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흡수·저감능이 특화된 습지조성 및 관리 기술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일송환경복원
연구책임자 김경훈
참여연구자 강호정 , 김재근 , 강민권 , 김용 , 김영권 , 임형신 , 김성현 , Vo Nguyen Xuan Que , 이한송 , 이시훈 , 김용규 , 고정현 , 홍문기 , 허진옥 , 최호 , 이보은 , 양윤영 , 추연희 , 김서현 , 김재현 , 황영도 , 강유정 , 황영희 , 허영진 , 주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6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700005525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이탄습지.물이끼습지.물이끼.온실가스.청정개발체계.습지토양.무기토양.온난화기체.유기물 분해.이산화탄소.탄소 저장.생체량.인공습지.습지식물.식물증식.peatland.bog.Sphagnum.greenhouse gas.CMD.Wetland sediment.peatland.mineral soil.organic matter decomposition.CO2.Carbon Storage.Biomass.Constructed Wetland.Wetland Plants.Plant Breeding.

초록

인공지반과 자연지반에의 물이끼 습지조성기술 개발 및 탄소배출권 사업화 방안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이탄습지(peatlands)는 지구 토양 탄소의 약 1/3가량을 저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탄소 저장고로 람사 조약에서도 특이한 생태계를 가진 보전해야 할 중요한 습지자원으로 인정하고 있다. 본 개발기술은 대표적인 탄소고정원인 이탄습지 중에서 물이끼(sphagnum)을 핵심 종으로 하는 물이끼이탄습지(bog)생태계를 인공적으로 조성하는 기술로 온실가스 온실가스 흡수 및 저감 기능을 갖을 것으로 판단한다.

