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북서울과학관(가칭)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홍익대학교
Hongik University
연구책임자 임채진
참여연구자 김기범 , 황경수 , 윤성규 , 박찬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1
주관부처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등록번호 TRKO201800000145
DB 구축일자 2018-04-14

초록

I. 건립 개요

1. 연구의 개요
□ 연구의 배경
〇 국립서울과학관은 최초 국립과학관으로서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축척된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국립 과천과학관이 개관된 이후 수도 서울의 명실상부한 국립과학관으로의 면모를 잃어가고 있다.
〇 전국 지역별로 각 과학관들이 새롭게 보환 및 건립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립 서울과학관도 서울의 유일한 과학관으로의 위상을 되찾고 지역과학관으로의 특성화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〇 현재의 대전에 국립 중앙과학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연구진 ... 3
  • 목차 ... 4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3
  • 요약문 ... 16
  • I. 건립의 개요 ... 31
  • 1. 연구의 개요 ... 3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표 ... 31
  • 1.1.1. 연구의 배경 ... 31
  • 1.1.2. 연구의 목표 ... 31
  • 1.2. 연구의 범위 ... 31
  • 1.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32
  • 2. 건립의 필요성 및 방향 ... 32
  • 2.1. 건립의 배경 ... 32
  • 2.2. 건립의 필요성 ... 33
  • 2.3. 건립의 방향 ... 34
  • II. 기본계획 ... 37
  • 1. 건립추진의 경위 ... 37
  • 2. 건립부지 ... 37
  • 2.1. 선정경위 ... 37
  • 2.2. 주변환경 ... 37
  • 3. 지역적 현황 및 기본방향 설정 ... 40
  • 3.1. 지역의 일반현황 ... 40
  • 3.1.1. 자연환경 ... 40
  • 3.1.2. 사회·경제적 지표 ... 41
  • 3.2. 기본방향 및 개발파급효과 ... 42
  • 3.2.1. 계획방향 ... 42
  • 3.2.2. 기본방향 ... 43
  • 3.2.3. 개발파급효과 ... 44
  • 4. 국내·외 사례분석 ... 45
  • 4.1. 국내·외 과학관 사례분석의 배경 ... 45
  • 4.2. 국내과학관 현황 및 사례분석 ... 45
  • 4.2.1. 국내과학관 현황 ... 45
  • 4.2.2. 국립중앙과학관 ... 48
  • 4.2.3. 국립서울과학관 ... 50
  • 4.2.4. 국립과천과학관 ... 52
  • 4.2.5. 농업과학관 ... 54
  • 4.2.6.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 55
  • 4.2.7. 수산과학관 ... 55
  • 4.3. 국외과학관 현황 및 사례분석 ... 57
  • 4.3.1. 국외과학관 현황 ... 57
  • 4.3.2. 미국 샌프란시스코 익스플로레타리움 (Exploratarium, San Francisco) ... 57
  • 4.3.3. 영국 런던 과학박물관 (The Science Museum, London) ... 58
  • 4.3.4. 독일 뮌헨 도이체스박물관 (Deutsches Museum, Munchen) ... 59
  • 4.3.5. 프랑스 파리 라 빌레뜨 과학관(La Cite des Science et de L'industrie, Paris)(이미지참조) ... 60
