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및 산지관리방안 연구
Mountain ridge network system development and forest land management pla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연구책임자 안승만
참여연구자 이형찬 , 김승종 , 임지영 , 손은영 , 곽두안 , 이정빈 , 홍성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6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등록번호 TRKO201800000091
과제고유번호 1405002682
사업명 임업기술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8-02-17
키워드 산줄기연결망.물줄기연결망.위계적 차수.공간정보과학기술.산줄기연결망체계.수치표고모형.Mountain Ridge Network.Stream Network.Integration.Hierarchical Order.Spatial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Mountain Ridge Network System.Digital Elevation Model.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0091

초록

이 연구는 제1차 산지관리기본계획 5대 전략 중 하나인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을 배경으로하고 있으며 과학적인 접근체계를 통해서 산줄기연결망과 물줄기 연결망이 개념적으로 통합되고, 산지관리 목적에 부합되는 수준으로 상세화 된 산줄기연결망체계를 구축하여 관리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전통적인 산줄기-물줄기 통합개념을 논리적으로 재해석하고 수치표고자료 기반에서 물리적으로 산출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현재의 산줄기연결망 및 물줄기 연결망을 설명하고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음.

Abstract

Ⅲ. Methods and Results
The R&D project set three major achievement goals for the use of a reasonable FLM as follows: (1) a logically simple and clear process, (2) detailed enough to see a ridge network connection from the Baekdudaegan to a village, and (3) perfectly integrating both the mountai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16
  • CONTENTS ... 25
  • 목차 ... 28
  • 제1장 산줄기연결망체계구축 및 산지관리방안 연구 ... 33
  • 제1절 과업개요 및 추진배경 ... 33
  • 1. 연구과업 및 기술의 정의 ... 33
  • 제2절 연구목표 및 범위 ... 36
  • 1. 연구목표 ... 36
  • 2. 연구범위 ... 37
  • 제2장 국내외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 39
  • 제1절 산지지형 연구현황 ... 39
  • 1. 산지지형의 개념적인 인식 ... 39
  • 2. 한반도 지형의 특수성 ... 50
  • 3. 한국지형의 특수성 ... 62
  • 4. 한국의 전통적 지형 인식체계 ... 70
  • 제2절 산줄기연결망 중요성 ... 77
  • 1. 생물다양성과 산줄기 연결의 중요성 ... 77
  • 2. 하천관리 측면에서 산줄기의 의미 ... 93
  • 제3절 산줄기연결망 구축 연구사례 ... 103
  • 1. (원)산경표 ... 103
  • 2. (신)산경표 ... 105
  • 3. 김영표(2004)의 새 산맥지도 ... 110
  • 4. 박수진(2005)의 산줄기지도 ... 112
  • 제4절 산줄기연결망체계와 유역체계 비교 ... 116
  • 1. 내용 비교 ... 116
  • 2. 중첩 비교 ... 117
  • 3. 중첩 결과 ... 118
  • 4. 산줄기연결망체계 비교 ... 120
  • 제3장 산줄기연결망체계구축 ... 122
  • 제1절 기본 방향 ... 122
  • 1.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기본방향 ... 122
  • 제2절 구축 목표 ... 123
  • 제3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수행 단계 ... 124
  • 제4절 산줄기연결망체계 위계정립 ... 125
  • 제5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환경 ... 127
  • 1.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개요 ... 127
  • 2. 산줄기-물줄기 연결망체계 위계화 구현 기술 ... 128
  • 3. 산줄기연결망체계 산출 프로그램 개발환경 ... 132
  • 제6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결과 ... 133
  • 1. 기초자료 및 전처리(Pre-processing) ... 133
  • 2. 1차 산줄기 생성 ... 134
  • 3. 2차 산줄기 생성 ... 140
  • 4. 3차 산줄기 생성 ... 148
  • 5. 4차 산줄기 생성 ... 156
  • 6. 5차 산줄기 생성 ... 159
  • 7. 6차 산줄기 생성 ... 162
  • 8. 7차 산줄기 생성 ... 165
  • 9. 산줄기연결망체계 차수별 위계적 특성 ... 168
  • 제4장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성과 평가 ... 170
  • 제1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통합화 성과 ... 170
  • 제2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상세화 성과 ... 171
  • 제3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과학화 성과 ... 172
  • 제4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관리적 성과 ... 175
  • 제5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학술적 성과 ... 176
  • 1. 산줄기연결망체계 연구를 학술적으로 심화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176
  • 제6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종합성과 ... 178
  • 1.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성과 ... 178
  • 2.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의 의의 ... 180
  • 3. 산줄기연결망체계 연구의 향후과제 ... 181
  • 4. 산줄기연결망체계의 활용의 미래상 ... 192
  • 제7절 목표 달성도 ... 193
  • 1. 1차년도 ... 193
  • 2. 2차년도 ... 194
  • 3. 3차년도 ... 195
  • 제8절 관련분야 기여도 ... 196
  • 1. 기술적 측면 ... 196
  • 2. 경제․산업적 측면 ... 196
  • 3. 사회․문화적 측면 ... 197
  • 제5장 산지관리방안 ... 199
  • 제1절 산줄기연결망체계 기반 산지관리제도 개선방안 ... 199
  • 1. 개요 ... 199
  • 2. 산지관련 제도 검토 ... 201
  • 3. 산지관련 제도 개선방안 ... 221
  • 제2절 산줄기연결망 체계를 활용한 보호지역 관리 방안 ... 234
  • 1. 국가 보호지역 현황 분석 ... 234
  • 2. 산줄기 연결망체계 활용 보호지역 확대방안 및 관리방안 ... 241
  • 제3절 산줄기연결망 체계의 도시계획 적용방안 연구 ... 251
  • 1. 산지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 251
  • 2. 도시계획체계의 현재와 미래 ... 255
  • 3. 산줄기연결망과 국토 및 도시계획의 연동 ... 257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70
  • 제1절 산줄기 추출 및 분석에 관한 방법론 ... 270
  • 1. 산등성 추출 자동화 방법 ... 270
  • 2. 하천망 차수화 구현 방법 ... 292
  • 3. 최단경로 산정 ... 297
  • 4. 지형 합성(Terrain Synthesis) 알고리즘 ... 299
  • 5.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300
  • 6. TanDEM-X(TerraSAR-X add-on for Digital Elevation Measurement) ... 301
  • 제7장 참고문헌 ... 302
  • 끝페이지 ... 309

표/그림 (21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