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체계(CDAS) 구축 : 평가부문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책임자 남수용
참여연구자 강태순 , 이준 , 김지연 , 최홍배 , 장성태 , 오형민 , 곽경일 , 이보형 , 정영일 , 김현영 , 이효진 , 박진영 , 박종집 , 엄호식 , 배성준 , 오유리 , 김명원 , 장혜영 , 김공래 , 황소연 , 전지선 , 윤기항 , 박등대 , 김진하 , 정의식 , 허재수 , 임건태 , 김수연 , 이남희 , 김민지 , 임창수 , 양진호 , 정지원 , 염창근 , 강이형 , 엄미정 , 이응길 , 김연주 , 전소담 , 김남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주관부처 국토해양부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등록번호 TRKO201800000589
DB 구축일자 2018-11-10

초록

본 과업에서는 전년도 사업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연안재해취 약성과 관련된 국내외 신규 유사연구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본 사업에 적합하도록 개선 및 보완하여 연안재해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년도 사업은 계획된 지역에 따라 전년도 시범사업지역을 포함하여 6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17개 도엽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연안재해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년도의 문제점을 개선한 연안재해노출지수(CODI), 연안민감도지수(COSI) 및 연안적응능력지수(CACI)를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참여진 ... 3
  • 요약문 ... 4
  • 제1장 과업개요 ... 5
  • 1.1. 과업명 ... 6
  • 1.2. 과업기간 ... 6
  • 1.3. 과업의 목적 ... 6
  • 1.4. 과업의 대상 ... 7
  • 1.5. 과업의 추진체계 및 추진단계 ... 7
  • 1.6. 과업의 범위 ... 9
  • 1.6.1.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지표 및 지수 개발 ... 9
  • 1.6.2. 연안재해 취약지역 현지조사 ... 9
  • 1.6.3. 연안재해취약성 평가인자 DB 구축 ... 10
  • 1.6.4. 연안재해취약성 평가 실시 ... 10
  • 1.6.5. 연안재해취약관리선 설정 및 평가 ... 11
  • 1.6.6. GIS 기반의 연안재해취약성 평가 및 해안침수예상도 활용시스템 ... 12
  • 1.6.7. 연안재해취약 대응 및 적응방안 수립 ... 13
  • 1.6.8. 기타 ... 14
  • 제2장 국내외 사례분석 및 적용성 검토 ... 16
  • 2.1. 개요 ... 17
  • 2.2. 국외 사례분석 ... 18
  • 2.2.1. Perth coastal planning strategy(WAPC, Western Australian Planning Commission, 2008) ... 18
  • 2.2.2.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Re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Indices of Climate Change Exposure, Adaptive Capacity, Sensitivity and Impacts(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PIK), 2009) ... 21
  • 2.2.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oastal multi-hazard vulnerability along the Cuddaloree Villupuram, east coast of India using geospatial techniques(R.S. Mahendra a, et al., 2011) ... 25
  • 2.2.4.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ping for Southeast Asia(Arief Anshory Yusuf & Herminia A. Francisco, 2009) ... 28
  • 2.2.5. Climate Change: Risk and Vulnerability: Promoting an Efficient Adaptation Response in Australia(The Allen Consulting Group, 2005) ... 30
  • 2.2.6. Climate Change Adaption Guidelines for Sea Dikes and Coastal Flood Hazard Land Use(Ausenco Sandwell, 2011) ... 34
  • 2.2.7. Atlas of Natural Hazards in the Hawaiian Coastal Zone(USGS, 2002) ... 37
  • 2.2.8. Applying and validating the PTVA-3 Model at the Aeolian Islands, Italy: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buildings to tsunamis(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2010) ... 41
  • 2.2.9. Method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Buildings To Catastrophic(TSUNAMI) Marine Flooding(UNSW, 2009) ... 43
  • 2.2.10. 15 Years of coastal management in the Netherlands : Policy, Implementation and Knowledge Framework(National Institute for Coastal and Marine Management / RIKZ, 2006) ... 45