  • 4.3.6. 일본 도쿄 국립과학박물관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 61
  • 4.3.7. 일본 도쿄 과학미래관(National Museum of Emerging Science and Innovation, Tokyo) ... 63
  • 4.3.8. 미국 뉴욕 자연사박물관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 64
  • 4.3.9. 미국 뉴욕 로즈센터 (Rose Center for Earth and Space, New York) ... 65
  • 4.3.10. 미국 워싱턴 국립항공우주박물관 (National Air and Space Museum, Washington D.C.) ... 66
  • 4.3.11. 이탈리아 로마 천체 천문박물관 (Planetario e Museo Astronomico, Roma) ... 68
  • 4.3.12. 이탈리아 로마 익스플로라 (Explora, Roma) ... 69
  • 4.3.13. 오스트리아 비엔나 과학기술박물관 (Technisches Museums Wien, Vienna) ... 70
  • 4.4. 국내·외 과학관 사례분석의 결과 ... 71
  • 5. 경제성 분석 ... 72
  • 5.1. 사업개요 ... 72
  • 5.2. 비용·편익 정의 ... 72
  • 5.2.1. 경제성 분석 필요성 ... 72
  • 5.2.2. 비용편익비율(Benefit-Cost Ratio) ... 72
  • 5.2.3.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NPV) ... 73
  • 5.3. 관람객 수요측정 ... 73
  • 5.4. 재무성 분석을 위한 수입 및 비용 추정 ... 77
  • 5.5. 재무성 분석결과 ... 78
  • 5.6. 경제성 분석 ... 80
  • 6. 사업규모 및 투자계획 ... 82
  • 6.1. 강북서울과학관(가칭) 예산안 ... 82
  • 6.2. 투자 재원 ... 84
  • 6.2.1. 민간투자사업의 개요 ... 84
  • 6.2.2. BTL 방식 도입의 가능성 ... 84
  • 6.2.3. 해외사례 ... 84
  • 6.2.4. 대규모 공공사업의 민간투자사업 방식 도입 ... 85
  • 6.2.5. 강북서울과학관(가칭)의 민간투자사업 방식 도입 ... 85
  • III. 전시구성 및 내용 ... 87
  • 1. 전시의 기본 방향 ... 87
  • 1.1. 특성화 방안 검토 ... 87
  • 1.1.1. 관람계층의 설정 ... 87
  • 1.1.2. 전시콘텐츠의 차별화 ... 90
  • 1.1.3. 공간계획의 차별화 ... 92
  • 1.2. 전시 목적 및 기본 방향 ... 94
  • 2. 전시계획 ... 95
  • 2.1. 전시의 기본구성 및 특성화 방향 ... 95
  • 2.2. 전시면적 및 공간활용 ... 96
  • 2.2.1. 전시면적 ... 96
  • 2.2.2. 전시장 및 전시물의 구성요소 ... 97
  • 2.3. 상설전시실 전시시나리오(안) _ ALT1 : Eco-Science ... 99
  • 2.3.1. 제1군 : 자연과 사람 ... 99
  • 2.3.2. 제2군 : 지속 가능한 에너지 ... 101
  • 2.3.3. 제3군 : 건강한 지구 ... 102
  • 2.3.4. 전시세부동선계획 (ALT1 : Eco-Science) ... 104
  • 2.4. 상설전시실 전시시나리오(안) _ ALT2 : 과학문화 ... 104
  • 2.4.1. 제1군 : 교통 문화 ... 105
  • 2.4.2. 제2군 : 여가문화 ... 106
  • 2.4.3. 제3군 : 디지털문화 ... 107
  • 2.4.4. 전시세부동선계획 (ALT2 : 과학문화) ... 109
  • 2.5. 상설전시실 전시시나리오(안) _ ALT3 : 인간과 과학 ... 109
  • 2.5.1. 제1군 : 생명과학과 정보과학기술 ... 110
  • 2.5.2. 제2군 : 미래의 에너지 ... 111
  • 2.5.3. 제3군 : 신과학분야의 탐구 ... 112
  • 2.5.4. 전시세부동선계획 (ALT3 : 인간과 과학) ... 114
  • 2.6. 어린이 전시실 _ 놀이를 통한 과학 ... 115
