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 지반함몰 저감을 위한 지하매설물 설치 기술 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김주형
참여연구자 조삼덕 , 김창용 , 최창호 , 이장근 , 김진환 , 이준용 , 공진영 , 신현영 , 김경오 , 김웅구 , 박진우 , 이종섭 , 유정동 , 홍영호 , 홍원택 , 김상엽 , 강성훈 , 박근우 , 한우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6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700017819
과제고유번호 1615007566
사업명 건설기술연구
DB 구축일자 2018-03-10
키워드 도심지.지반함몰.지하매설물.고유동성채움재.연구기획.urban area.ground subsidence.underground utility.high flowable filling material.research planning.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17819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지역에서 지하매설물과 연관된 지반함몰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지하매설물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전반에 관련된 건설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를 수행하였으며,지하매설물로 인한 지반함몰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진 되메움재의 품 질 향상을 위한 고유동성채움재를 개발하였음.
1) 기획연구에서는 지반함몰 사고 저감을 위하여 국내외의 지하매설물과 연관된 기술 개발 및 적용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개발이 필요한 과제 제안요청서 (RFP)를 도출함. 이 와 더불어 지반함몰에 대한 대응 가이드라인(안)을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6
  • 제 1 편 안전한 지하매설물 설치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기획 ... 9
  • 목차 ... 11
  • 1. 개요 ... 13
  • 1절 기획 과제 정의 및 범위 ... 13
  • 2절 기획 과제의 범위 ... 18
  • 3절 기획 과제의 기술분류 체계 ... 19
  • 2. 동향조사 및 환경분석 ... 20
  • 1절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 20
  • 2절 국내외 기술동향 ... 23
  • 3. 기술수요 및 수준 • 예측조사 ... 81
  • 1절 기술수요조사 ... 81
  • 2절 기술수준 및 예측조사 ... 87
  • 4.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 153
  • 1절 SWOT / Issue-Tree 분석 ... 153
  • 2절 비전 및 목표 ... 162
  • 3절 연구개발과제 구성 ... 164
  • 4절 세부과제별 주요내용 및 추진전략 ... 179
  • 5절 과제별•연차별 기술로드맵 ... 189
  • 6절 연구수행체계 제안 ... 190
  • 5. 인력투입계획 및 소요예산 산정 ... 192
  • 1절 연구일정에 따른 인력계획 ... 192
  • 2절 소요에산 산정 ... 198
  • 6. 사전타당성 검토 ... 202
  • 1절 정책적 타당성 ... 202
  • 2절 기술적 타당성 ... 204
  • 3절 경제적 타당성 ... 205
  • 7. 과제 제안요구서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 215
  • 1절 과제 제안요구서 ... 215
  • 2절 평가기준 설정 ... 224
  • 부 록 ... 230
  • 제 2 편 도심지 지반함몰 저감을 위한 지하매설물 설치기술 개발 ... 259
  • 목차 ... 261
  • 표목차 ... 265
  • 그림목차 ... 269
  • 제1장 연구개발과제 개요 ... 275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275
  • 제2절 연구개발의 정의, 범위, 특징 ... 278
  • 제3절 관련 분야의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80
  • 제4절 연구개발 결과가 관련 분야에서 차지하는 위치 ... 369
  • 제2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370
  • 제1절 지반함몰 대응 가이드라인(안) ... 370
  • 제2절 고유동성채움재 개발 ... 388
  • 제3절 고유동성채움재 시공 기법 개발 ... 468
  • 제4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고유동성채움재 활용 방안 고찰 ... 509
  • 제3장 최종 연구성과 및 적용실적 ... 541
  • 제1절 핵심요소기술(Critical Technology Elements) 별 성과물 ... 541
  • 제2절 주요 연구성과(학술적 성과 및 기술적 성과) ... 547
  • 제3절 기술 실시 및 적용 사례 ... 547
  • 제4절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548
  • 제4장 연구목표 달성 및 효과 ... 549
  • 제1절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549
  • 제2절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적 효과 분석 ... 551
  • 제3절 연구개발 성과의 경제적 효과분석(시장창줄, 고용창줄 등) ... 552
  • 제4절 연구개발 성과의 정책적 효과 분석 ... 553
  • 제5장 연구성과의 활용 및 추가연구 필요성 ... 554
  • 제1절 활용계획 ... 554
  • 제2절 성과물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 ... 556
  • 참고문헌 ... 557
  • 부 록 (1) 고유동성재움재 설게 및 시공지침(안) ... 562
  • 부 록 (2) 연구성과 ... 584
  • 끝페이지 ... 588

표/그림 (27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