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Samsung Seoul Hospital |
연구책임자 |
박승우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3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
등록번호 |
TRKO201700017421 |
과제고유번호 |
1711047395 |
사업명 |
다부처공동기획연구지원 |
DB 구축일자 |
2017-11-2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17421 |
초록
▼
1. 추진 배경 및 필요성
[중환자실]
ㅇ중환자실은 환자의 생존,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국내 의료비의 25%를 차지하는 젓요한 보건의료체계
ㅇ국내에서는 연간 약 30만 명이 중환자실에 입실하며, 중환자실 사용자의 70%가 60~80대 노령임을 감안할 때,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
ㅇ또한 중환자실 입원 환자 젓 20% 이상에서 의료감염이 발생하고, 40% 이상의 환자가 사망
[중환자 진료]
ㅇ중환자 전담 의료인의 부족, 병원/지역 간 질 편차, 환자 이송 중
1. 추진 배경 및 필요성
[중환자실]
ㅇ중환자실은 환자의 생존,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국내 의료비의 25%를 차지하는 젓요한 보건의료체계
ㅇ국내에서는 연간 약 30만 명이 중환자실에 입실하며, 중환자실 사용자의 70%가 60~80대 노령임을 감안할 때,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
ㅇ또한 중환자실 입원 환자 젓 20% 이상에서 의료감염이 발생하고, 40% 이상의 환자가 사망
[중환자 진료]
ㅇ중환자 전담 의료인의 부족, 병원/지역 간 질 편차, 환자 이송 중 높은 사망률 등 진료의 질과 효율성 측면에서 후진국 수준
ㅇ불합리한 건강보험 수가로 인해 병원이 자체적으로 중환자 인프라를 구축 또는 개선하는데 한계
ㅇ중환자 진료 질 향상을 위한 국가 차원의 관리 시스템 필요성 증대
[중환자 전문 장치]
ㅇ감염 위험이 높은 중환자 진료 환경, 불편한 환자 이동, 중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user interface 및 기기 간 동기화의 어려움 등 중환자 진료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가 증가
ㅇ중환자 전문 장치의 글로벌/국내 기업 경쟁력 격차 심화 등으로 인한 국산 의료기기 시장 침체
ㅇ국산 중환자 전문 장치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niche market 발굴 필요
[중환자 의료 정보]
ㅇ보건의료 분야에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수요가증가
ㅇ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기반 구축과 의료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해 의료 정보 표준화 및 국내 여건에 적합한 임상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
2. 다부처 추진의 필요성
ㅇ중환자 진료는 인명을 다루는 시급한 문제인 만큼 공공의 영역으로서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분야
ㅇ중환자 진료와 관련하여 산재해 있는 인력, 인프라, 질 관리 등의 많은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료, 장치, 정보의 다각적 측면에서 IT, BT, CT 등 다양한 분야의 플레이어들이 참여하는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이처럼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참여하는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 주도의 사업 추진이 필요
ㅇ융복합 기술 기반의 장치와 시스템을 개발하는 R&D 사업, 이러한 장치와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중환자 진료 플랫폼을 구축하는 인프라 구축 사업, 구축된 플랫폼을 진료에 활용하기 위한 실증사업과 이러한 플랫폼을 실제 의료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법/제도/규제 등의 정책적 연구 등 다양한 성격의 사업이 어우러져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동 기획, 공동 목표수립, 전략적 협력 등 관련 부처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
3. 사업 목표
ㅇ산/학/연/병/관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 국내 중환자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환자 big data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국가 주도의 Connected ICU 플랫폼 구축
[중환자 진료]
ㅇ중환자 전문 의료인 부족, 병원/지역 간 진료 질 편차, 이송 중 사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Hospital to Hospital Service 기반의 Connected ICU 플랫폼 구축
ㅇ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 차원의 중환자 정보 관리 지원시스템 개발
[중환자 전문 장치]
ㅇ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산 중환자 전문 장치 고도화 및 중환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중환자 의료 정보]
ㅇ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활용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수집/저장/분석 기술 개발 등의 기반 구축 및 한국인에 특화된 중환자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4. 사업 내용