□ 연구개

Abstract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sphagnum wetland on natural bases and man-made structures and strategy developing its strategy plan for CDM business
Ⅳ. Results
By integrating of technologies derived from each research institution, 4 commercialized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u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제출서 ... 3
  • 제 출 문 ... 5
  • 요 약 서 ... 7
  • 요 약 서 ... 9
  • 요 약 서 ... 11
  • 요 약 문 ... 14
  • SUMMARY ... 17
  • 요 약 문 ... 20
  • SUMMARY ... 23
  • 요 약 문 ... 25
  • SUMMARY ... 28
  • 목차 ... 31
  • 제1장 서 론 ... 35
  •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37
  • 1. 연구개발의 목적 ... 37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40
  •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 58
  • 1. 세계적 수준 ... 58
  • 2. 국내 수준 ... 62
  • 3. 국내·외의 연구현황 ... 66
  •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72
  •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72
  • 2. 연도별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방법 ... 76
  • 3. 연도별 추진체계 ... 79
  • 제 2-1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인공지반과 자연지반에의 물이끼 습지조성 기술개발 및 탄소배출권 사업화 방안) ... 85
  • 제1절 습지조성 동향 분석 및 국내 습지 조성사례 조사 ... 85
  • 1. 습지 관련 규정 및 정의 ... 85
  • 2. 습지조성 기술의 특허 동향(특허맵) ... 94
  • 3. 국내 생태습지 조성 주체별 조성사례 ... 112
  • 제2절 습지를 통한 탄소배출권(CDM) 사업성 검토 ... 130
  • 1. CDM 사업 추진 절차 ... 130
  • 2. 방법론 및 경제성 평가 ... 132
  • 3. 결론 및 시사점 ... 142
  • 제3절 이탄습지 관련 연구동향 및 연구기반 구축 ... 145
  • 1. 물이끼 및 이탄습지 관련 연구동향 ... 145
  • 2. 연구기반 구축 ... 158
  • 제4절 물이끼 이탄습지 조성을 위한 식물종 선발 및 증식연구 ... 163
  • 1. 자생 물이끼(Shpagnum)종 선발 및 서식환경 조사 ... 163
  • 2. 선발 물이끼(Sphagnum)종의 증식방안 연구 ... 173
  • 3. 자생지 bog에 서식하는 식물종 적용 연구 ... 177
  • 제5절 실용화 모델 도출 ... 182
  • 1. 실용화 모델 도출 ... 182
  • 제6절 부유형 물이끼 이탄습지 모듈 개발 ... 186
  • 1. 1차 부유형 물이끼 이탄습지 모듈 개발 ... 186
  • 2. 2차 부유형 물이끼 이탄습지 모듈 개발 ... 200
  • 3. 3차 모듈 제작 및 설치 ... 205
  • 4. 설계·시공기준 및 관리기준 도출 ... 206
  • 제7절 식재기반형 물이끼 이탄습지 조성기술 개발 ... 211
  • 1. 식재기반형 이탄습지 모델 도출 ... 211
  • 2. 단위기술 개발 ... 211
  • 3. 통합기술 적용 공동실험구(습지식물, 매질, 조성방법 등) ... 232
  • 4. 설계·시공 기준 및 관리기준 도출 ... 239
  • 5. 식재기반형 물이끼 이탄습지 모듈 개발 ... 249
  • 6. 식재기반형 물이끼 이탄습지의 CO2 흡수능 검증 ... 251
  • 7. 분해율 저감평가 ... 258
  • 제8절 식재기반형 물이끼 이탄습지의 실용화 사업 ... 262
  • 1. 1차 실용화 사업(완성기술의 적용) ... 262
  • 2. 1차 실용화 사업 평가 ... 275
  • 3. 2차 실용화 사업 ... 277
  • 제 2-2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온실가스 배출이 최소화된 습지조성·관리기술 및 온실가스 저감 평가기법 개발) ... 298
  • 제1절 습지의 온실 기체 발생 선행 연구 조사 ... 298
  • 1. 자연 습지에서의 온실 기체 발생량 ... 298
  • 2. 인공 습지에서의 온실기체 발생량 ... 311
  • 3. 습지에서 온실기체 발생 조절 인자 ... 315
  • 제2절 습지의 온난화 가스 발생 모니터링 기법 확립 ... 319
  • 1. 기체 수집 방법 ... 319
  • 2. 온실 기체 분석 ... 319
  • 3. 습지 내에서 기체 유동량 측정 ... 325
  • 제3절 국내 자연 습지의 온실가스 발생량 분석 및 조절 인자 ... 329
  • 1. 고산습지의 온실가스 발생량 및 조절인자 ... 329
  • 2. 묵논(Rice paddy)의 온실가스 발생량 및 조절인자 ... 351
  • 제4절 온실가스 발생 최소화를 위한 매질 선별 ... 359
  • 1. 부유형 이탄습지 조성에 적합한 매질 선별 ... 359
  • 2. 식재기반형 이탄습지 조성에서 물이끼에 적합한 매질 선별 ... 375
  • 제5절 최적화된 기술을 적용한 온실기체 발생량 측 ... 378
  • 1. 마이크로코즘 ... 378
  • 2. 메조코즘 (공동 test bed) ... 386
  • 제6절 실제 규모의 습지에서 온실기체 발생량 및 흡수량 연구 ... 390
  • 1. 맹산 생태 학습원 내에서의 온실기체 발생량 연구 ... 391
  • 2. 진천 무제산 생태원 내 물이끼 습지에서의 온실기체 발생량 연구 ... 403
  • 3. 식생 기반형 (공동 test bed) 습지에서의 온실기체 발생 연구 ... 407
  • 제7절 본 시스템의 온실기체 저감 효과 비교 ... 412
  • 1. 실제 규모 습지에서 계절별 온실기체 발생량 모니터링 ... 412
  • 2. 고산습지와 현장적용 습지의 메탄 발생량 평가 ... 418
  • 제 2-3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CO2 흡수 능력이 탁월한 습지식물종 선발 및 증식기술 개발) ... 423
  • 제1절 CO2 흡수 능력이 탁월한 식물종 선별 및 선발 ... 423
  • 1. 1차 선별(문헌 연구) 및 2차 선별 ... 423
  • 2. 최종 선발 ... 426
  • 제2절 최종 선발종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 증식법 개발 ... 428
  • 1. 친환경 갈대 지상부 삽목법 ... 428
  • 2. 친환경 갈대 지상부 삽목법 효율성 제고 방안 ... 429
  • 3. 갈대부표를 활용한 최적의 식물섬 조성 방법 ... 431
  • 제3절 기후변화대응 인공습지 조성 및 사후 모니터링 ... 432
  • 1. 기후변화대응 인공습지 내 식물 생육 모니터링 ... 432
  • 2. 기후변화대응 인공습지 내 식물 분해 모니터링 ... 435
  • 3. 기후변화대응 인공습지 유지 관리 방안 ... 436
  •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440
  •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442
  • 1. 인공지반과 자연지반에의 물이끼 습지조성기술 개발 및 탄소배출권 사업화 방안(총괄주관) ... 442
  • 2. 온실가스 배출이 최소화된 습지조성․관리기술 및 온실가스 저감 평가 기법 개발(세부주관 1) ... 443
  • 3. CO2 흡수 능력이 탁월한 습지 식물종 선별 및 증식기술 개발(세부주관 2) ... 444
  •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 445
  • 1. 기술적 측면 ... 445
  • 2. 환경적 측면 ... 445
  • 3. 경제적∙산업적 측면 ... 446
  •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 448
  • 제1절 연구성과 활용계획 ... 450
  • 1. 경제사회적 성과달성 계획 ... 450
  • 2. 과학기술적 성과달성 계획 ... 451
  • 제5장 참고문헌 ... 462
  • 끝페이지 ... 471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