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한반도의 물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문장원
참여연구자 이동률 , 황석환 , 정건희 , 최시중 , 강성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800000557
DB 구축일자 2018-11-10

초록

제 1 장 기후변화와 물의 관계
1.1 배경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1990년대 이후부터는 국내·외에서 기후변화의 영향, 완화 및 적응 대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8년에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에 의해 설립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1990년 이후 4권의 보고서를 발간하여 세계적인 기후변화 현상에 대해 조사·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적응 방법을 모색하도록 독려하고

목차 Contents

  • 표지 ... 1
  • vol.1 ... 1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참여연구진 ... 3
  • 목차 ... 6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0
  • 제 1 장 기상기후변화와 물의 관계 ... 13
  • 1.1 배경 ... 15
  • 1.2 범위 ... 17
  • 1.3 개요 ... 17
  • 제 2 장 물순완 요소와 관련된 한반도 기후변화의 관측과 전망 ... 21
  • 2.1 물순환 요소와 관련하여 관측된 한반도 기후의 변화 ... 23
  • 2.1.1 강수랑 ... 25
  • 2.1.2 수증기랑(가강수량) ... 33
  • 2.1.3 증발산 ... 35
  • 2.1.4 토양수분 ... 38
  • 2.1.5 유출과 하천유랑 ... 41
  • 2.1.6 해수면 ... 45
  • 2.1.7 종합 ... 49
  • 2.2 물순환 요소와 관련하여 전망된 한반도 기후의 변화 ... 51
  • 2.2.1 강수랑 ... 51
  • 2.2.2 수증기랑(가강수랑) ... 61
  • 2.2.3 증발산 ... 63
  • 2.2.4 토양수분 ... 65
  • 2.2.5 유출과 하천유랑 ... 66
  • 2.2.6 해수면 ... 72
  • 2.2.7 종합 ... 74
  • 제 3 장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반응 ... 77
  • 3.1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수자원현황 및 활용에 미치는영향과 반응 ... 79
  • 3.1.1 물순환 ... 79
  • 3.1.2 홍수 ... 82
  • 3.1.3 가뭄 ... 89
  • 3.1.4 수자원 부존량 ... 97
  • 3.1.5 담수 수요량 ... 102
  • 3.1.6 종합 ... 106
  • 3.2 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기후변화와 물 ... 110
  • 3.2.1 농업과 식량안보 ... 110
  • 3.2.2 생태계 ... 124
  • 3.2.3 보건·위생 ... 126
  • 3.2.4 토지이용 및 산림 ... 128
  • 3.2.5 기반시설 ... 135
  • 3.2.6 경제 ... 137
  • 3.2.7 종합 ... 138
  • 3.3 지자체별 기후변화 영향과 반응 분석 ... 139
  • 3.3.1 강원도 ... 139
  • 3.3.2 부산광역시 ... 141
  • 3.3.3 서울특별시 ... 145
  • 3.3.4 제주특별자치도 ... 150
  • 3.3.5 종합 ... 155
  • 제 4 장 기후변화의 적용 및 완화 대책 ... 157
  • 4.1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수자원 정책 및 시스템 ... 159
  • 4.1.1 지표수 ... 159
  • 4.1.2 토양수 ... 164
  • 4.1.3 종합 ... 168
  • 4.2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대책 ... 169
  • 4.2.1 강원도 ... 169
  • 4.2.2 부산광역시 ... 173
  • 4.2.3 서울특별시 ... 174
  • 4.2.4 제주특별자치도 ... 175
  • 4.2.5 종합 ... 176
  • 제 5 장 향후 연구과제 및 정책 제안 ... 177
  • 제 6 장 참 고 문 헌 ... 183
  • 부 록 ... 201
  • 부록 1. GCM 설명 ... 203
  • 부록2. 약어(Abbreviation) 설명 ... 207
  • 부록3. 수문학 용어 설명 ... 209
  • 부록4. 탄소배출 시나리오 ... 211
  • 부록5. 본문 주석 ... 213
  • vol.2 ... 217
  • 표지 ... 217
  • 제 출 문 ... 219
  • 참여연구진 ... 220
  • 목차 ... 221
  • 표목차 ... 223
  • 1. 기후변화와 물의 관계 ... 224
  • 1.1 배경 ... 224
  • 1.2 범위 ... 225
  • 1.3 개요 ... 225
  • 2. 물순환 요소와 관련된 한반도 기후변화의 관측과 전방 ... 227
  • 2.1 물순환 요소와 관련하여 관측된 한반도 기후의 변화 ... 227
  • 2.1.1 강수랑 ... 228
  • 2.1.2 수증기량(가강수량) ... 229
  • 2.1.3 증발산 ... 229
  • 2.1.4 토양수분 ... 230
  • 2.1.5 유출과 하천유량 ... 230
  • 2.1.6 해수면 ... 231
  • 2.2 물 순환 요소와 관련하여 전망된 한반도 기후의 변화 ... 232
  • 2.2.1 강수랑 ... 232
  • 2.2.2 수증기량(가강수량) ... 232
  • 2.2.3 증발산 ... 232
  • 2.2.4 토양수분 ... 233
  • 2.2.5 유출과 하천유량 ... 234
  • 2.2.6 해수면 ... 235
  • 3.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반응 ... 237
  • 3.1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수자원현황 및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 ... 237
  • 3.1.1 물 순환 ... 237
  • 3.1.2 홍수 ... 240
  • 3.1.3 가뭄 ... 241
  • 3.1.4 수자원 부존량 ... 243
  • 3.1.5 담수 수요량 ... 244
  • 3.2 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기후변화와 물 ... 246
  • 3.2.1 농업과 식량안보 ... 246
  • 3.2.2 생태계 ... 247
  • 3.2.3 보건 위생 ... 248
  • 3.2.4 토지이용 및 산림 ... 248
  • 3.2.5 기반시설 ... 249
  • 3.2.6 경제 ... 251
  • 3.3 지자체별 기후변화 영향과 반응 분석 ... 252
  • 3.3.1 강원도 ... 252
  • 3.3.2 부산광역시 ... 253
  • 3.3.3 서울특별시 ... 254
  • 3.3.4 제주특별자치도 ... 255
  • 4.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및 완화 대책 ... 257
  • 4.1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수자원 정책 및 시스템 ... 257
  • 4.1.1 지표수 ... 257
  • 4.1.2 토양수 ... 259
  • 4.2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대책 ... 261
  • 4.2.1 강원도 ... 261
  • 4.2.2 부산광역시 ... 262
  • 4.2.3 서올특별시 ... 263
  • 4.2.4 제주특별자치도 ... 264
  • 5. 향후연구과제 및 정책 제안 ... 265
  • 6. 참고문헌 ... 268
  • 끝페이지 ... 28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