[중환자 진료]
ㅇ중환자의 실시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중환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중환자 모니터링 장치, 게이트웨이, 서버로 이어지는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 의료진 간 진료 정보 교환 위한 젓앙 모니터링 시스템, 원격회의 시스템, 알람 시스템 개발
ㅇ실시간 중환자 정보 관리 지원시스템(web-site, App) 구축
ㅇ중환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중환자 정보 관리 지원시스템 실증사업 수행
ㅇ의료 현장 적용을 위한 법/제도/규제 등 정책 연구 수행
ㅇ임상 질 지표, 중환자 표준 진료지침, 핵심성과지표 개발 및 의료진 교육
[중환자 전문 장치]
ㅇICU bedside, ICU nurse station, Central monitoring Center용 통합 모니터링 대시보드 개발
- 통합 대시보드 제품화를 위한 임상시험 수행 및 인허가 지원
ㅇHigh-end급 환자감시장치 개발을 위한 임상 근거 데이터 확보
- 국산 환자감시장치의 임상지원도구 고도화를 위한 임상시험 수행
ㅇ환자 이송 젓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경량화/소형화된 환자 감시장치 개발
- 생체신호 측정 위한 무선센서 개발 및 노이즈 제거 기술 개발
- 5G 기술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모듈 개발
[중환자 의료 정보]
ㅇ중환자 특화 big data 구축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및 수집 기술 개발
- 중환자 risk item 분석에 따른 필수 수집 중환자 데이터 정의 및 EMR 데이터 추출 기술 개발
- Waveform, 비정형 데이터 등 중환자 특화 데이터의 실시간 streaming, 압축, 저장, 분석 기술 개발
-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보호 기술 적용
ㅇ머신러닝을 활용한 중환자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병원 간 cross-validation을 통한 검증
5. 추진 전략 및 체계
6. 투자 계획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미래창조과학부
7. 사업 결과 활용 계획 및 기대 성과
[중환자 진료]
ㅇHospital to Hospital 기반의 Connected ICU 플랫폼 활용을 위한 병원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의료진 간 원격 진료를 통해 중환자 진료 상향평준화에 기여
ㅇ중환자 임상 질 지표, 표준 진료지침, 핵심 성과지표 개발을 통해 중환자 진료 역량 평가를 위한 국가차원의 지표로 활용
ㅇConnected ICU 플랫폼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글로벌시장 진입을 통해 선진국형 지식콘텐츠 사업 수행
ㅇ서비스 실증 및 정책 연구를 통해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국내 정착을 위한 기반 구축에 기여
[중환자 전문 장치]
ㅇ글로벌 규격/표준을 준수한 제품 설계 및 생산을 통해 국산 중 환자 전문 장치 또는 시스템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ㅇ상호운용성을 고려한 중환자 전문 장치 및 시스템 개발을 통해 다양한 중환자 전문 장치의 국산화에 기여함으로써 국내 의료 기기 산업 활성화에 기여
[중환자 의료 정보]
ㅇ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중환자 진료와 관련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등의 표준화 및 활용 극대화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표준 선도
ㅇ중환자 특화 빅데이터와 연계한 다양한 헬스케어, 웰니스 분야로 사업영역 확대 및 신시장 고용 창출에 기여
(출처:요약문 p.3)
목차 Contents
- 표지 ... 1요 약 문 ... 3목차 ... 10그림목차 ... 12표목차 ... 14제1장 사업개요 ... 15 제1절 추진배경 및 사업필요성 ... 15 1. 추진배경 ... 15 2. 사업필요성 ... 26 3. 기획추진 경과 ... 41 제2절 현황분석 ... 46 1. Connected ICU 관련 연구개발 동향 ... 46 2. Connected ICU 관련 시장 동향 ... 61제2장 다부처 추진 필요성 ... 77 제1절 부처별 기존사업 현황 ... 77 1. 부처별 기존사업 ... 77 2. 기존사업과의 차별성 ... 80 제2절 다부처 추진 타당성 ... 88 1. 다부처 추진 필요성 ... 88 2. 다부처 추진 효과 ... 89제3장 사업내용 ... 90 제1절 사업목표 및 범위 ... 90 1. 비전 및 추진목표 ... 90 2. 사업 범위 ... 92 제2절 사업 세부 내용 ... 93 1. 전체 사업 내용 ... 93 2. 부처별 사업 구성 (안) ... 98 3. 사업별 세부내용 ... 101제4장 사업 추진전략 ... 104 제1절 사업 추진체계 및 역할 분담 ... 104 1. 사업 추진체계(안) ... 104 2. 부처 간 역할 분담(안) ... 106 제2절 사업 추진방안 및 주요 전략 ... 108 1. 사업 추진방안 ... 108 2. 사업 추진전략 ... 110제5장 투자계획 ... 117 제1절 연차별 소요 예산 ... 117 1. 각 부처 연차별 소요 예산 ... 117제6장 사업 결과의 활용계획 ... 118 제1절 사업 성과관리 및 평가 방안 ... 118 1. 성과 지표 및 목표 ... 118 2. 평가기준 및 절차 ... 118 제2절 성과 활용 계획 ... 119제7장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 120 제1절 기대성과 ... 120 1. 기술적 기대효과 ... 120 2. 사회적 기대효과 ... 121 3. 경제적 기대효과 ... 123별첨 Connected ICU 사업 경제성 분석 결과 ... 125끝페이지 ... 13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