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우리나라 건강검진센터에서 제공되는 암검진 현황 및 실태조사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National Cancer Center
|
연구책임자 |
김열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4-01
|
과제시작년도 |
2012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700009042
|
과제고유번호 |
1355062246
|
사업명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구.국립암연구소운영)(연구개발사업비) |
DB 구축일자 |
2017-11-04
|
키워드 |
암.검진.건강검진센터.현황조사.cancer.screening.healthcare center.survey.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9042 |
초록
▼
[연구목표]
○ 민간 의료기관에서 국가암검진사업에서 제공되는 5대 암 검진 이외에 실시하고 있는 암검진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해당 암검진의 의학적 타당성을 평가
[연구방법]
○ 건강검진센터에서 제공되는 암검...
[연구목표]
○ 민간 의료기관에서 국가암검진사업에서 제공되는 5대 암 검진 이외에 실시하고 있는 암검진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해당 암검진의 의학적 타당성을 평가
[연구방법]
○ 건강검진센터에서 제공되는 암검진의 현황 및 실태 파악
- 국가암검진사업에서 제공되는 5대 암검진 이외에 의료기관의 건강검진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암검진의 대상 암종 및 검사 방법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
-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온라인 상으로 각자의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검진센터에서 시행하는 검진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있음
- 인터넷 검색에 기반한 의료기관의 건강검진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암검진의 현황 자료(검진대상 암종 및 검사방법, 검진비용, 년간 검진건수 등) 수집 및 분석
○ 암검진 항목의 타당성 평가
- 민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암검진 관련 검진항목을 조사하고, 각 항목별 검진의 타당성을 평가함
- 관련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개인검진 항목에 포함된 암검진항목의 근거수준과 타당성을 평가함
○ 민간 의료기관 암검진 개선방안 마련
-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민간 의료기관의 암검진 현황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 암검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실시
- 암검진 현황에 대한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연구결과]
○ 인터넷 기반 조사에 의하면 의료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암검진을 포함한 종합검진의 비용은 평균 남자는 148만원 여자는 162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됨. 의료기관 종별 검진 비용은 상급종합병원과 전문검진기관이 다른 병원급 의료기관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됨.
○ 기본종합검진프로그램에서는 주로 위, 대장, 간, 유방, 자궁경부암 검진을 제공하고 있었고, 암정밀검진 프로그램에서는 폐, 갑상선, 전립선, 자궁부속기암 검진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음.
○ 전문가 자문을 통한 민간 암검진의 문제점으로는 검진의 효과와 검사의 정확도가 평가되지 않아 검진 항목의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점, 의학적 필요가 아닌 상품화된 검진의 문제, 무증상인에서 질병을 놓치지 않기 위해 방어적 진료를 위하여 과다한 검진이 권고되는 문제, 국가암검진과 중복되게 민간검진이 시행되는 문제 등이 지적됨
○ 민간 암검진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 ①암종별 적절한 검진 방법에 대한 근거평가 및 권고안개발 및 보급, ②암검진의 효과와 위해에 대한 적절한 정보 공, ③적절한 검사 방법에 대한 수검자용 안내서 개발 및 보급, ④검진 후 결과 상담 및 사후관리 필요 등이 제시되었음.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가장 적절하면서 수행이 가능한 개선방안으로는 ①암종별 적절한 검진 방법에 대한 전문가용 권고안 개발 및 보급, ② 적절한 검사 방법에 대한 수검자용 안내서 개발 및 보급, ③위해가 있는 검진방법에 대한 수검자 정보 제공 등이 도출됨.
( 출처 : 요약문 4p )
Abstract
▼
[Objectives]
○ The study objects to find the fact of cancer screening status on private healthcare center and to assess the val...
[Objectives]
○ The study objects to find the fact of cancer screening status on private healthcare center and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cancer screening methods
[Methods]
○ Systematic survey on cancer screening status on private healthcare center by internet
○ Survey items were cancer screening package program, cost, and cancer screening methods for each target cancer
○ Assess the validity of cancer screening methods provided in private healthcare center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 gathering
○ Web-based Delphi survey for building consensus of expert opinions on cancer screening in private sectors in Korea
[Results]
○ From the systematic survey based on internet, 151 healthcare centers included for analyzing cancer screening program and items
○ Average costs for comprehensive health screening program provided by healthcare centers in Korea were 148 million won (about 1,300 US$) for men and 162 million won (about 1,500 US$) for women, which were included various cancer screening.
○ The problems of cancer screening program provided by private sectors were suggested from experts meeting as follows: insufficiency of evidence in cancer screening effectiveness, commercialized package program, over diagnosis and overlap with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 Future directions to solve the private cancer screening related problems were suggested from expert opinion gathering through Delphy survey as follows: evidence-based cancer screening guideline development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appropriate informa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people, and continuous care system development for cancer prevention after cancer screening.
( 출처 : SUMMARY 6p )
목차
Contents
▼
- 표지 ... 1제 출 문 ... 2목차 ... 3요약문 ... 4Project Summery ... 6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7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7 2. 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10 3. 연구과제의 연구개발결과 ... 13 4.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85 5.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 ... 87 6. 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 ... 89 7. 참고문헌 ... 89 8. 첨부서류 ... 91끝페이지 ...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