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연구책임자 |
이수형
|
참여연구자 |
이재정
,
양상용
,
홍선화
,
김동호
,
이준배
,
황순홍
,
윤조희
,
김교영
,
최인찬
,
박향미
,
주현지
,
정다솜
,
조병찬
,
이영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2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등록번호 |
TRKO201700008494 |
과제고유번호 |
1485011933 |
사업명 |
환경현안지원연구 |
DB 구축일자 |
2017-10-12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8494 |
초록
▼
Ⅰ. 서론
대청호는 대전을 비롯한 충청 지역에 생활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홍수조절 및 발전까지 담당하는 용도로 1981년 축조된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호수이다. 대청호는 금강 중간에 건설된 대청댐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강과 낙동강 상류에 조성된 소양호나 안동호에 비해 저수면적 대비 유역면적이 넓어서 수체의 체류시간이 길고 하절기 집중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들이 장기간 체류되어 매년 여름철에 부영양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대청호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녹조 문제가 발생하였고 1996년 전국 최초로 조
Ⅰ. 서론
대청호는 대전을 비롯한 충청 지역에 생활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홍수조절 및 발전까지 담당하는 용도로 1981년 축조된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호수이다. 대청호는 금강 중간에 건설된 대청댐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강과 낙동강 상류에 조성된 소양호나 안동호에 비해 저수면적 대비 유역면적이 넓어서 수체의 체류시간이 길고 하절기 집중강우시 유입된 오염물질들이 장기간 체류되어 매년 여름철에 부영양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대청호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녹조 문제가 발생하였고 1996년 전국 최초로 조류 경보제가 시범 실시되었다. 조류경보제는 하절기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일부 남조류가 생산하는 독소에 의한 피해 가능성에 따라 조류발생 상황을 관계기관 등에 신속하게 전파하여 취정수장의 정수처리 강화 등 대응조치를 통한 조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먹는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로, 2013년 현재 전국 22개 상수원 호수를 대상으로 실시 중이다.
하절기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는 강이나 호소에는 조류(algae) 특히 남조류 (cyanobacteria)가 급속하게 증가하여 녹조현상(bloom)을 일으킨다.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남조류로는 Microcystis,Anabaena, Aphanizomenon, Oscillatoria 등이 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이 대량 증식할 경우 수체의 표면에 덩어리 (scum)를 형성하고, 일부 종은 microcystin, anatoxin 등 간장독(hepatotoxin)과 신경독 (neurotoxin)의 특성을 가지는 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7개의 아미노산이 고리 모양을 이루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는데 [cyclo(-D-Ala-L-X-erythro-β-methyl-D-isoAsp-L-Y-Adda-D-isoGlu-N-methyldehydroAla)], 그 중 Adda (3-amino-9-methoxy-2,6,8-trimethyl-10-phenyldeca-4,6-dienoic acid) 부분이 간독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앞의 마이크로시스틴 구조에서 X,Y로 표기된 부분은 가변적으로 여러 아미노산이 위치할 수 있는데, 여기에 치환되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60여 가지의 마이크로시스틴 동질체(congener)가 만들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시스틴 동질체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종류는 MC-LR인데 가변 아미노산으로 X와 Y 위치에 각각 leucine(L)과 arginine(R)을 가진다. 이외에도 MC-RR, MC-YR, MC-LA 등이 흔하게 발견되는 종류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수자원을 음용하는 사람과 동물에 대한 위해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마이크로시스틴에 의한 인체와 동물의 피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아프리카, 호주, 유럽, 중국 등에서 간 독소에 의한 가축의 피해가 빈번하게 보고되어 왔다. 또한 상수원수에 의한 직접적인 사고는 아니지만 1996년 브라질 Caruaru의 한 병원에서 남조류에 오염된 물을 혈액 투석에 사용하여 55명의 환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적도 있다.