  • 2.6.1. 제1군 : 우리 몸속을 들여다보자! ... 115
  • 2.6.2. 제2군 : 물, 공기, 소리, 빛, 힘과 놀자! ... 116
  • 2.6.3. 제3군 : 지구를 지키려면! ... 117
  • 2.7. 옥외전시 ... 118
  • 2.7.1. 진입광장 ... 118
  • 2.7.2. 과학테마공원 ... 119
  • 2.7.3. 자연공원 ... 119
  • 2.8. 전시설계공모지침(안) ... 120
  • 2.9. 전시운영 및 연계 프로그램 ... 120
  • IV. 건축 프로그램 및 건설추진방안 ... 123
  • 1. 건축기본방향 설정 ... 123
  • 1.1. 건축계획의 기본방향 ... 123
  • 1.2. 건축공간의 개념과 규모 ... 123
  • 1.3. 부문별 규모와 해외사례 검토 ... 124
  • 1.3.1. 전시부문 ... 124
  • 1.3.2. 수장부문 ... 125
  • 1.3.3. 교육연구부문 ... 126
  • 1.3.4. 사무영역 ... 126
  • 1.3.5. 휴게영역 ... 126
  • 2. 위치 및 배치계획 검토 ... 127
  • 2.1. 광역적 위치 및 도로 특성 ... 127
  • 2.1.1. 거리 ... 127
  • 2.1.2. 소요시간 ... 127
  • 2.1.3. 주변환경 및 부지 조망 ... 127
  • 2.2. 배치계획 ... 128
  • 2.2.1. 건물배치대안 ... 128
  • 2.2.2. 배치계획 ... 129
  • 2.2.3. 배치계획 ALT1 (주차장 전면배치) ... 129
  • 2.2.4. 배치계획 ALT2 (주차장 후면배치) ... 133
  • 2.3. 옥외공간 조성계획 ... 137
  • 2.3.1. 옥외공간의 개념 및 기본방향 ... 137
  • 2.3.2. 옥외 공간 디자인 요소 ... 137
  • 2.3.3. 옥외공간 구성 방안 ... 138
  • 2.3.4. 옥외공간 시설 세부 계획 ... 139
  • 3. 건축기본계획 ... 141
  • 3.1. 건축기본계획 개념 ... 141
  • 3.2. 공간구성 개념 ... 141
  • 3.3. 동선 시스템 ... 142
  • 3.4. 증축문제 및 가변성의 대응 ... 143
  • 3.5. 주요 공간별 지침 ... 143
  • 3.5.1. 공공·편의 영역 ... 143
  • 3.5.2. 전시영역 ... 145
  • 3.5.3. 수장영역 ... 145
  • 3.5.4. 사무영역 ... 146
  • 3.5.5. 교육영역 ... 146
  • 3.5.6. 연구영역 ... 146
  • 3.6. 옥외공간 및 진입공간 ... 147
  • 3.6.1. 옥외공간 ... 147
  • 3.6.2. 진입공간 ... 147
  • 3.7. 기타 ... 147
  • 3.8. 스페이스 프로그램(SPACE PROGRAM) ... 149
  • 3.8.1. 스페이스 프로그램 분석 ... 149
  • 3.8.2. 강북서울과학관(가칭)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안) ... 153
  • 4. 건축계획안 ... 155
  • 4.1. 건축계획 기본방향 ... 155
  • 4.2. 구조계획 ... 158
  • 4.2.1. 개요 ... 158
  • 4.2.2. 구조계획 ... 159
  • 4.2.3. 구조시스템 계획 ... 159
  • 4.3. 기계설비계획 ... 160
  • 4.3.1. 기계설비설계 기본방침 ... 160
  • 4.3.2. 설계기준 ... 160
  • 4.3.3. 관련법규 ... 161
  • 4.3.4. 설비시스템 선정 및 설비계획 ... 162
  • 4.3.5. 자동제어설비 및 유지관리 계획 ... 167
  • 4.3.6. 에너지 절약방안 및 자재 선정계획 ... 168
  • 4.4. 전기설비계획 ... 170
  • 4.4.1. 설계개요 ... 170
  • 4.4.2. 전기설비의 구분 및 범위 ... 170
  • 4.4.3. 전기 설비의 세부계획 ... 171
  • 4.4.4. 전기소방 설비의 세부계획 ... 173
  • 4.4.5. 통신 설비의 세부계획 ... 174
  • 4.5. 토목계획 ... 176
  • 4.5.1. 기본방향 ... 176
  • 4.5.2. 토목계획 일반사항 ... 177
  • 4.5.3. 부문별 세부 설계계획 ... 178
