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s of failure leadi

목차 Contents

  • 표지 ... 2목차 ... 3표목차 ... 5그림목차 ... 7Ⅰ. 연구요약 ... 9Ⅱ. 전체 연구개요와 추진체계 ... 17 1. 전체 연구개요도 ... 17 2. 연구 추진 체계 ... 18Ⅲ.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9Ⅳ. 연구의 이론적 배경 ... 21 1. 분노/충동성 관련개념 ... 21 가. 분노 ... 21 나. 충동성 ... 23 다. 공격성 ... 26 라. 적대감 ... 29 2. 분노/충동 범죄 관련 임상 유형 ... 31 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 31 나. 기타 분노 충동 관련 장애 ... 34 3. 분노/충동 범죄 ... 36 가. 분노/충동 범죄 발생현황 ... 36 나. 분노/충동 범죄 관련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37 다. 분노/충동 범죄 관련 임상적 평가도구 ... 42Ⅴ. 세부 연구내용 ... 48 1. 분노/충동범죄의 촉발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문헌 연구 ... 48 가. 연구 목적 ... 48 나. 연구방법 및 절차 ... 49 다. 연구결과 ... 51 2. 한국판 분노/충동 판별 척도 구성 연구 ... 66 가. 연구 목적 ... 66 나. 연구 대상자 ... 67 다. 연구방법 및 절차 ... 68 라. 연구 결과 ... 71 3. 한국판 분노/충동 질문지(K-AIQ)의 판별 타당성연구 ... 93 가. 연구 목적 ... 93 나. 연구 대상자 ... 93 다. 연구방법 및 절차 ... 94 라. 연구 결과 ... 95 4. 한국판 분노/충동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제안 ... 116Ⅵ. 연구기간 및 추진일정 ... 122Ⅶ. 참여연구원 현황 ... 123참고문헌 ... 124부록 ... 150끝페이지 ... 168

표/그림 (4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