  • 2.2.11. On the use of setback lines for coastal protection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 Practice, Problems and Perspectives(CONSCIENCE, 2010) ... 47
  • 2.2.12. Importance of Coastal Change Variables in Determining Vulnerability to Sea- and Lake-Level Change(Journal of Coastal Research, 2010) ... 51
  • 2.2.13.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s for local government(Australian Greenhouse Offic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 2007) ... 54
  • 2.2.14. The City of Lewes Hazard Mitigation and Climate Adaptation Action Plan(City of Lewes, 2011) ... 56
  • 2.2.15. 지방정부 기후변화적응 툴킷(Local Governm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Toolkit,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2007, 인용) ... 58
  • 2.2.16. 해리팍스(Halifax)지역 기후에 대한 지속적 위험 완화 및 적응 방법(Adapting to Climate Change An Introduction for Canadian Municipalities, 2006) ... 60
  • 2.2.17. 기후변화영향에 대한 적응방법(Climate change and local communities - how prepared are you?, 2003) ... 61
  • 2.2.18. 밴쿠버지역 태풍수해관리계획(Adapting to Climate Change An Introduction for Canadian Municipalities, 2006) ... 64
  • 2.2.19. 아나폴리스 로얄(Annapolis Royal)의 해수면상승 프로젝트(Adapting to Climate Change An Introduction for Canadian Municipalities, 2006) ... 65
  • 2.2.20. 홍수보험(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 NFIP) ... 66
  • 2.2.21. 싱가폴 기후변화 거버넌스(Singapore's National Climate Change Strategy, 2008) ... 68
  • 2.2.22. AMICA(Adaptation and Mitigation-an Intergrated Climate Policy Approach, INTERREG IIIC, 2006) ... 70
  • 2.2.23. 장기 기후변화 영향이 도시사회기반시설 및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보스턴(Climate's Long-term Impacts on Urban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The Case of Metro Boston, P. Kirshen, M. Ruth and W. Anderson, 2006) ... 72
  • 2.2.24. Assessment of Coastal Zone Sustainable Development: A Case Study of Yantai, China(Ecological Indicators, 2010) ... 74
  • 2.2.25. Between the Devil and the Deep Blue Sea : The Coastal Zone in an Era of Globalisation(Laurence D. Me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010) ... 77
  • 2.2.26. 기타 ... 79
  • 2.3. 국내 사례분석 ... 81
  • 2.3.1. 국가자연재난 상황관리 기술개발 : 풍수해 대응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소방방재청, 2008) ... 81
  • 2.3.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안지역 레질리언스 강화방안(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 83
  • 2.3.3. 태풍 내습 시 3-second gust를 이용한 피해액 산정(한국환경과학회지, 2010) ... 86
  • 2.3.4.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 88
  • 2.3.5. 해수면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정책 수립II - 연안역 범람 평가 및 대응 방향(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 94
  • 2.3.6. 환경거버넌스 평가에 관한 연구 - 평가지표 개발을 중심으로(경기개발연구원, 2007) ... 97
  • 2.3.7. 연안관리지역계획 실효성 제고 및 계획수립모형(안) 개발연구(한국해양수산 개발원, 2003) ... 102
  • 2.3.8. 해수면상승에 따른 동해안 해안 구조물의 위험도 평가(강원발전연구원, 2007) ... 105
  • 2.3.9.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및 시범적용(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 109
  • 2.3.10.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에 관한 제언(경기논단, 2007) ... 113
  • 2.3.11. 기후변화 적응 강화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 118