( 출처 : 본론 Ⅰ. 서론 7p )
Abstract
▼
Occurrence of harmful cyanobacteria, algal toxins (microcystin and anatoxin) and malodorous compound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2-MIB]) was investigated at 12 stations (Chungma, Jangkye, Sukho, Chooso, Daejung, Boonjeo, Shingok, Hoenam, Bupsoo, Choodong, Damap, and Mooneui) in the Daechung
Occurrence of harmful cyanobacteria, algal toxins (microcystin and anatoxin) and malodorous compound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2-MIB]) was investigated at 12 stations (Chungma, Jangkye, Sukho, Chooso, Daejung, Boonjeo, Shingok, Hoenam, Bupsoo, Choodong, Damap, and Mooneui) in the Daechung reservoir from March to October 2013.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 2013, due to the smaller amount of annual total rainfall compared to previous years, phytoplankton blooms were concentrated at upper stations in the Daechung reservoir. Because nutrients and development of cyanobacteria were stagnant at upstream stations, algal development at the mid- and downstream station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at the upper stations.
Overall, dominant cyanobacteria in the Daechung reservoir in 2013 was Microcystis. Highest concentrations of 54.2 ug/L of microcystin, 0.6 ug/L of anatoxin, 963 ng/L of geosmin, and 76 ng/L of 2-MIB were detected among the samples from the 12 stations. Depthwise profiles of cyanobacteria and toxins show that except for a few cases, concentrations of both cyanobacteria and toxins were drastically decreased at depths lower than 3 meters.
Correlation analyses of geosmin and 15 cyanobacterial species show that Anabaena crassa and Anabaena macrospora were putative geosmin producing cyanobacterial species in the Daechung reservoir.
Result of flow measurement by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nd buoy tracking method at mainstream and embayment sites show that water bodies at embayment sites were stagnant giving one explanation to the cause of increased phytoplankton bloom at the embayment areas.
( 출처 : Abstracts 6p )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표목차 ... 4
- 그림목차 ... 5
- Abstract ... 6
- I. 서 론 ... 7
- II. 연구내용 및 방법 ... 9
- 1. 조사 지점 및 시기 ... 9
- 가. 대상지점 ... 9
- 나. 조사 시기 ... 9
- 2. 조사·분석 항목 ... 10
- 가. 식물플랑크톤 검경 ... 10
- 나. 수질항목 분석 ... 10
- 다. 조류독소 분석 ... 10
- 라. 이취미물질 분석 ... 11
- 마. 통계 분석 ... 11
- 3. 대청호 수리·수문 조사 ... 11
- 가. 유량 조사 ... 11
- 나. 대청호 수리수문 자료 조사 ... 11
- III. 연구결과 및 고찰 ... 12
- 1. 유해조류, 조류독소, 이취미 조사결과 요약 ... 12
- 가. 유해조류 조사 결과 요약 ... 12
- 나. 조류독소 조사 결과 요약 ... 14
- 다. 이취미물질 조사 결과 요약 ... 15
- 라. 수질 조사 결과 요약 ... 16
- 2. 대청호 유입전 금강 상류 지점 조사 결과 ... 17
- 가. 청마 지점(M1) ... 17
- 3. 대청호 상류지점 조사 결과 ... 18
- 가. 장계 지점(M2) ... 18
- 나. 석호 지점(M3) ... 19
- 다. 추소 지점(E1) ... 20
- 라. 대정 지점(M4) ... 21
- 마. 분저 지점(M5) ... 22
- 바. 신곡 지점(E2) ... 23
- 4. 대청호 중하류지점 조사 결과 ... 24
- 가. 회남지점(M6) ... 24
- 나. 법수 지점(M7) ... 25
- 다. 추동 지점(E3) ... 26
- 라. 댐앞 지점(M8) ... 27
- 마. 문의 지점(E4) ... 28
- 5. 녹조발생시기의 수심별 조류발생, 독소, 이취미 분포 특성 ... 29
- 6. 이취미물질과 남조류 종의 상관 분석 ... 31
- 7. 수리 수문 변화에 따른 조류 이동 조사 ... 32
- 가. ADCP 측정장비를 이용한 현장 유량 조사 ... 32
- 나. 2013년 대청호의 수리 수문 변화 ... 33
- IV. 결 론 ... 35
- 참고문헌 ... 36
- 끝페이지 ... 3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