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대위험도 표준화를 통한 환경위해요인의 환경성 질병부담(EBD) 평가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ethodology and Assessment of National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SungKyunKwan University
연구책임자 정해관
참여연구자 정수은 , 김종헌 , 박재현 , 김수근 , 하미나 , 김인아 , 손희승 , 김은아 , 임형렬 , 이경준 , 최주화 , 김순태 , 오인보 , 방진희 , 송경준 , 전병학 , 한현진 , 황명재 , SUN LIYUAN , ZAHRA AQEELA , 이은환 , 황명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3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700005829
과제고유번호 1485012911
사업명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환경성 질병부담.환경보건.근거바탕정책.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DALY.environmental health.evidence based policy.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5829

초록

개발 목적 및 필요성
1. 국내 환경위해요인별 상대위험도 표준화 산출방안 개발과 이를 활용한 EBD Toolkit 개발로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국가 대표 정보 DB 시스템 활성화 및 도식화 정보 제공
2. 최적의 자료를 기반으로 고안된 한국형 EBD의 혁신적 기술도출과 미래지향적인 환경성질환 EBD국가 profile 작성
3. 발전된 정보화 기술로 신속 정확한 정보전달체계 구축

연구개발 결과
대기오염으로 인한 노출을 전국적으로 기간별로 산출하기 위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의 국가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기

Abstract

Ⅳ. Results
DALYs were estimated from years of life lost (YLL) and years with disability (YLD) for ambient and indoor air pollution, water and sanitation, climate disasters, occupation, environmental disasters, second hand smoking, radon, ultraviolet radiation, and metals.

This study prese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서 ... 4
  • 요 약 문 ... 7
  • SUMMARY ... 14
  • 목차 ... 16
  • 표목차 ... 18
  • 그림목차 ... 25
  • 제1장 서 론 ... 26
  •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8
  • 1.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28
  • 2. 연구 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 31
  •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 34
  • 1. 국내의 기술개발동향 ... 34
  • 2. 해외의 기술개발동향 ... 38
  •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41
  •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41
  • 2. 연도별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방법 ... 43
  • 3. 연도별 추진체계 ... 44
  • 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46
  • 제 1절 연구개발과제 총론 ... 48
  • 1. 환경성 질병부담의 상대위험도 산출 모형 ... 48
  • 2. 환경 영향으로 인한 건강영향 목록 현황 ... 53
  • 3. 질병부담 산출 방법 ... 58
  • 제 2 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및 결과 ... 59
  • 1. 초미세먼지(PM2.5)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부담(DALY) ... 59
  • 2. 오존(O3)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부담(DALY) ... 78
  • 3.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질병부담(DALY) ... 90
  • 4. 직업으로 인한 질병부담 ... 113
  • 5. 낮은 수질(unimproved water)로 인한 질병부담 ... 164
  • 6. 간접흡연으로 인한 질병부담 ... 175
  • 7. 라돈(Radon)으로 인한 질병부담(DALY) ... 209
  • 8. Medical radiation exposure에 의한 질병부담 ... 215
  • 9. 유해금속 노출 ... 251
  • 10. 재해 및 재난 ... 291
  • 11. 감염병으로 인한 질병부담 ... 305
  • 12. Heat wave로 인한 질병부담 ... 309
  • 13. 자외선으로 인한 질병부담 ... 312
  • 14. 가습기살균제(humidifier disinfectant) 폐 손상(Lung injury)으로 인한 질병부담(DALY) ... 319
  • 15. 기타 위험요소(미분석) ... 324
  • 제 3절 종합 결과 ... 334
  • 제4절 연구개발 결과 ... 339
  • 1. EBD Toolkit 모델링 시제품 개발 ... 339
  • 2. EBD Toolkit 시스템 구축 ... 340
  •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360
  •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362
  •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 363
  • 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 366
  • 제1절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368
  • 제2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 371
  •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 373
  • 제4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 374
  • 부 록 ... 376
  • 부 록 1 EBD Toolkit 모델링 시제품 지침서 ... 377
  • 끝페이지 ... 399

표/그림 (24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