  • 2.3.12. 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현황에 기초한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개발(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 121
  • 2.3.13. 기후변화 적응방안 연구-해수면상승을 중심으로(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 125
  • 2.3.14.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 평가(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 128
  • 2.3.15.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전라북도 기후변화 취약성 연구(전북발전연구원, 2009) ... 130
  • 2.3.16. 기후변화에 대한 광역지자체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6) ... 132
  • 2.3.17. 남해안지역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평가(기상청, 2009) ... 135
  • 2.3.18. 해양생태계기본조사 남해동부(국토해양부 국립수산과학원, 2011) ... 136
  • 제3장 연안재해취약성 평가방안 ... 139
  • 3.1. 개요 ... 140
  • 3.2. 정의 및 시·공간적 범위 ... 140
  • 3.2.1. 용어의 정의 ... 140
  • 3.2.2. 평가의 시·공간적 범위 ... 146
  • 3.3. 평가지표 및 인자의 선정 ... 149
  • 3.3.1. 지표 및 인자 고도화 ... 149
  • 3.3.2. 지표 및 인자의 객관화 ... 156
  • 3.4. 지수평가방안 ... 169
  • 3.4.1. 지수의 평가방법 ... 169
  • 3.4.2. 지수 및 지표의 가중치 설정 ... 187
  • 3.4.3. 도출된 지수의 검증방법 ... 192
  • 3.5. 연안재해취약관리선 설정 ... 195
  • 제4장 취약지역 현지조사 ... 198
  • 4.1. 개요 ... 199
  • 4.2. 사전조사 ... 201
  • 4.2.1. 문헌조사 ... 201
  • 4.2.2. 항공사진분석 ... 206
  • 4.2.3. 사전조사 및 지침서 작성 ... 208
  • 4.3. 중점조사 ... 210
  • 4.3.1. 시설물 및 배후지 조사 ... 211
  • 4.3.2. 주민설문조사 ... 212
  • 4.4. 정밀조사 ... 219
  • 4.5. 사후조사 ... 220
  • 제5장 평가 DB 구축 ... 221
  • 5.1. DB 구축 대상인자 자료조사 ... 222
  • 5.1.1. DB 구축 대상인자 ... 222
  • 5.1.2. DB 구축 자료조사 ... 223
  • 5.2. 자료의 품질관리 ... 227
  • 5.2.1. 연안재해노출지수(CODI) ... 227
  • 5.2.2. 연안민감도지수(COSI) ... 231
  • 5.2.3. 연안적응능력지수(CACI) ... 233
  • 5.2.4. 환경상태 ... 235
  • 5.3. 자료의 정규화 ... 242
  • 5.3.1. 연안재해노출지수(CODI) ... 242
  • 5.3.2. 연안민감도지수(COSI) ... 246
  • 5.3.3. 연안적응능력지수(CACI) ... 251
  • 5.3.4. 환경상태 ... 254
  • 5.4. 자료의 격자화 ... 260
  • 5.4.1. 사업지역의 선정 ... 260
  • 5.4.2. 자료의 격자화 ... 261
  • 5.5. DB 구축 ... 264
  • 5.5.1. 평가자료의 코드화 ... 264
  • 5.5.2. DB 구축 현황 ... 267
  • 제6장 연안재해취약성 평가 ... 300
  • 6.1. 개요 ... 301
  • 6.2. 취약성 평가 ... 303
  • 6.2.1. 평가결과 ... 303
  • 6.2.2. 검증 ... 317
  • 6.3. 연안재해취약관리선(CVML) ... 320
  • 6.3.1. 연안재해취약관리선 설정 ... 320
  • 6.3.2. 활용방안 ... 379
  • 제7장 적응 및 대응방안 ... 381
  • 7.1. 개요 ... 382
  • 7.2. 적응 및 대응방안 ... 385
  • 7.2.1. 지수별 적응 및 대응방안 ... 386
  • 7.2.2. 지표별 적응 및 대응방안 ... 392
  • 제8장 법제도 정비를 통한 연안정책 활용방안 ... 410
  • 8.1. 법제도 검토 ... 411
  • 8.1.1. 국토기본법 ... 413
  • 8.1.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418
  • 8.1.3. 연안관리법 ... 422
  • 8.1.4.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428
  • 8.1.5. 해양수산발전기본법 ... 432
  • 8.1.6.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 434
  • 8.1.7. 해양환경관리법 ... 435
  • 8.1.8. 자연재해대책법 ... 437
  • 8.1.9. 사방사업법 ... 444
  • 8.1.10. 자연환경보전법 ... 445
  • 8.1.1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 448
  • 8.1.12.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453
  • 8.1.13. 풍수해보험법 ... 455
  • 8.2. 법제도 개선방안 ... 456
  • 참고문헌 ... 461
  • 부록 ... 483
  • 목차 ... 484
  • 부.1. 자문회의 개최결과 ... 485
  • 부.2. 연안재해취약성 설문조사 ... 511
  • 부.3. 현지조사 지침서 ... 553
  • 부.4. 사진첩 ... 590
  • 부.5. 성과물 목록 ... 598
  • 끝페이지 ... 59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