  • 5. 법규검토 ... 181
  • 6. 단계별 건설 추진계획 ... 188
  • 6.1. 사업추진방안 검토 ... 188
  • 6.1.1.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건설공사 시행과정 ... 188
  • 6.1.2. 설계발주 방식 및 종류 ... 189
  • 6.1.3. 설계자 선정과정 ... 191
  • 6.1.4. 설계발주방식의 장·단점 비교 ... 192
  • 6.1.5. 현상설계 설계자 선정절차 ... 193
  • 6.2. 입찰제도 ... 194
  • 6.2.1. 입찰의 개념 ... 194
  • 6.2.2. 입찰의 종류 ... 194
  • 6.2.3. 입찰종류에 따른 장·단점 비교 ... 195
  • 6.2.4. 설계자 선정 과정 ... 196
  • 6.2.5. 설계자 선정 절차 ... 197
  • 6.3. 설계·시공일괄(T/K) 입찰제도 ... 201
  • 6.3.1. 턴키·대안공사의 개요 ... 201
  • 6.3.2. 턴키·대안입찰 발주 절차 과정 ... 202
  • 6.3.3. 턴키 설계심의 과정 ... 209
  • 6.4. 사업추진방안 비교검토 및 일정계획안 ... 212
  • 6.4.1. 현상설계와 턴키방식 비교검토 ... 212
  • 6.4.2. 사업 추진일정 계획안 (현상설계공모방식) ... 214
  • 6.4.3. 사업 추진일정 계획안 (조달청 입찰공고방식) ... 215
  • 6.5. CM 프로그램 ... 216
  • 6.5.1. CM 프로그램의 정의 및 체계 ... 216
  • 6.5.2. CM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발주방식별 사업추진공정표 ... 218
  • 6.5.3. 발주방식별 유사사례 검토 ... 220
  • 6.6. 결론 ... 224
  • V. 경영 및 프로그램 ... 225
  • 1. 조직 구성방안 ... 225
  • 1.1. 조직구조 및 인력규모 ... 225
  • 1.1.1. 인력규모 추정 ... 225
  • 1.1.2. 인력규모 비교분석 ... 226
  • 1.1.3. 인력규모 제안 ... 226
  • 1.2. 조직도 ... 227
  • 1.3. 업무 분장 ... 227
  • 1.3.1. 관장 / 부관장 ... 227
  • 1.3.2. 경영기획 ... 228
  • 1.3.3. 학예연구 ... 228
  • 1.3.4. 교육 ... 228
  • 1.3.5. 전산운영 ... 229
  • 1.3.6. 전시운영 ... 229
  • 1.3.7. 정보자료센터(Mediathaque) ... 229
  • 1.3.8. 소장품 관리 ... 230
  • 1.3.9. 마케팅 ... 230
  • 1.3.10. 운영관리 ... 230
  • 1.3.11. 재정관리 ... 231
  • 1.4. 자원 봉사자 관리 ... 231
  • 2. 재정조성방안 및 활용안 ... 233
  • 3. 마케팅 및 홍보 ... 236
  • 3.1. 마케팅 전략 구상 ... 236
  • 3.1.1. 이용자 개발 ... 237
  • 3.1.2. 과학관 프로그램 개발 ... 237
  • 3.2. 홍보 ... 237
  • 3.2.1. 홍보단계 ... 238
  • 3.2.2. 홍보도구 ... 239
  • 4. 교육 및 프로그램 분야 ... 241
  • 4.1. 전시와 연계된 기본 교육방향 ... 241
  • 4.1.1. 기본방향 ... 241
  • 4.1.2. 주요 내용 및 유형 ... 242
  • 4.2. 옥외전시공간의 교육프로그램 성격과 기본계획 ... 243
  • 4.3. 전시운영 및 이벤트 프로그램 분야 방향 ... 244
  • 4.4. 전시, 건축 및 옥외 공간 등 활용프로그램의 방향과 기본계획 ... 244
  • 4.5. 지역특성에 적합한 과학관 전시운영 및 이벤트 홍보 방안 ... 245
  • 5. 지자체 협력방안 ... 245
  • VI. 부록 ... 247
  • 1. 업무협약양식 ... 247
  • 2. 건축법규검토 ... 248
  • 3. 전시설계공모지침(안) ... 300
  • 4. 건축설계공모지침(안) ... 346
  • 끝페이지 ... 38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